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수치해석에 의한 플러그 밸브의 유량계수 산출 방법 평가 검증 및 유량특성 평가

        김민경(MinKyung Kim),정준환(JunHwan Jung),김성재(SeongJae Kim),이재훈(JaeHoon Lee) 대한기계학회 2021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21 No.4

        일반적으로 밸브 성능 검증을 위해 실험적인 방법을 통해 유량계수(Cv)를 측정하고 있으나, 시험설비의 한계로 인해 시험 가능한 밸브가 제한적이고 다양한 케이스에 대한 시험비용의 증가에 대한 문제도 발생한다. 특히 플러그 밸브의 경우 개폐 정도에 따른 유량계수의 측정이 필요하나 시간적, 비용적 한계로 인해 성능 검증 시험을 수행하기에 많은 어려움이 발생한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많은 밸브 제조기업에서 수치해석을 활용하여 실험값을 대체하고 개발에 참고하고 있다. 국내 밸브업체의 경우 대부분 국제규격 측면에서 제품을 설계, 생산하고 있으며 내압강도와 기밀시험과 같이 구조적인 문제를 해결하는데 개발의 초점을 두고 있다. 반면, 유동특성과 유량계수의 산출과 같이 시스템 내부의 설계인자를 복합적으로 고려한 성능검증 절차의 경우 구조적 특성에 비해 소극적으로 개발 및 검증하고 있다. 또한, 역설계 제품의 경우 시간적, 비용적 문제로 인해 별도의 실험을 진행하여 검증을 하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산업용 밸브의 경우 운전 특성과 작동 환경에 따라 유량과 압력 등이 달라지므로 밸브 자체에 대한 특성파악이 개발에 있어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산업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플러그밸브에 대한 유량계수를 수치해석의 방법으로 산출하고 Full Open 상태에서의 유량계수 실험값과 결과를 비교하여 수치해석적 방법을 통한 산출방법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한다. 그 후 밸브의 개폐 정도에 따른 유량계수를 산출하고 유동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In general, the flow coefficient (Cv) is measured through an experimental method to verify the valve performance, but due to the limitations of the test facility, the type of valves that can be tested is limited, and the problem of increasing the test cost for various cases also arises. In the case of a plug valve, it is necessary to measure the flow coefficient according to the degree of opening and closing, but it is difficult to perform a performance verification test due to time and cost limitations. As an alternative to this, many valve manufacturers use numerical analysis to replace experimental values and refer to them for development. Most of the domestic valve companies design and manufacture products in terms of international standards, and their development focuses on solving structural problems such as pressure resistance and leak tests.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performance verification procedure that complexly considers the design factors inside the system, such as calculation of flow characteristics and flow coefficients, it is passively developed and verified compared to structural characteristics. Also, in the case of reverse engineered products, due to time and cost issues, tests are not conducted and verified. In the case of industrial valves, since the flow rate and pressure vary depending on the operating characteristics,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valve itself i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in the development. In this study, the flow coefficient of the plug valve, which is widely used industrially, is calculated by the method of numerical analysis, and the reliability of the calculation method through the numerical analysis method is secured by comparing the experimental value and the result of the flow coefficient in the full open state. After that, the flow coefficient according to the degree of opening and closing of the valve is calculated and the flow characteristics are analyzed.

      • KCI등재후보

        보건교육사 직무 및 자격제도에 관한 연구

        김민경 ( Kim Minkyung ),신경애 ( Shin Kyeongae ),류황건 ( Ryu Hwanggun ) 대한통합의학회 2016 대한통합의학회지 Vol.4 No.4

        Purpose : This study was to suggest a recommendation of the role and the operating qualification system of health education specialists. Method : This study was conducted by law and descriptive literature review on health education and health promotion. Result : This study was to analysis of the contents of the National Health Promotion Law and the relevant literature. Conclusion :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uggestions below to research a health education specialists qualifications and duties and role-specific factors based on the content of legislation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 KCI등재

