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디지털기기 이용동기와 이용성과의 관계에서 사회인구학적 요인의 조절효과

        김반야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2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8 No.3

        이 연구는 디지털기기 이용성과의 예측요인으로서 디지털기기 이용동기가 디지털기기 이용성과에 미치는 효과가 연령, 성별, 소득, 교육수준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지 확인했다. 이를 위하여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의 ‘2020 디지털정보격차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실증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디지털기기 이용동기가 디지털기기 이용성과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는 사회인구학적 요인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더불어, 디지털기기 이용동기는 디지털기기 이용성과 차이, 즉 3차 정보격차를 예측하는 주요 요인임을 확인했다. 이 연구의 결과는 3차 정보격차 관련 정책 및 연구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odemographic factor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ivation and outcomes of digital device use. The data from ‘the 2020 Survey on the Digital Divide' conducted by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was used for empirical analysis.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were observed between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motivation. The results also show that motivation was a primary predictor of the differences in outcomes of digital device use, the third-level digital divide. These findings have implications for closing the third-level digital divide.

      • KCI등재

        부모의 스마트폰 이용 시간과 자녀의 스마트폰 이용 시간의 관계

        김반야,Kim, Banya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2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8 No.6

        This study is an exploratory study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parents and children's smartphone usage time. The data from the 11th Korea Media Panel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Information Society Development Institute was used for empirical analysis. The findings revealed that parents' smartphone usage time and children's smartphone usage time are positively correlated, indicating that their smartphone use patterns share similarities as members of a family system. This study lays the foundation for future work to explain individual media use through family and media use environment.

      • KCI등재

        디지털정보화와 일상생활만족도의 관계: 디지털기기 이용성과의 매개 효과 분석

        김반야(Kim, Ban-Ya),권종실(Kwon, Jong-Sil)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2022 정보화정책 Vol.29 No.2

        본 연구는 디지털정보화의 접근, 역량, 활용 수준이 일상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 이 변인들 간의 관계에 있어 디지털기기 이용성과의 매개효과를 검토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의 ‘2020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실증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전반적으로 디지털정보화는 일상생활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디지털기기 이용성과의 매개효과 역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디지털정보화가 일상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과 디지털기기 이용성과의 매개효과의 유의성은 디지털정보화의 하위 차원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디지털정보화 정책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뒷받침하고 디지털정보화 정책 수립 및 추진 시 도움이 되는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 덧붙여 이 연구는 디지털정보화와 디지털기기 이용성과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3차 정보격차의 선행요인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different types of digital informatization (i.e. access, skill, utilization) on life satisfaction. The mediation effects of the outcome of digital device use between digital informatization and life satisfaction are also tested. The ‘2020 Survey on the Digital Divide" conducted by the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was referenced for empirical analysis. The findings show that in general, digital informatization contributes to improving life satisfaction. In addition, the outcome of digital device use mediates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informatization and life satisfaction. However, the magnitudes of the effects of digital informatization and mediation effects differed according to the types of digital informatization. This study supports the necessity and justification for a digital informatization policy and provides valuable information that helps establish and promote digital informatization policies. In addition, this study helps to understand the determinants of the third-level digital divide information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informatization and the outcome of digital device use.

      • KCI등재

        부모 자녀 의사소통과 자녀의 자아존중감: 순응, 저항, 화응, 무시 의사소통과 의사소통량이 여자 청소년 자녀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김반야 ( Banya Kim )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017 커뮤니케이션학연구 Vol.25 No.1

        이 연구는 부모 자녀 관계에서 발생하는 서로 다른 성격의 의사소통-순응, 저항, 화응, 무시가 자녀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했다. 순응, 저항, 화응, 무시 의사소통은 부모의 행동적 통제와 지지에 대한 자녀의 수용 및 거절을 기준으로 구성되었다. 이와 함께 순응, 저항, 화응, 무시 의사소통이 자녀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가 부모 자녀 간 의사소통량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12-15세 여자 청소년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총 403명의 응답값을 통계적으로 분석했다. 어머니와의 대화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면대면 대화와 휴대전화 이용을 포함하였다. 그 결과 부모의 행동적 통제와 지지, 그리고 그에 대한 자녀의 수용 및 거절에 따라 부모 자녀 의사소통이 자녀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게 나타났다. 부모 자녀 의사소통량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부모 자녀 의사소통의 성격을 설명하는 기준으로서의 순응, 저항, 화응, 무시 의사소통의 타당성을 확인했다. 이는 부모 자녀 의사소통에서 자녀의 역할 및 중요성을 보여주며 부모 자녀 의사소통 연구를 다양한 관점에서 입체적으로 접근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했다. This research first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four types of parent-child communication─ “compliance,” “resistance,” “reciprocation,” and “ignorance”─and child`s self-esteem. These types of parent-child communication emerge from two parental behaviors─parental behavioral control and support─and the child`s reactions to them─ acceptance and denial. Child`s behaviors are considered as reflections of positive or negative perceptions toward parental behaviors. In addition, this research investigates mediating effect of the quantity of parent-child communication between the four types of parent-child communication and child`s self-esteem. For this research, an online survey of middle-school girls aged 12 to 15 was conducted (N=403), and the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This study was limited to mother and daughter communication, and it included both face to face and mediated communication. The results reveal that the effect of parent-child communication varies depending on not only subcategories of parental behaviors but also a child`s perception of and attitude toward them. The moderating effect of communication quantity among the communication types and child`s self-esteem was not established. The results confirm the validity of the four types of parent-child communication as a yardstick to explain characteristics of communication of each parent-child relationship. This study shows the importance of child`s role and reciprocity in parent-child communication and also provides a critical insight into future parent-child communication research.

