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체육대학교 특성화 전략 기획

        김병식(金炳植)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2001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Vol.6 No.1

        최근 국립대학 발전 전략 기획은 IMF에 따른 정부의 구조조정과 관련하여 증폭되고 있다. 이 글은 한국체육대학교 특성화 전략 기획을 수립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 글에서는 1990년대 후반기에 한체대가 경험한 전략 기획과 미래 전략 기획을 다루었다. 연구법으로는 사례연구ㆍ문헌 고찰ㆍ세미나ㆍ회의ㆍ토론이 이용되었다. 1ㆍ2차 보고서는 학부의 교육ㆍ연구ㆍ사회봉사ㆍ교수ㆍ시설설비ㆍ재정경영ㆍ대학원의 일곱 가지 영역별로 평가되어 광범위하게 배포되었다. 전체 조정은 총장의 책임이었다. 한체대가 강조해야 할 일곱 가지 전략 기획은 경기력ㆍ사회체육ㆍ국민건강ㆍ전산화ㆍ프로그램(학부ㆍ대학원)ㆍ수용력이다. 전략 기획을 심사숙고하고 있는 대학들은 핵심 과제, 적절한 절차, 신ㆍ중ㆍ고참이 섞인 집단 토론, 결과보다 과정 중시, 적절한 시기, 환경적 제한점 인식, 기획과 예산편성의 일치, 대학 생명의 정치적 실재성을 인정해야 할 것이다. Recently, strategic planning in universities received increasing emphasis in relation to Korean government's restructuring to International Monetary Fund (IMF).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velop successful strategic planning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National University of Physical Education (KNUPE). The strategic planning experience of the KNUPE in the late 1990s was described. The research methods were based on case study, literature review, seminar, and meeting. Primary and secondary reports evaluated the University's education, research, services, teaching, physical facilities, finance, and graduate studies. Overall co-ordination was the responsibility of the President. Preliminary and final reports were widely distributed. It is recommended that universities musing strategic planning should carefully identify their foci, select appropriate procedures, involve new-meddle-senior administrators in group discussions, maintain the process more than the result, utilize proper timing, recognize environmental constraints, match planning to budgeting, and above all. perceive the political realities of university life.

      • KCI등재

        지방자치단체장의 선거공약과 공약이행평가에서 나타난 사회복지정책정향에 관한 연구

        김병식(金炳植) 한국지방자치학회 2002 韓國地方自治學會報 Vol.14 No.2

        Existent research about special quality of policy of local government had done local government's finance expenses scale by dependent variable and consist. This research wishes to investigate special quality of local government policy through result -that appear in the Chungchong-bukdo area local government chapter's campaign pledge and public promise performance estimation. This research compared special quality of local government policy with city limits of Peterson (1981) as existent researches. The Rate of local government chapter's campaign pledge expose allocational policy 50%, developmental policy 36.7%, redistributive policy 13.3%. Is being expose by developmental policy and allocational policy among public promise and redistribution policy that get estimation of completion and performance in public promise performance estimation result. Autonomy's society welfare policy which appear in the Chungchong-bukdo area local government chapter's campaign pledge and public promise performance estimation conclusively can know that is falling behind very than other policy.