        하나의 홍가(紅歌), 세 개의 장르

        김민경 ( Kim Minkyung ),김도경 ( Kim Dokyung ) 고려대학교 중국학연구소 2020 中國學論叢 Vol.0 No.69

        This article explores the mechanism of change of symbolic meaning with the case of ‘Red Songs(紅歌),’ which has at least three different symbolic systems. The first is ‘Red Songs’ of Mao Zedong’s era. Here, it could be interpreted as “religious music.” Mao Zedong and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were glorified, and musically sounded like a bright and energetic march. It was also sung mainly in official ceremonies such as national anniversaries. In addition, it was followed by special meanings such as overcoming hardships and adversity. The sublime, piousness and solemnity filled the ‘Red Songs.’ The second one was made up of ≪Red Sun(紅太陽)≫, which was very popular album in China in the early 1990s. Here, ‘Red Songs’ was a ‘trot’ with dance rhythm and disco flavor, and little praise for Mao was conveyed. Electronic instruments were mainly used, and the most popular singer sang. Many people listened to the song as a diversion, and even sang it with excitement at karaoke. The last one can be found in ≪China Red Song Show(中國紅歌會)≫, which was one of the most popular TV show in China in the late 2000s. Here, it was more like ‘moral song.’ Most of the ‘Red Songs’ appeared through the process of revising and deleting the lyrics. Songs that used to be hard to see as ‘Red Songs’ were included here. The meaning of universal ethics and morality was added to ‘Red Songs.’ These three kinds of ‘Red Songs’ have a distinct symbolic systems. The change in symbolic meaning may be the same process as the formation of a new symbolic system, as if a new “genre” is being created

      • KCI등재

        일반근린형 도시재생지역 주민의 이사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서울시 송정동을 대상으로

        김민경(Kim, Minkyung),고준호(Ko, Joonho) 한국지역개발학회 2021 韓國地域開發學會誌 Vol.33 No.4

        도시재생 사업의 유형 중 근린재생 일반형은 노후불량지역이라는 특성상 주민들이 거주하고 활동하는 일상공간에서 가장 많은 부분을 직접적으로 체감하는 사업유형이다. 이 연구는 주민들에게 노후주거지의 환경이 개선되고 주민공동체의 활성화 실현과 같은 긍정적인 효과를 제시하는 도시재생활성화지역으로 선정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자발적 이사의향을 나타낸 주민이 14.7%나 나타나 그 요인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송정동 도시재생 현장지원센터’의 도움을 받아 수행한 ‘송정 도시재생활성화계획 수립을 위한 지역주민 설문조사’에서 563개의 유효한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각 변수의 영향력을 알 수 있는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이사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분석하였고, 설명변수 간 상호작용을 분석하여 우선 결정요인을 파악할 수 있는 의사결정나무 분석방법을 통해 이사하고자 하는 주민의 특성을 분류하였다. 그 결과, 인구특성 중 연령과 거주기간, 거주환경 만족도 그리고 경제적 특성인 점유형태, 지역주민의 관심도에 해당하는 도시재생활성화지역 선정 인지여부가 로지스틱 회귀분석과 의사결정나무 분석모형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났다. 또한,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로는 주택유형이 이사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지역 주민의 관심도에 해당하는 초등학교·유치원 등 공공교육시설의 중요도, 휴식공간의 중요도가 유의한 변수로 도출되었다. 의사결정나무 분석모형에서는 경제적 특성의 직업 중 자영업자와 골목정비, 마을버스 관련 중요도가 이사의향에 유의한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근린재생형 도시재생지역 주민의 이사의향 이면에 배경이 되는 사회경제적 상황 등을 이해하고 도시재생사업계획의 수립과정에 기여하고자 한다. 또한 도시재생사업과 관련한 연구 중 도시재생활성화지역 내에 거주하는 주민의 이사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가 없었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가 있다. For a successful urban regeneration project,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factors influencing the intention of residents to move out. The understanding will be important grounds for reviving the local community. For the understanding, this study used a survey conducted in Songjeong-dong, Seoul, where a general neighborhood urban regeneration project is being performed. The survey data which are composed of 563 samples collected for establishing urban regeneration plan show that 14.7% of the respondents have an intention to move out, despite being selected as an urban regeneration area.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amples with logistic regression and decision tree models, residents’ age, dwelling period,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the residential environment, housing occupancy type, and cognition of urban regeneration area selection are identified to be significant factors in both models.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groups with a higher intention to move out should be carefully treated when establishing an urban regeneration plan. Future studies are recommended to confirm these results, overcoming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that handles only a residential area in Seoul.

