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좌절감과 불안과의 관계에서 A/ B 성격 유형의 매개 효과: 여자 대학생을 대상으로
김미령 한국청소년학회 2015 청소년학연구 Vol.22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A type persona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nxiety and the sub-factors of stress. This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207 female university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revealed through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A type / B type personality causes a positive significant effect on anxiety in the sub-factors of stress called frustration and control ability, when they perceived that they can not control the stress and it was found that more they feeling the frustration higher the anxiety. Second, among the sub-factors of stress, the frustration was appeared to cause a positive significant effect on anxiety for both A type and B type, but the control ability was appeared that not to caus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anxiety for both A type and B type personality. Third, A type personality has shown a partial mediating effect through frustration, but the mediating effect of B type personality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uch results is indicate that frustration is an important therapeutic factor of anxiety, and the core of stress management is control ability. In other words, it can control the conditions that cause stress, and for the B type having a laid back personality of not being overwhelmed by the circumstance, it has been difficulty induction of anxiet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validated to the mediating effect of personality type between on the anxiety and stress, it has provided efficient information to cope with anxiety. 본 연구의 목적은 스트레스 하위요인과 불안과의 관계에서 A 유형 성격의 매개 효과를 검정하는 데 있다. 질문지 조사는 여자 대학생 207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통하여 밝혀진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A 유형/ B 유형 성격은 스트레스 하위 요인 좌절감, 통제능력에서 정적(+)으로 불안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나, 스트레스를 통제할 수 없다고 지각하고 좌절감을 느낄수록 불안감이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스트레스의 하위 요인 중 좌절감은 A 유형/ B 유형 성격 모두 불안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제능력은 A 유형/ B 유형 성격 모두 불안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불안과의 관계에서 A 유형 성격은 좌절감을 통해서 부분매개 효과를 나타냈으나, B 유형 성격의 매개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좌절감이 불안 유발의 중요한 요소이고, 스트레스 관리의 핵심은 통제능력에 있음을 의미한다. 즉,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상황을 통제할 수 있고, 상황에 압도되지 않는 여유로운 B 유형 성격의 경우에는 불안이 유발되기 어렵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의의는 불안과 스트레스와 관계에서 성격 유형의 매개 효과를 살펴봄으로 불안에 대처하는 효율적 자료를 제공했다는데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베이비붐세대, X세대, 준고령세대 여성의 삶의 질 구성요소 비교 연구
김미령 한국노인복지학회 2011 노인복지연구 Vol.0 No.51
This study uses the first year women’s panel data of Korean Women’ Department Institute.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he factors of women’s quality of life by generation-babyboom, X and pre-older adults. The sample size of babyboomer is 2108, X generation is 3921 and pre-older generation is 2301. As factors of the quality of women’s life, health, education, job, the satisfaction of job, social activities such as leisure, fellowship and volunteering were used. Also, the family life such as the division of labor, the satisfaction of division of labor and marital satisfaction were included. The quality of life of future such as worries about one’s old age and the preparation of one’s old age were used. For the comparison of the generation difference, ANOVA and ANCOVA were used.