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英祖의 尊號加上과 정국변화

        김백철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1 규장각 Vol.39 No.-

        영조는 역대 최장수한 군왕이자, 조선에서 가장 오랫동안 龍床에 머물렀던 유일한 왕이었다. 그는 재위기간동안에만 40字의 尊號가 加上되어 화려한 수사를 지닌 군주가 되었다. 영조는 재위기간동안 5차례의 존호를 받았을 만큼, 살아있는 가장 지엄한 존재로 반세기를 통치하였다. 이는 그의 治世에 대한 가장 직접적인 평가이기도 했다. 제1차 존호는 영조 10년대 왕의 정통성과 각 정파 간의 명운을 건 신유년 御製書인 『大訓』의 반포가 이루어지자, 정치세력 간 대타협의 상징처럼 존호 가상이 추진되었다. 제2차 존호는 영조 20년대 皇壇의 증축과 均役法의 완성을 기념하여 이루어졌다. 특히, 균역은 사회 각계층을 다양한 세원으로 확보하는 또하나의 대타협의 산물이었기에 존호 가상의 의미는 남달랐다. 이후 존호 가상의 성격이 변화를 맞이하였다. 제3차 존호는 영조 30년대 을해옥사시 왕의 대규모 처벌을 합리화하고 최종 완결짓는데 활용되었다. 제4차 존호 역시 영조 40년대 초월적인 왕권을 바탕으로 신료들에 대한 대대적인 견책의 명분으로 쓰였다. 제5차 존호는 영조 50년대 왕세손이 반대세력을 축출하고 대리청정체제를 확립한 후, 반대파의 제거와 차기 왕위계승권자의 정통성 확보차원에 추진되었다. 영조년간 이루어진 5차례의 존호 가상 중 전반기의 두 차례는 정치세력 간 대통합과 사회계층의 대타협을 상징하는 성격이 짙었으며, 후반기의 세 차례는 특정 정치세력에 대한 처벌과 그 정당성 확보라는 의미가 컸다. 이렇듯 영조가 享有한 화려한 명칭들은 당대의 시대상을 여실히 반영하였다.

      • KCI등재

        조선시대 상주의 통치구조와 중층적 위상

        김백철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2019 한국학논집 Vol.0 No.74

        Sangju has a complex function, and it is likely to be called a modern ci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ccess Sangju's status with the concept of metropolis. First, Sangju grew into two-big cities with Gyeongju in Kyeongsang province. After Imjin War, province capital(監營) moved from Sangju to Daegu because of the efficiency of military operations. Despite the reduction of its ruling territory, the dominance of the nearby town or direct rule area has not undermined. Second, the complex function of the Sangju is shown in the character of Kyesugwan(界首官). The basic functions of administration such as civil, military, penal etc, have not changed in Joseon Dynasty. Third, it is a change of the Sangju direct rule districts, which is divided into direct control zone and indirect rule town. Two different rulling areas were gradually unified under the same system during the Joseon Dynasty. As a result, Sangju had had a function of state capital in the Silla era, and it had been a Kyesugwan in Goryeo Dynasty. Besides, it had a province capital in the early Joseon peoriod, also establised a Topoyeong(討捕營) in the late Joseon peoriod. Therefore, Sangju was apparently a metropolis. 상주는 복합적 기능을 지닌 고을로, 현대적 의미의 도시로 불러도 손색이 없다. 따라서 대도시 개념으로 그 위상에 접근할 필요가 있다. 첫째, 상주는 경상도 내 경주와 더불어 2대 도시로 성장하였다. 임진왜란 이후 군사작전상 효율성을 위해서 감영은 상주에서 대구로 옮겨갔다. 그러나 도 전체의 관할권 상실에도 불구하고, 인근 고을이나 직할지의 지배권이 약화되지 않았다. 둘째, 상주의 복합기능은 계수관의 성격에서 여실히 드러난다. 민정․군정․형정 등의 기본 기능은 변동되지 않았다. 이러한 기능은 조선시대에도 여전히 유지되었다. 셋째, 상주 직할지의 변화이다. 상주가 관할하는 지역은 면리와 속현으로 구분된다. 조선시대에 이르러 점진적으로 일원화되었다. 결과적으로, 상주는 이미 신라시대부터 주도(州都)의 역할을 수행하였고, 고려시대에는 계수관이었다. 조선전기에는 감영 소재지였으며, 조선후기에는 토포영이 설치된 대도회지였다.