      • KCI우수등재

        휴대전화 이용은 친밀하고 평등한 연인관계를 만드는가?

        김반야(Ban Ya Kim),이준웅(June Woong Rhee) 한국언론학회 2009 한국언론학보 Vol.53 No.6

        A survey of mobile phone users aged 19 to 35 in a romantic relationship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three research variables: mobile phone usage between partners; three kinds of intimacy;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The mediating effect of intimacy between mobile phone usage and perceived behavior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power among intimacies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were tested. The results revealed that mobile phone use between partners had a positive effect on intimacy on the whole. However, this effect varied depending on subtypes of intimacy. Secondly, as intimacy in the relationship increased, the level of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escalated.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iz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power groups. Thirdly,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mobile phone usage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In addition to these results, it was found intimacies functioned as a mediator in mobile phone usage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in limited cases. However, the moderating effect of power among intimacies and the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was not established.

      • KCI등재

        부모 자녀 의사소통에 대한 새로운 접근

        김반야(Banya Kim) 한국언론학회 2015 커뮤니케이션 이론 Vol.11 No.4

        이 글은 ‘현재 우리 사회의 부모 자녀 의사소통을 어떻게 설명할 수 있는가?’ 라는 질문에 답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커뮤니케이션학의 가족 내 의사소통연구와 양육 연구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비고츠키 발달이론을 수용하여 부모자녀 의사소통을 설명할 수 있는 체계적인 기준을 제시하고자 했다. 그 결과 부모의 행동적 통제와 지지를 자녀가 수용 또는 거부하는지에 따라 순응, 저항, 화응, 무시라는 네 가지 성격의 의사소통을 도출했다. 순응, 저항, 화응, 무시의사소통 수준의 높고 낮음에 따라 부모 자녀 의사소통의 성격이 달라진다. 부모의 행동적 통제와 지지는 부모 자녀 관계에서 발생하는 가장 대표적인 부모행동이다. 한편 수용과 거절은 자녀가 부모의 행동 및 태도를 어떻게 인지하고 평가하는지를 반영한 행동이다. 부모 자녀의 행동을 함께 고려함으로써 그동안 간과했던 자녀 행동 및 자녀 역할의 중요성을 조명하고자 했다. 한편 네 가지 의사소통은 면대면 의사소통뿐만 아니라 미디어를 통한 의사소통까지 함께 포함하여 부모 자녀 의사소통의 범위를 확장했다. 이 글이 제시하는 네 가지 의사소통은 순응지향성과 대화지향성만을 반복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부모 자녀 의사소통 연구를 좀더 다양한 관점에서 입체적으로 접근하도록 할 것이다. 더불어 부모 자녀 의사소통을 이론적으로 설명하고, 경험적으로 규명하기 위한 분석틀로서 후속 연구에게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라 기대한다. How can we explain parent-child communication in the present? To answer this question, this study critically reviews family communication and parenting studies. Additionally, to make up for the weak aspects of previous studies, Vygotsky’s developmental theory is also examined. Through this discussion, four characteristics of parent-child communication were determined: ‘compliance’, ‘resistance’, ‘reciprocation’, and ‘ignorance’ communication. These emerged from two parental behaviors —parental behaviors control and support, while the child’s behaviors react to them—acceptance and denial. In this study a child’s behaviors are considered as reflections of positive or negative perceptions toward parental behaviors. This study could help broaden and deepen our understanding of the parent-child communication, while providing new perspectives.