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health differs by generation. Also, the social activities differ by generation. For babyboomers, volunteering was the highest and for X generations, activities for hobby were the highest, and the volunteering was the lowest. The burden and time of house chores were the highest for X generation. For babyboomers, the job ratio is higher than that of X generation but the ratio of laborer is higher than for that of X generation. For the worries of one’s old age, economic status and health were the highest. For X generation, the worries of economic status was the highest. The age was used as covariate to control the age effect. When using ANCOVA, there were generation differences of learning and individual development. For babyboomers, the burden of house chores, marital satisfaction were higher than those of pre-old generation but the time of house chores was lower than that of pre-old generation. For pre-old generation, their job abilities were higher than their degree of education and the job activities. 본 연구는 여성정책연구원의 제1차 여성가족패널자료를 사용하여 베이비붐세대와 X세대, 준고령세대 여성의 삶의 질 구성요소를 비교분석하였다. 각 세대의 표본크기는 베이비붐세대 2108명, X세대 3921명, 준고령세대 2301명이다. 삶의 질 구성요소로는 건강, 학력, 학습 및 자기계발활동 등의 교육, 직장 유무와 일 만족도 등의 경제적 측면, 여가활동, 친교활동, 자원봉사/ 사회참여활동의 사회활동, 가사분담실태, 가사분담 만족도, 부부관계 만족도 등의 가정생활, 노후걱정 및 노후준비 등 미래 삶의 질로 구성하였다. 세대 간 분석을 위해서는 ANOVA(변량분석)와 ANCOVA(공변량분석)를 사용하였다. 변량분석 결과에 의하면 건강은 세대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으며 나이가 많은 세대일수록 건강에 관심이 많다. 세대 간 사회활동에도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베이비붐세대는 자원봉사/ 사회참여가 가장 많고 X세대는 취미생활이 가장 활발하고 자원봉사/ 사회참여는 가장 저조하였다. 가사일 부담과 가사일 시간은 X세대가 다른 세대보다 가장 많았다. 베이비붐세대가 X세대보다 직장이 있는 비율은 높았지만 임금근로자 비율은 낮았다. 미래노후에 대한 염려는 세대를 불문하고 건강과 경제력이 가장 높았으며 X세대의 경제 염려가 가장 높았다. 나이를 공변량으로 하여 세대 차이에서 나이 차이를 배제한 결과에 의하면 학습 및 자기계발에 세대차이가 있었고 베이비붐세대는 준고령세대 보다 본인 가사일 정도는 많고, 부부(성)관계 만족도는 높았으며 본인 가사일 시간은 적었다. 또한 베이비붐세대보다 준고령세대가 자신의 일이 교육수준이나 능력수준보다 높았다.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한 대학도서관 재이용과 추천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품질요소에 관한 연구
김미령,우종필 한국문헌정보학회 2020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5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intention of revisiting and recommending by apply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argeting the service quality factors of university libraries derived from previous studies. For 11 days from April 30th, 2020 to May 10th, 2020, a total of 127 user groups (undergraduate students, graduate students, professors/instructors) were surveyed on their intention to revisit and recommen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Materials’ and ‘service customization’ were shown as quality dimensions that influence revisit. In addition, revisiting was found to have an effect on recommendation intention, and it was analyzed that ‘materials’ and ‘service customization’ affect not only revisit but also recommendation intention. In addition, ‘service customization’ was found to be a factor that directly affects the intention to recommend. Based on this, a method of applying the concept of customization to library services and marketing was proposed in an environment where users’ needs are diversifying and becoming personalized. 본 연구의 목적은 선행연구에서 도출된 대학도서관 서비스 품질요소를 대상으로 재이용과 추천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2020.4.30.부터 2020.5.10.까지 11일간 이용자 그룹(학부생, 대학원생, 교수/강사) 총 127명을 대상으로 재이용과 추천의향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자료’와 ‘서비스 고객화’는 재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품질 차원으로 나타났으며, 재이용은 추천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자료’와 ‘서비스 고객화’가 재이용 뿐만 아니라 추천의향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서비스 고객화’는 추천의향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이용자의 요구가 다변화하고 개인화되고 있는 도서관 환경에서 도서관 서비스와 마케팅에 고객화 개념을 적용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공감적 자기화’를 활용한 글쓰기 수업 모형 - ‘문제 발견 및 해결형’ 글쓰기와 관련하여
