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보통신망법상 명예훼손죄의 ‘비방의 목적’에 대한 비판적 검토 ― 연혁적 근거 및 목적범에 대한 해석을 중심으로 ―

        김민준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2023 法學硏究 Vol.33 No.4

        Recently, incidents of defamation online and the resulting cases of harm have been steadily increasing. There is a growing voice calling for strong penalties for cyber defamation. However, on the other hand, there is also a perspective advocating for the timely decriminalization of defamation based on truth. Our Criminal Act Article 309 required the “purpose to defame” at the time of its enactment, but it is difficult to confirm the purpose and circumstances of defining defamation as a specific offense through prior research or literature. Therefore, it would be meaningful to examine the historical and comparative basis for the above purpose. After reviewing the elements of defamation in our legal system, it was confirmed through a comparison with the laws of major foreign countries that the requirement of “purpose to defame” was established by referring to Article 173 of the Swiss Criminal Code in 1937 at the time of the enactment of the current Criminal Act. However, since Switzerland and South Korea have differences in the systematic exclusion of legal liability of the perpetrator in defamation case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eparate interpretation of defamation through Supreme Court precedents. The Supreme Court confirms that the “purpose to defame” is an excessive subjective element and demands strict evidence for it, but it does not adequately consider this desirous element in the trial precedents related to the purpose of the perpetrator. This is the same for Article 309 of the Criminal Act and the defamation offense under the Act On Promo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Network Utilization And Information Protection. Since the perpetrator's “purpose to defame” is an dolus eventualis, it must be proven indirectly through circumstantial evidence. Even so, at least what the perpetrator's purpose was should have been clearly revealed. In the argumentation process, it is overlooked that the essential element of the purpose of the offender is “desire,” and it must be an active hope or a certain level of certainty. Furthermore, It is inconsistent with the criminal system of our criminal law to derive the “purpose” of the component element from the opposite interpretation of Article 310 of the Criminal Act. In addition, in practice, “purpose to defame” and “intention” are not separately distinguished. There is no benefit to especially regulate a separate subjective element to aggravate the statutory form. As the current defamation offense under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Networks Act is nothing more than a mere addition of statutory penalties to the defamation offense under Article 309 of the Criminal Act, except for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network” part, it is necessary to delete the current defamation offense under the Act On Promo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Network Utilization And Information Protection and amend Article 309 of the Criminal Act in the following manner: ‘...by means of other publication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networks, television, the Internet, or other media’. Even if the defamation offense is retained in the current the Act On Promo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Network Utilization And Information Protection, the Supreme Court's attitude of interpreting the actor's ‘purpose to defame’ broadly is undesirable in light of the criminal law as ultima ratio and its relationship with the freedom of expression under Article 21 of the Constitution, so it is necessary to limit its scope. 최근 온라인에서의 명예훼손행위 및 이로 인한 피해사례가 꾸준히 늘어나고 있어 사이버 명예훼손행위에 대한 강력한 처벌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으나 한편으로는 사실적시에 의한 명예훼손죄를 비범죄화하자는 입장 또한 적지 않다. 우리 형법 제309조는 제정 당시‘비방할 목적’을 요구하고 있으나, 명예훼손죄를 목적범으로 규정한 취지나 경위를 선행연구나 문헌을 통해 확인하기 어렵다. 따라서 위 목적의 연혁적, 비교법적 근거를 확인하여 보는 작업은 의미가 있을 것이다. 우리 법제상 명예훼손죄의 구성요건과 해외 주요국의 법제의 비교를 통해 ‘비방할 목적’이 제정 형법이 1937년 당시 스위스 형법 제173조의 규정을 참고하여 규정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스위스와 우리나라는 명예훼손죄에서 행위자의 법적 책임을 배제하는 방법에 있어 체계상 차이가 있으므로 대법원 판례를 통해 명예훼손에 대한 별도의 해석론을 정립할 필요가 있다. 대법원은 ‘비방할 목적’이 초과주관적 구성요건요소라는 점을 확인하고 이에 대해 엄격한 증명을 요구하고 있으면서도, 목적범과 관련한 재판례들에서 그 의욕적 요소를 충분히 고려하지 않고 있다. 이는 목적범의 형식으로 규정되어 있는 형법 제309조 및 정보통신망법상 명예훼손죄에서도 동일하다. 행위자의 ‘비방할 목적’이 내심적 의사이므로 간접사실을 통해 부득이하게 증명할 수밖에 없더라도, 적어도 행위자의 목적이 무엇이었는지는 분명하게 드러났어야 하는데, 논증과정에서 목적범의 본질적 요소가 ‘의욕’이며 적극적 희망 또는 확정적인 수준이어야 한다는 점을 간과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구성요건요소에 해당하는 ‘목적’을 위법성조각사유에 해당하는 형법 제310조의 반대해석을 통해 이끌어내는 것은 우리 형법의 범죄체계와도 맞지 않는다. 게다가 실무에서도‘비방할 목적’과 고의를 따로 구분하여 검토하지 않고 있어, 고의와는 별도의 주관적 구성요건을 법정형만을 가중하기 위해 특별히 규정할 실익은 많지 않다. 또한 현행 정보통신망법상 명예훼손죄는‘정보통신망’부분을 제외하고는 형법 제309조의 명예훼손죄에서 단순히 법정형을 가중한 것에 지나지 않으므로 현행 정보통신망법상 명예훼손죄는 삭제하고 형법 제309조를 ‘… 기타 출판물, 정보통신망, 텔레비전, 인터넷 등 매체에 의하여’와 같은 방식으로 개정할 필요가 있다. 현행 정보통신망법상 명예훼손죄를 유지하더라도 행위자의 ‘비방할 목적’을 넓게 해석하는 대법원의 태도는 형법의 최후수단성 및 헌법 제21조의 표현의 자유와의 관계에 비추어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그 범위를 제한적으로 규정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BRAFV600E Mutation Enhances Estrogen-Induced Metastatic Potential of Thyroid Cancer by Regulating the Expression of Estrogen Receptors