      • KCI등재

        1990년대 한국사회의 ‘정조신드롬’ 대두와 배경 ― 나약한 임금에서 절대계몽군주로의 재탄생

        김백철 한국국학진흥원 2011 국학연구 Vol.0 No.18

        1990년대 초반 일련의 사건들이 꼬리를 물고 일어났다. 역사다큐멘터리의 제작 확대와 역사소설이 붐을 이루면서 한 시대에 초점을 맞추기 시작했다. 이러한 변화의 배경에는 역사학계에서 새로운 관점이 처음으로 제기되었기 때문이다. 이 시대란 정조와 그의 신료들이 개혁을 추구했던 조선후기 18세기경을 가리킨다. 1990년대에 불어닥친 정조열풍을 정조신드롬으로 명명해 보았다. 우둔한 왕에 지나지 않았던 1980년대까지의 정조는 1990년대에 이르러 일약 대성하여 ‘정조대왕’ 혹은 ‘유교적 절대계몽군주’로 불리게 되었다. 어째서였을까? 1990년대의 시대적인 요구, 개혁을 갈망하는 분위기, 그것이 정치‧경제‧사회‧문화적으로, 또 역사학계의 내부와의 연계 속에서 배태되었으며, 정조 자신과 그와 향유했던 18세기 조선후기의 사회상도 동시에 신드롬의 개연성을 지니고 있었다. 정조의 연구는 한국사회에 커다란 가능성을 제시해 주었다. 그가 개혁을 추진했고 안타깝게도 요절했던 그 모습 속에서 우리는 자신을 보고자 했던 것은 아닐까. 1990년대의 상승과 위기, 변화와 안정 속에서 역사에 대한 긍정적인 희망으로, 개연성으로서 정조와 그 시대는 다가왔다. 결국 우리는 오늘날 자신의 모습에 대한 반영을, 그에 대한 대안적인 미래의 모색을 한 개혁군주에게, 또 그의 시대에게 걸고자 했다. A series of events continued to ensue in the early 1990s. A particular era came under the spotlight amid the growing production of history documentaries and a boom in historical novels. Such change was attributable to a new perspective which began to gather considerable momentum in the historical arena. Here, a particular era refers to the period around the 18th century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where King Jeongjo and his vassals strived for national reformation, and consequently this study defines such social frenzy with King Jeongjo in the 1990s as the so-called ‘King Jeongjo Syndrome.’ Until the 1980s, King Jeongjo had been merely construed as a stupid king. In the 1990s, however, King Jeongjo was newly credited as either the Jeongjo the Great or an absolute enlightened monarch with Confucian insights. Why? This syndrome was largely driven by various changes in political, economic, social, cultural, and academic fields amid the growing demands for reform in the 1990s combined with King Jeongjo's standing in the 18th century plus social circumstances surrounding the late Joseon period. Studies on King Jeongjo contributed to unlocking enormous possibilities for our Korean society. We might anticipate introspecting some fragments of ourselves mirrored in King Jeongjo's reformist movement and unfortunate premature death. King Jeongjo and his era emerged as an optimistic hope for history and probability amid the ups and downs plus change and stability in the 1990s. Consequently, we attempted to find current embodiment of ourselves in such a reformist monarch and his era in pursuit of an alternative future.