김미령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15 리터러시 연구 Vol.- No.12
This study aims to develop more accessible university writing. For this purpose this study presented cases of writing programs using a principle of the empathic self as a ‘reading-writing’ program model. This process can be organized through the results of learners and a questionnaire as follows: First, in the step of reading for perfect understanding of literary works, it was discovered that diverse activities such as plot writing and organization of main events were very effective. Second, in the step of empathy, the program was designed to enhance empathic ability through which students could find problems in a text and substitute them for their own problems. It was discovered that learners had diverse experiences they did not have before. Third, in the step of ‘self-creation, students could discover problems through empathy in that those problems were close to their own problems, and attempted writing of their own. At this time, the writing program induced students to write freely with the writing goal set as a new writing for critical, appreciative and creative writing. It was concluded that: This process was effective through positive responses of deeper understanding of the text, diverse ways of thinking and easy writing approaches were available. 본 논문은 ‘읽기-쓰기’ 모형의 글쓰기 수업 방안으로서 ‘공감적 자기화’ 원리를 응용한 수업 사례를 언급하고, ‘대학 글쓰기’에서의 접근 가능성을 모색해 보고자 하는데 목표를 두었다. 이는 ‘공감적 자기화’ 원리가 ‘공감’ 능력과 ‘자기화’ 능력을 확장시키는 유용한 방법론이라는 점에 착안한 것으로, ‘글쓰기’ 교육에서 유의미하다고 판단한 데 따른 것이다. 이에 따라 본고는 기존의 ‘공감적 자기화’ 원리에 따른 ‘관계 짓기-자기화하기-표현하기’ 3단계 과정을 ‘읽기-공감하기-자기화하기’의 세 과정으로 수정 보완하여 실제 수업 사례를 제시하였다. 이 과정은 학습자들의 결과물과 설문을 통해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었다. 첫째, 작품에 대한 온전한 이해가 목표인 ‘읽기’ 단계로서, ‘줄거리 쓰기’, ‘주요 사건 정리’ 등의 다양한 활동이 상당히 효과적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공감하기’ 단계로서, ‘텍스트 내의 문제’를 발견하고, 그것을 자신의 문제(또는 사회 전반의 문제)로 치환할 수 있는 공감능력을 키우고자 하는 활동 중심의 수업이었다. 실제로 학습자들은 이 과정에서 기존에는 경험하지 못했던 다양한 경험들과 사실들을 발견해 낼 수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자기화’ 단계로서, 공감하기를 통해 발견된 문제를 좀 더 ‘자신의 문제’로 밀착시키고, 자신의 입장을 정리하기 위한 글쓰기를 시도하였다. 이때 글쓰기는 장르중심의 형식을 강조하기보다, 글을 쓰는 목적을 ‘비판’, ‘감상’, 창의적 쓰기로서 ‘바꿔 쓰기’ 중 하나로 정하고 자유롭게 글을 쓰도록 유도하였다. 이 과정은 ‘자기화’를 통한 과정을 마친 학습자들의 마지막 ‘소감’을 묻는 설문을 통해서, 작품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 틀에 박히지 않는 다양한 생각의 가능성, 글쓰기가 수월해졌다 등의 긍정의 답변들을 통해 효과적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A Case of Mycoplasma haemofelis Infection in a Korean Domestic Shorthair Cat
김미령,이승진,이근우 한국임상수의학회 2014 한국임상수의학회지 Vol.31 No.1
A six-months-old male Korean domestic shorthair cat was presented with fever, tachypnea, anorexia, andweight loss and admitted to Lee Seung Jin Animal Medical Center. During the routine physical examination, clinicalsigns such as mild dehydration and jaundice in the sclera were present. The complete blood count (CBC) and serumchemistry result showed anemia, thrombocytopenia, neutrophilia, and hyperbilirubinemia. Radiography revealedhepatomegaly and splenomegaly. Blood smear and microscopic examination showed severe hemolysis and anisocytosis. We sent the blood sample to the Neodin Veterinary Laboratory for PCR analysis to conduct a test to find out Ehlichia,feline hemoplasmas (haemobartonella), feline leukemia virus (FeLV), feline immunodeficiency virus (FIV) andanaplasma infection. According to PCR examination, the blood of this cat was positive for feline hemoplasmas(Mycoplasma haemofelis), but negative for other pathogens. The patient was prescribed doxycycline for 4 weeks andprednisolone for 1 week. The free of feline hemoplasmas infection was confirmed by PCR recheck after six months.