      • KCI등재

        학부제의 현안과 발전 방안: 체육특수목적대

        김병식 ( Byung Shik Kim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05 체육과학연구 Vol.1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체육특수목적대학교의 학부제의 현안과 발전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연구 방법은 1·2차 자료, 현장 조사, 그리고 26명과의 심층면접에 근거하였다. 연구대상자 536명 가운데, 381명(71.08%)이 응답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근거로 하여 한국체대 교수 14명이 두 차례에 걸쳐서 토론·논의하였다. 빈도와 백분율과 같은 기술통계가 적용되었다. 질적 자료(연구 대상자별 사례 기록)를 분석하기 위해 귀납적 내용 분석이 적용되었다. 학부제는 학부제의 장점인 소비자(학생) 위주의 교육과 함께 학과 중심의 학부제로 운영되어야 한다. 즉, 이 제도는 학과제로 입학한 후 제한된 복수전공의 운영을 의미한다. 교육과정은 학과에 대한 시장성·경제성·수요성·전문성에 의해 특별화 되어야 한다. 이 제도가 채택·운영되기를 강력히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e paper was to search for developing scheme after finding out the problems of school system at the specifically-oriented university of physical education. The research methods were primary/secondary data, field survey and in-depth-interview with twenty six subjects. Of five hundred thirty six subjects, three hundred eighty one respondents (71.08%) were answered. Based on collected data, fourteen professors of specifically-oriented university of physical education had discussions and meetings twice. Statistics were used with frequency and percentage. To analyze the data, inductive content analysis was used by recording case over the subject. The school system should be operated by department-oriented school system with consumer-oriented education which is merit of school system. That is, this system should be operated by limited minor s ubject after entering by department system. The curriculum must be specialized by considering marketability, economics, demand, and professional over the department. Or, the system should be operated by true school system.

      • 강원지방의 강우특성 및 설계강우량의 변화 분석

        여래,임주호,정세진,이병현,김병식 한국방재학회 2012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11 No.-

        강원도 지역은 태백산맥이 위치하여 지형적으로 복잡한 산악지형을 갖고 있으며, 또한 동쪽으로 는 동해가 위치하여 동해의 영향을 직·간접적으로 받는 지역적인 특성을 지녔다. 이에 따라 기상과 관련 하여 발생된 강원도 지역의 재해 피해는 우리나라 전체 피해액의 1/3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강원도 지방은 2002년 태풍 루사가 영동지방을 강타했을 때 영동지방의 대표도시인 강릉에서는 기록적인 폭우(일 최대강수량 870.5mm)가 내렸으며, 2003년 태풍 매미 뿐 아니라 최근 발생하고 있는 국지적인 호우로 인한 영서, 영동지방의 피해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강원지방의 장기간의 자료를 보유하고 있는 속초, 대관령, 춘천, 강릉, 원주, 인제, 홍천 관측소의 연 최대치 강우자료를 대상으로 시 강우 및 일 강우의 특성을 분석하고 빈도해석(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함으로써 설계강우량을 산정하였다. 또한, 지속시간에 따른 경향성 분석을 하였으며 1990년 전후의 강우 및 온도자료를 나누어 극한지수를 산정함으로서 최근 발생하고 있는 강우의 패턴 변화를 분석 하였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Meta-Gaussian 방법을 이용한 강우-유출 모형에서의 불확실성 산정