      • KCI등재

        고종대 邑誌의 연대분류 試論 - 규장각 자료의 書誌비교를 중심으로 -

        김백철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6 규장각 Vol.49 No.-

        고종연간은 단일 왕대로 전국지리지 편찬이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이때는 집권세력의 교체와 개혁이 수차례 이루어져서 지방통치제도의 변화시기마다 고스란히 읍지에 반영되었다. 하지만 개별 책자로 존재하는 읍지를 일정하게 분류하는 시도는 많이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八道 읍지가 온전히 남아있는 경우는 드물며, 부분적인 자료만 전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고종대 전체 읍지편찬 사업에 대한 개괄적인 파악이 우선 필요한 상황이다. 본고에서는 서지사항을 중심으로 지리지 자료의 연대분류를 시도해보았다. 첫째, 전국지리지 편찬사업의 배경으로 『삼국사기』 「지리지」, 『고려사』 「지리지」, 『세종실록』 「지리지」, 『동국여지승람』, 『여지도서』, 『해동여지통재』등에 대한 개괄적인 성격을 검토하였다. 둘째, 고종연간 편찬사업의 흐름에 대해서 흥선대원집권기, 고종친정기, 대한제국기, 통감정치기 등으로 구분해보았다. 셋째, 광무 3년(1899) 읍지를 道別로 복원하여 서지사항의 특징을 추출해보았다. 이러한 기초검토를 바탕으로 향후 읍지의 내용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가 뒷받침된다면 보다 세밀한 분류도 가능할 것이다.

      • KCI등재

        조선시대 경상도(慶尙道)지역 고을의 형성과 변화: 지리지(地理志) 자료를 중심으로

        김백철 대구경북연구원 2022 대구경북연구 Vol.21 No.1

        In Gyeongsang province, it was formed a natural boundary between mountain ranges to the north and west and the sea to the east and south. The Nakdong River flowed through the center and became a division between civil and military governments. Historically, Gyeongju was surrounded by Goguryeo in the northeast, Baekje in the southwest, Gaya in the south, and small country in the central north. Silla gradually expanded its territory and came to dominate the entire province. As for the local system, the major city was formed with the establishment of 9 provinces and 5 multiple capitals from the Silla, a base governance system centered on Kyesugwan(界首官) was established in the Goryeo period, prefectures were merged and officials were dispatched to small town, in Joseon period. In particular, under the Jingwan(鎭管) defence system, the five main camps(主鎭) to lead the war was formed centered on province capital(監營), army commander's base(兵營), and naval commander's base(水營) were formed. And six bases(巨鎭) were formed to conduct battles. Considering the cities that also serve as main camps and six bases, 10 major cities have emerged. In Gyeongsang province, about 70% of economic indicators fluctuated, and there were many cases of growth, and the ranks of local officer also naturally increased. The explosive growth of Daedohobusa(大都護府使)·Dohobusa(都護府使) in the late Joseon Dynasty reflects this situation, and economic indicators as well as the status of traditional towns were taken into consideration in the new 5 level local government system of the Korean Empire. There was a province capital(監營) city where civil administration, military administration, and criminal administration were consistent, while there were army commander's base(兵營) cities and naval commander's base(水營) cities where only military administration was conducted, and there were special local police force(討捕營) cities where both military administration and criminal administration were served. In addition, the existing characteristics were changed or new functions were added while reflecting the changes of the new era such as war and diplomacy. In this traditional era, each city in Gyeongsang province was reorganized into various shapes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times, laying the foundation for modernization today. 경상도는 북쪽·서쪽으로는 산맥과 동쪽·남쪽으로는 바다가 자연경계를 형성하였다. 중앙에는 낙동강이 흘러서 민정·군정의 구분단위가 되었다. 역사적으로 북동부는 고구려, 서남부는 백제, 남부는 가야, 중북부는 소국 등이 경주인근을 둘러싸고 있었다. 신라가 점차 영토를 확충하여 도의 전역을 석권하기에 이르렀다. 지방제도는 신라에 9주 5소경이 설치되면서 주요 도시가 형성되었고, 고려에서 계수관 중심의 거점지배체제가 갖추어졌으며, 조선에 이르러 군현을 통폐합하고 말단읍까지 관리를 파견하였다. 특히 진관제하에서 순영·병영·수영이 중심이 되어 전쟁을 지휘하는 5대 주진이 형성되었다. 그리고 전투를 실제 수행하는 6대 거진이 구축되었다. 주진·거진을 겸하는 고을까지 감안하면 10대 거점도시가 등장하기에 이르렀다. 경상도의 고을은 약 70%의 경제지표가 변동하였는데, 대체로 성장한 경우가 많았고 목민관의 품계도 자연히 상승하였다. 조선후기 대도호부사·도호부사의 폭증은 이러한 상황을 반영하고 있으며, 대한제국기 신정오등군제에도 전통적 고을의 지위뿐 아니라 변화된 경제적 지표가 상당히 감안되었다. 민정·군정·형정이 일치하는 감영도시가 있는 반면에, 군정만 행하는 병영·수영도시가 있었고, 군정·형정을 겸하는 토포영도시가 있었다. 또한 전쟁·외교 등의 새로운 시대변화를 반영하면서 기존의 성격이 변화하거나 새로운 기능이 추가되기도 했다. 이처럼 전통시대 경상도의 각 고을은 시대정신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로 재편되면서 오늘날에 현대화에 기반을 닦았다.