      • KCI등재

        자율주행차에 대한 윤리적 평가와 수용:충돌 대응 알고리즘과 자동차 용도의 영향

        주연경,김반야 한국교통연구원 2023 交通硏究 Vol.30 No.1

        A wider adoption of automated vehicles (AVs) has been facing challenges due to ethical issues involving AVs, such as collision algorithms and public perception of the ethical aspects of AVs. Furthermore, little academic research has investigated whether the types of AVs can affect one’s attitudes toward the AVs. By implementing an online experiment,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collision algorithms (selfish/utilitarian) and the type of AVs (taxis/private vehicles) on individuals’ ethical evaluation of the AVs. Also, the current study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ethical evaluation and personal acceptance of AVs, including individuals’ intention to use the AVs and their willingness to pay more for the vehicle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re was a discrepancy between what individuals considered ethically desirable and what they would use or pay a premium for. Selfish collision algorithms degraded the ethical evaluation of the AVs in which the algorithms were embedded but increased one’s intention to use or pay more for the AVs. Also, autonomous taxis were found to decrease individuals’ willingness to pay a premium. Furthermore, ethical evaluation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intention to use the AVs and willingness to pay more, even after controlling for the influence of the collision algorithms and the type of AV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study are discussed. 자율주행차의 대중화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관심에도 불구하고 자율주행차의 충돌 대응 알고리즘(collision algorithms)을 둘러싼 윤리적인 쟁점들은 자율주행차가 대중화되는 것에 있어 커다란 장애물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자율주행차의 충돌 대응 알고리즘과 함께 자가용이나 택시 같은 자율주행차의 용도 역시 대중들이 자율주행차를 받아들이는 태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이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이러한 문제 인식에 기반하여, 이 연구는 온라인 실험을 통해 자율주행차의 충돌 대응 알고리즘(탑승자 우선/보행자 우선)과 자율주행차 용도(자가용/택시)가 사람들의 자율주행차에 대한 윤리적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색하였다. 이와 더불어 자율주행차에 대한 윤리적 평가가 자율주행차를 이용하고자 하는 의도 및 추가 비용을 지불하고자 하는 의사에 영향을 미치는지 검토했다. 연구 결과, 자율주행자가 탑승자 우선 알고리즘에 따라 탑승자만의 안전을 보장했을 때, 사람들은 해당 자율주행차가 덜 윤리적이라고 평가한 반면, 해당 자동차를 사용하거나 추가비용을 지불할 의사는 더 높다고 밝혔다. 자율주행차 용도의 경우, 자율주행 자가용에 비해 자율주행 택시를 이용하기 위해 추가 비용을 지불하기를 꺼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자율주행차에 대한 윤리적 평가는, 충돌 대응 알고리즘과 용도의 영향을 통제한 후에도, 자율주행차의 이용 의도 및 추가 금액 지불 의사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들은 자율주행차에 대한 대중의 인식은 하나의 태도로 일원화하기 어려우며, 따라서 자율주행차에 대한 대중의 인식을 보다 다각적으로 살펴보아야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 KCI등재

        ‘위험한 미디어 vs 든든한 육아 도우미’ : 영유아 스마트 미디어 이용 담론에 대한 탐구

        최이숙(Yisook Choi),김반야(Banya Kim)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8

        이 연구는 영유아들의 스마트 미디어 이용에 대한 담론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스마트 미디어 노출=위험한 행위’라는 경고에도 불구하고, 아동의 스마트 미디어 과의존은 증가해왔다. 이러한 현상은 영유아들의 미디어 이용을 둘러싼 사회적 맥락을 살펴볼 필요성을 제기한다. 이 연구는 10개 일간지 및 경제지를 대상으로 2018년-20년에 생산된 기사를 분석했다. 그 결과, 영유아의 미디어 담론 형성의 핵심적인 발화주체는 관련 콘텐츠 생산자 및 플랫폼 운영자들이었다. 학계 및 시민단체, 부모를 중심으로 한 스마트 미디어의 부정적 영향에 대한 입장이 개진되었지만 산업계는 이러한 위험성 논의를 넘어 영유아의 스마트 미디어 이용에 긍정적 의미를 부여했다. 스마트 미디어는 자녀의 생활습관형성, 학습과 발달을 돕는 미디어, 자녀의 미디어 이용에 대한 부모의 통제권을 확보하도록 도와주는 안전한 미디어로 재정의 되었다. 자녀의 스마트 미디어 과의존을 유발하는 원인으로 거론되면서 비난과의 대상이자 문제해결의 주체였던 부모는 산업계의 서사 전략 속에서 돌봄 책임자이자 도움이 필요한 존재로 위치 지워졌다. 위험 담론 속에서 불완전한 돌봄의 방식으로 표상되었던 디지털 육아는 이제 최신 기술을 활용한, 부모들이 손쉽게 동원 가능한 육아 방식으로 규정되었다. The study examines how the discourse on infants’ smart media use has been constructed under media-saturated situations. Infants’ use of smart media has been regarded as a dangerous activity, rate of overdependence has been increasing. Newspapers during the recent three years (2018-20) were analyzed. The most prominent speakers in the news field were smart media content producers and platform operators. There were negative views and concerns about infants’ smart media use by academics, civic groups, and parents. However, the industry went beyond these risk discourses and gave positive meaning: Smart media was redefined as safe media for infants and reliable childcare helpers for parents. Parents were portrayed as those responsible for their children’s media use and in need of help for childcare, rather than being blamed for their children’s overdependence on smart media. Digital parenting seems to be emerging as an acceptable and practicable way of childcare rather than harmful and incomplete parent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