        김병식,보경,권현한 한국습지학회 2009 한국습지학회지 Vol.11 No.1

        홍수나 가뭄 등 극한 사상을 예측하여 재해에 대비하거나 또는 수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 배분하기 위하여 강우-유출 모형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많은 수문학자들은 강우-유출 모형이 가질 수밖에 없는 불확실성에 대하여 언급하였다. 실제 유역에 내린 강우는 증발과 증산, 차단, 침투 등 여러 과정을 거쳐 유출로 이어지는데, 모형에서는 이러한 복잡한 물리적 과정을 단순화하여 표현하였으므로 불확실성이 반드시 존재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따라서 모형으로부터의 모의 결과를 신뢰할 수 있는지를 정량적으로 판단하는 과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까지 강우-유출 모형의 불확실성을 평가한 선행 연구 중 Montanari와 Brath(2004)가 제시한 Meta-Gaussian 기법을 이용하여 강우-유출 모형 모의 결과에 대한 불확실성을 검토하였다. 이 기법은 모형 오차의 확률 분포형으로부터 신뢰구간의 상한계와 하한계를 추정하는 방법으로 수문모형의 전역적 불확실성(Global Uncertainty)을 정량화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동일한 강우사상에 대한 물리적 기반의 분포형 모형인 Vflo™ 모형과 개념적 준 분포형 모형인 HEC-HMS 모형으로부터 모의된 유출량을 Meta-Gaussian 기법을 적용하여 불확실성을 분석하였다. Rainfall-runoff models are used for efficient management, distribution, planning, and design of water resources in accordance with the process of hydrologic cycle. The models simplify the transition of rainfall to runoff as rainfall through different processes including evaporation, transpiration, interception, and infiltration. As the models simplify complex physical processes, gaps between the models and actual rainfall events exist. For more accurate simulation, appropriate models that suit analysis goals are selected and reliable long-term hydrological data are collected. However, uncertainty is inherent in models. It is therefore necessary to evaluate reliability of simulation results from models. A number of studies have evaluated uncertainty ingrained in rainfall-runoff models. In this paper, Meta-Gaussian method proposed by Montanari and Brath(2004) was used to assess uncertainty of simulation outputs from rainfall-runoff models. The model, which estimates upper and lower bounds of the confidence interval from probabilistic distribution of a model’s error, can quantify global uncertainty of hydrological models. In this paper, Meta-Gaussian method was applied to analyze uncertainty of simulated runoff outputs from Vflo™, a physically-based distribution model and HEC-HMS model, a conceptual lumped model.

      • KCI등재
      • KCI등재

        표준강수 증발산지수(SPEI)를 이용한 남한지역의 가뭄심도 평가

        김병식,성장현,강현석,조천호,Kim, Byung-Sik,Sung, Jang-Hyun,Kang, Hyun-Suk,Cho, Chun-Ho 한국수자원학회 2012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45 No.9

        가뭄은 자연의 무시할 수 없는 재해이며, 비록 가뭄의 정의가 많이 있지만 가뭄은 장기간의 강우의 부족으로부터 기인한다. 기상학적 가뭄심도의 정도를 표현하기 위해 널리 이용되는 표준강수지수(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SPI)는 강수 이외의 기온과 관련된 변수를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기후변동으로 인한 강수, 증발산 등의 물수지 변화를 고려할 수 없다는 한계점이 있다. 그러나 최근에 SPI와 유사하지만 기후변동으로 인한 강수 변화 뿐만 아니라 기온의 변동성이 미치는 영향을 반영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가뭄지수인 표준강수증발산지수(Standardized Precipitation Evapotranspiration Index, SPEI)가 개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기상청 산하의 60개 기상관측소의 1973~2011년까지 기상자료를 대상으로 SPEI를 적용하여 남한지역의 가뭄발생의 변화를 평가하였다. 적용결과, 전국적으로 SPI와 SPEI 모두 봄과 겨울에 가뭄이 심화되고 여름철에는 가뭄이 완화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SPEI는 SPI보다 가뭄심도를 크게 나타내었다. 또한, 지속기간 12개월의 SPI와 SPEI는 전반적으로 6년 내외의 저빈도 주기성을 갖는 극심한 가뭄이 반복되고 있음을 보였다. Drought is a non-negligible disaster of nature and it is mainly caused by rainfall shortage for a long time though there are many definitions of drought. 'Standard Precipitation Index' (SPI) that is widely used to express the level of meteorological drought intensity has a limit of not being able to consider the hydrological changes such as rainfall and evapotranspiration caused by climate change, because it does not consider the temperature-related variables other than the precipitation. Recently, however, 'Standardized Precipitation Evapotranspiration Index' (SPEI), a drought index of new concept which is similar to SPI but can reflect the effect of temperature variability as well as the rainfall change caused by climate variation, was developed. In this study, the changes of drought occurrence in South Korea were analyzed by applying SPEI for meteorological data (1973~2011) of 60 climate observatories under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As the result of application, both of SPI and SPEI showed the trend of deepening drought in spring and winter and mitigating drought in summer for the entire nation, with SPI showing greater drought intensity than SPI. Also, SPI and SPEI with 12 months of duration showed that severe droughts with low frequency of around 6 years are generally being repea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