        김민준,김수진,Seong Yun Ha,Zhen Xu,Youngjin Han,Hyeon-Gun Jee,Sun Wook Cho,Young Joo Park,Kyu Eun Lee 대한내분비학회 2022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Vol.37 No.6

        Background: Cross-talk between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and estrogen has been reported; however, the role of BRAFV600E in the estrogen responsiveness of thyroid cancer is unknown. We elucidated the effect of BRAFV600E on the estrogen-induced increase in metastatic potential in thyroid cancer. Methods: Using a pair of cell lines, human thyroid cell lines which harbor wild type BRAF gene (Nthy/WT) and Nthy/BRAFV600E (Nthy/V600E), the expression of estrogen receptors (ERs) and estrogen-induced metastatic phenotypes were evaluated. Susceptibility to ERα- and ERβ-selective agents was evaluated to confirm differential ER expression. ESR expression was analyzed according to BRAFV600E status and age (≤50 years vs. >50 years) using The Cancer Genome Atlas (TCGA) data. Results: Estradiol increased the ERα/ERβ expression ratio in Nthy/V600E, whereas the decreased ERα/ERβ expression ratio was found in Nthy/WT. BRAFV600E-mutated cell lines showed a higher E2-induced increase in metastatic potential, including migration, invasion, and anchorage-independent growth compared with Nthy/WT. An ERα antagonist significantly inhibited migration in Nthy/V600E cells, whereas an ERβ agonist was more effective in Nthy/WT. In the BRAFV600E group, ESR1/ESR2 ratio was significantly higher in younger age group (≤50 years) compared with older age group (>50 years) by TCGA data analysis. Conclusion: Our data show that BRAFV600E mutation plays a crucial role in the estrogen responsiveness of thyroid cancer by regulating ER expression. Therefore, BRAFV600E might be used as a biomarker when deciding future hormone therapies based on estrogen signaling in thyroid cancer patients.