      • KCI등재

        17~18세기 대동 · 균역의 위상

        김백철(金伯哲) 한국국학진흥원 2015 국학연구 Vol.0 No.28

        조선은 전제田制개혁의 결과로 출범하였고, 사회변동기마다 끊임없이 개혁을 모색함으로써 장기간에 걸쳐 국가를 보존할 수 있는 원동력을 확보하였다. 특히, 대동법과 균역법은 경장의 대표적인 성과로 인식되었다. 조선의 재정개혁은 15~16세기 경제변동인 금납화金納化현상으로 촉발되었다. 17세기 전쟁과 기근으로 피폐해진 위기상황에 대한 조정의 능동적인 대응책이 바로 대동법으로 나타났다. 대동법의 발효로 화폐와 환곡이 세제변동과 연동됨으로써 조선 전기와 구별되는 후기의 경제체계로 한층 진일보하였다. 더욱이 18세기 대동법이 전국으로 확산되고 균역법까지 타결됨으로써 중앙재정은 온전히 통합되고 국가 총예산의 운영이 가능해졌다. 이같은 사회경제적 변동양상은 공시인貢市人이나 공노비公奴婢 등과 같은 사회신분에까지 영향을 미쳤을 뿐 아니라, 정치사상의 부면에서 백성관百姓觀의 재인식에도 막대한 영향을 미쳤다. 실학자로 알려진 유형원柳馨遠나 정약용丁若鏞의 개혁안은 조정의 정책과 전혀 무관하지 않았다. Joseon dynasty was founded as a result of the reform of land system and it acquired and maintained its sustaining force by inquiring reforms with every social change. Daedong-beop, which was reformed a tributary payment, and Gyunyeok-beop, which was equalized a military service, were especially deemed as remarkable achievements of the reform. The financial reform of Joseon Dynasty began with the phenomenon of Geumnaphwa, which is tax payment by commodity and flat money. Daedong-beop was the court’s way of swiftly handling the national emergency, which was created from the war and famine of the 17<SUP>th</SUP> century. The implementation of Daedongbeop synchronized currency and exchanging grain with the changes in tax system ; thus, the financial system of Joseon entered its latter phase, which was distinguish able from the former. In 18<SUP>th</SUP> century, the central financial system was completely unified and national budge to peration was enabled with Daedong-beop’s nationwide implementation and settlement of Gyunyeok-beop. Such social and economic changes not only affected the social status such as Gongsiin, which was government-certified merchants, and Gongnobi, which was government-managed slaves, but also to form a new understanding of public perception from political aspect. The reform proposals by Yu Hyeongwon and Jeong Yakyong, who were renowned scholars of Realist Confucianism, were not irrelevant from the government policy.