      • KCI등재

        문화재청 무형문화재 전수교육관의 인력활용 방안 - 문화예술교육사를 중심으로 -

        김민경 ( Minkyung Kim ),김형남 ( Hyungnam Kim ) 한국무용과학회 2022 한국무용과학회지 Vol.39 No.2

        최근 각 지자체가 설립하는 무형문화재 전수교육관이 10년간 연평균 5개소 가량 증가하고 있다. 이와 관련, 문화재청은 전국 전수교육관의 운영에 있어 전문성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문화예술교육사를 배치하는 사업을 처음 실시했다. 이 사업은 국가무형문화재 이수자로서 문화예술교육사 2급 취득자를 대상으로 신청받아, 해당 지자체를 통한 복무 및 급여관리 등이 이뤄지고 국립무형유산원에서 직무역량강화 워크숍을 진행하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문화예술교육 지원법에 따라 다목의 전수교육관은 1명 이상의 문화예술교육사를 배치하여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각 지자체가 개별적, 자율적으로 배치 사업을 신청할 경우에만, 그것도 승인을 받았을 때 문화예술교육사를 배정받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무형문화재 전수교육관 문화예술교육사 배치 사업의 효율성 제고를 위하여 현장 관계자를 인터뷰하여 해당 사업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현장에서의 실질적 문제점 파악 및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 및 연구방법으로는 사업에 참여하였던 문화예술교육사와 직무역량교육담당자 등 총 8명을 대상으로 2021년 7월부터 약 2주 간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 참가자당 2회에 걸쳐 메일과 전화로 질의응답이 이뤄졌으며 질문지는 인력수급, 계약형태 및 기간, 급여 및 복지, 역량강화교육, 네트워크구축 측면으로 나누었다. 연구결과 연구 참가자는 인력수급과 계약기간, 급여 등의 대부분 항목에서 불만족을 느끼고 있었고 이로 인해 연속되고 안정된 형태의 고용과 처우 개선을 원하고 있었다. 또한 정기적인 보수교육과 교육사 간 네트워크 구축으로 정보 교류 및 소통 확대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Recently, the number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raining Centers established by each local government has increased by about 5 per year for 10 years. In relation with this,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first implemented the project of arranging art and culture education instructors to enhance professionalism and efficiency in the operation of training centers nationwide. This project is designed to receive an application from the persons who acquired art and culture education instructor level 2 license and have completed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performing service and salary management through the relevant local government, and conducting a job competency strengthening workshop at the National Intangible Heritage Center. However, even if the Culture and Arts Education Support Act specifies the displacement of more than one art and culture education instructor at the training center, it undesirable for each local government to Selection is voluntary, not forced. In terms of research subjects and research methods, a total of eight people, including art and culture education instructors and job volume education managers, were interviewed by 1 phone call & 1 email per participant(About 2 weeks from July 2021). The researcher explained to them about manpower supply, contract type and period, salary and welfare, capacity building education, and network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study, respondents were dissatisfied with most of the items, including manpower placement, contractual terms and salaries, and wanted to improve employment and treatment in a continuous and stable type. They also responded that it is necessary to expand information exchange and communication by establishing regular supplementary education and network between educators.

      • KCI등재

        대상의 범주에 따른 3, 4, 5세 유아의 생명현상 판단과 추론

        김민경 ( Kim Minkyung ),이동훈 ( Lee Donghun ),이순형 ( Yi Soonhyung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7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4 No.3

        본 연구는 전형적인 생물과 무생물, 범주 경계선적 대상에 대한 유아의 생명현상 판단과 추론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유아의 생물 개념 발달에 대한 이론적 논쟁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와 경기도에 소재하고 있는 어린이집과 유치원 4곳에 재원 중인 3, 4, 5세 유아 12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의 범주(사람, 인형, 인간형 로봇)에 따른 유아의 생명현상 판단은 유아의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또한 유아의 생명현상추론(생물현상추론, 심리현상추론)은 대상의 범주와 유아의 연령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대상의 범주와 유아의 연령 간의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이를 통해 전조작기 유아에게 인간형 로봇은 범주 경계선적 대상으로 인식되며, 대상에 대한 생명현상 판단과 추론은 4세를 기점으로 질적으로 변화됨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hildren`s judgement and reasoning of the life phenomenon and to suggest related theoretical implications for the children`s biological concept development. One hundred twenty children aged 3, 4, and 5 were randomly selected from three day-care-centers and a kindergarten in Seoul and Gyeonggi-do for this study. Participants were viewed 3 different pictures of human, doll, and humanoid robot. Following each picture watching, participants were asked the life phenomenon judgement question and then the set of six property reasoning questions in a random order.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Win 18.0. The statistical methods used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 repeated measures ANOVA, and F test. The results of the study confirmed that the children`s judgment of the life phenomenon to human, doll, and humanoid robot differs by age. In addi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asoning of the life phenomena according to the objects` category and the children`s age, and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objects` category and the age appeared. The results from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humanoid robot is recognized as a category boundary object for the young children, and children`s judgement and reasoning of the life phenomena seems to be qualitatively changed from the age of fou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