      • KCI등재

        제주도에 설치된 지열 열펌프 시스템용 제주형 지중열교환기의 열특성 연구

        김민준 한국산학기술학회 202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1 No.2

        This study summarizes test methods and evaluation methods for examining the thermal characteristics of Jeju-type ground heat exchangers (GHXs) installed on Jeju Island, and analyzes the ground temperature and thermal characteristics of ground heat exchangers installed in various regions by using thermal response tests (TRT). Jeju Island is composed of volcanic rock layers, and the groundwater flow is well developed. A Jeju-type GHX can be installed up to 30 m from groundwater level after drilling a borehole. The ground heat exchanger has a structure in which several pipes are inserted into the borehole. In order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Jeju-type GHX, tests were conducted on ground heat exchangers installed in four places on Jeju Island (Pyoseon, Jeju, Namwon, and Hally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Jeju-type ground heat exchanger, the ground circulating water temperature stabilized according to the heat injection, depending on the installed location, and was formed within one to three hours. The ground heat exchanger capacity in Hallym was highest at 73.4 kW (cooling) and 82.8 kW (heating), and the Jeju-type calculation was lowest at 34.1 kW (cooling) and 23.3 kW (heating). 본 연구는 제주도에 설치된 제주형 지중열교환기의 열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서 시험 방법 및 평가 방법을 정립하고, 열응답시험 (TRT)을 통하여 다양한 지역에 설치된 지중열교환기의 지중온도와 열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제주도는 화산암반층으로 이루어져 지하수의 유동이 잘 발달되어 있으며, 제주형 지중열교환기는 보어홀을 굴착 한 이후에 지하수 수위로 부터 30 m 까지 지중열교환기를 설치할 수 있다. 지중열교환기는 여러개의 파이프가 보어홀 내부에 삽입되는 구조로 되어있다. 제주형 지중열교환기의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제주도 관내 4곳 (표선, 제주, 남원, 한림)에 설치된 지중열교환기에 대한 시험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제주형 지중열교환기의 경우 열교환기에 열량을 투입 후 1 ~ 3시간 안에서 지중 순환수 온도가 안정화 되었으며, 열교환기가 설치된 지역에 따라서 투입열량에 따른 지중 순환수 온도 상승이 다르게 나타났다. 한림의 경우 지중열교환기 용량이 73.4 kW (냉방) / 82.8 kW (난방)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제주의 경우 34.1 kW (냉방) / 23.3 kW (난방)로 가장 작게 계산되었다.

      • KCI등재

        태권도 겨루기 선수들의 하지 부상과 시즌 전 인체계측 및 체력 요인의 관련성

        김민준,한승아,오태웅,김준웅 한국스포츠학회 2022 한국스포츠학회지 Vol.20 No.4

        본 연구는 남자 대학 태권도 겨루기 선수들을 대상으로 시즌 중 발생하는 하지 부상과 시즌 전 인체계측 및 체력 요인의 관계를 분석하여 겨루기 선수들의 하지 부상의 예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Y 대학교에 재학 중인 경력 5년 이상의 겨루기 선수 36명이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시즌 전 인체계측 및 체력 측정을 실시하였으며, 측정 시기를 기점으로 1개월 단위로 하지 부상 특성을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8.0 Program을 이용해 분석하였으며, 하지 부상의 위험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일반화 선형 모형의 단변량 및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발목의 내번 가동범위와 체중당 평균파워가 시즌 중 하지 부상의 위험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내번 가동범위 및 체중당 평균파워가 증가할수록 하지 부상의 위험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사전에 부상 위험이 있는 겨루기 선수들을 식별하여 부상 예방에 기여할 수 있으리라 기대되며, 부상 후 회복 과정에 있는 겨루기선수들의 재활 운동프로그램을 고안하는데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