      • KCI등재

        영조의 순문詢問과 위민정치爲民政治 ― ‘애민愛民’에서 ‘군민상의君民相依’로

        김백철 한국국학진흥원 2012 국학연구 Vol.0 No.21

        The monarch’s inquiry to the people is a way of probing public opinion that newly emerged during the reign of King Yeongjo. It was very rare for the ruler to gather the people before the palace gates to listen to their voices so as to pay heed to them. This clearly separates King Yeongjo’s governance from that of other monarchs. Previously, the ruler’s inquiry to his subjects had stopped at being directed at court officials. However, King Yeongjo opened up the system to diverse participants ranging from not only provincial officials but also minor clerks and peasants in rural communities. Furthermore, he inquired members of tribute agencies (gong’in) and city merchants (siin) as well as peasants. This means that the monarch personally incorporated into state administration changes in the commodity-currency economy. In addition, not only did the topics cover agriculture and the people’s grievances but also allowed the people directly to express their views on the nation’s major policies. King Yeongjo took the lead in comforting the people through measures ranging from relief to banquets for the elderly. The problems raised during the ruler’s inquiry were resolved immediately, which led to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people awaiting the procedure. In the end, thousands voluntarily gathered and did not hesitate to cry out his longevity one after another. In no time, King Yeongjo became a sage king of the Joseon Dynasty. Against this backdrop, the Min-guk concept in the 18th centuries was beginning to make its appearance. 백성에 대한 순문은 영조 연간에 새롭게 대두한 여론청취 방식이다. 국왕이 민정民情을 살피기 위해서 궐문 앞으로 백성을 불러 모아 의견을 직접 청취하는 행위는 매우 파격적인 행보였다. 이는 영조의 통치방식이 다른 왕들과 명백히 구별되는 점이다. 순문은 본래 대신들에게 국정을 질의하는 의미에 불과했으나, 영조는 지방의 관리는 물론이거니와 하급관리에서부터 시골의 농민이나 서울의 공인貢人‧시인市人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신분층을 대상으로 순문을 열었다. 상품화폐경제의 진전에 따른 사회적 변화를 국왕이 몸소 국정에 반영하였다. 또한 그 주제도 농형農形이나 민막民瘼뿐 아니라, 균역均役이나 준천濬川 등 국가의 주요정책에 대해서 직접 의견을 밝힐 수 있도록 하였다. 더욱이 영조는 순문을 통하여 구휼救恤과 양로연養老宴을 베풀어 백성을 어루만지는데 앞장섰다. 국왕의 순문에서 제기된 문제점들은 즉시 해결되었으며, 순문을 기다리는 백성들도 점차 늘어만 갔다. 마침내 수천에 달하는 백성들이 자발적으로 모여들었고 임금에게 천세千歲를 연호하기를 주저하지 않았다. 영조는 어느새 조선의 요순堯舜이 되었다. 결국 영조의 백성관百姓觀은 ‘애민愛民’에서 점차 ‘군민상의君民相依’의 단계로 변화하였다. 이러한 배경하에서 18세기 ‘민국民國’개념도 널리 쓰일 수 있었다.

      • KCI등재

        조선시대 咸鏡道 지역사 試論 - 奎章閣소장 地理志자료를 중심으로 -

        김백철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7 규장각 Vol.51 No.-

        함경도는 有史이래 古土로 인식하였으나 오랫동안 온전한 영토로 삼지는 못하였다. 고려 睿宗代 東北 9城을 축조한 기록이 남아있으나 영구히 지배하지는 못하였다. 북방영토는 변동성이 매우 높았다. 東界는 동해안 연안에 길게 뻗은 모습이었고 안정적으로 확보한 최전방 지역은 함경도 남부~강원도 북부 지역에 지나지 않았다. 공민왕대 쌍성총관부 공파이후 북진정책이 시행되었고, 공양왕대 이르러 비로소 一道로 독립하였고, 조선초기 압록강과 두만강 유역을 온전히 장악하였다. 道政의 주요현황은 몇 가지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첫째, 關防이다. 함경도 각 읍은 군사도시로 출발하였다. 영장, 남도오위, 북도오위 등 3개 방어권역이 설정되었다. 둘째, 교통망이다. 驛路는 남부 高山道, 중부 居山道, 북부 輸城道가 각각 긴밀한 연락망을 구축하였다. 수로는 동해연안, 압록강, 두만강 유역 등에 발달하였다. 셋째, 재정운영이다. 관북의 세수는 대부분 도내 방어체계를 구성하는 순영, 남병영, 북병영, 본읍의 군비에 사용되었고, 이외에 필수 고을의 운영비에 활용되었다. 따라서 군현의 발달은 자연히 關防체계 구축과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며, 民政, 交通, 財政 등이 모두 이같은 흐름 속에서 연동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