Metastatic Bilateral Renal T-Cell Lymphoma in a Persian Cat
김미령,손정민,이승진,장성환,김재훈 한국임상수의학회 2019 한국임상수의학회지 Vol.36 No.6
A two-year-old spayed female Persian cat demonstrated weight loss, anorexia, and vomiting for one week. Hematologic findings suggested chronic renal failure. Radiography and ultrasonography revealed severe bilateral renomegaly with hypoechoic nodules and subcapsular hypoechoic rim. Fine needle aspiration of the kidney revealed malignant lymphoma. The cat received in-hospital treatment for chronic renal failure for seven days, followed by chemotherapy (cyclophosphamide, vincristine, and prednisolone). The cat tolerated chemotherapy well and chronic kidney disease was alleviated. However, complete remission was not achieved. After 93 days of treatment, the cat exhibited anisocoria and mental dullness. Brain magnetic resonance imaging revealed hypertrophy and enhancement of cranial nerves. Chemotherapy was replaced with lomustine (10 mg orally), and two weeks later, cytosine arabinoside (50 mg/m2 subcutaneously), twice daily for consecutive days. Five days after substitution chemotherapy, the patient showed anemia due to severe intestinal bleeding and died. Post-mortem examination and histopathologic analysis confirmed renal T-cell lymphoma with metastasis to the central nervous system, colon, and nasal cavity. Survival time was 117 days after the diagnosis of renal lymphoma.
쪽방거주자의 스트레스원과 극복자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김미령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08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 No.
After the crisis of IMF in 1997, the number of homeless was increased. Accordingly, the concerns about the homeless was increased. The resident of Skid Row Community is regarded as homeless. This study is examined on the effect of stressors and coping resources on depressive symptoms. As a theoretical framework, stress process model was used. The life condition of the homeless itself is stressful. As stressors of their lives, unemployment and chronic illness/functional disability which are directly related to the poverty were used. As coping resources, problem-focused coping, emotion-focused coping and social support were used to see the effect on depressive symptoms.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he resident of Skid Row Community who live in Seoul and Daegu and the sample size is 173. As a sampling method, availability sampling was used. For checking the factors of coping strategies, principle component analysis was used. For data analysis, t-test or x2 were used for difference test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was used for effect tests.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f the coping strategies depending on the chronic illness. When there is chronic illness, the problem-focused coping is lower and the emotion -focused coping is higher than those of no chronic illness i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Also, when there is physical illness, the depressive symptom is higher than that of no chronic illness i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The level of the depressive symptom is higher when one has no job compared to one having a job, but it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research results show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effect of the chronic illness and having no chronic illness on depressive symptom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effects of the problem-focused coping and the perceived social support on the depressive symptom are negative i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Thus, the problem-focused coping and the perceived social support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depressive symptom of the homeless. IMF 경제위기 이후 노숙인 숫자가 늘어났으며 이에 따라 노숙인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게 되었다 쪽방거주자들은 거처할 곳은 있지만 열악한 주거환경과 지역사회의 주류가 되지 못하는 주변인으로 노숙인의 범주에 들어간다. 이 연구는 스트레스 과정모델을 분석들로 하여 쪽방거주자들의 스트레스 원과 극복자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 것이다. 쪽방거주자들의 열악한 환경에서 사는 삶 그 자체뿐 아니라 빈곤과 직결되는 실직상태 혹은 무직상태와 만성적인 질병과 장애는 쪽방거주자들의 스트레스 원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스트레스 원에 대한 극복자원으로 문제중심 극복, 정서중심 극복과 사회적 지지를 사용하여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대구의 쪽방거주자로 샘플크기는 173명이다. 극복유형은 주성분분석을 하여 문제중심 극복과 정서중심 극복 두 요인으로 구분하였다.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보기 위해서는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만성질환이 있는 경우 문제중심 극복은 만성질환이 없는 경우보다 통계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정서중심 극복은 통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우울은 만성질환이 있는 경우가 만성질환이 없는 경우보다 통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직장은 우울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스트레스와 극복자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만성질환 유무에 따라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으며 문제중심 극복과 인지적 사회적 지지는 우울을 유의미하게 낮추고 있다.
형사사법정보의 빅데이터 활용방안 연구: 구조화 범주화 관점으로
김미령,노윤주,김성훈 한국정보관리학회 2019 정보관리학회지 Vol.36 No.4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importance of data is intensifying, but there are many cases where it is not easy to use data due to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lthough criminal justice information is expected to have various useful values such as crime prediction and prevention, scientific investigation of criminal investigations, and rationalization of sentencing, the use of criminal justice information is currently limited as a matter of legal interpretation related to privacy protection and criminal justice information. This study proposed to convert criminal justice information into ‘crime data’ and use it as big data through the structuralization and categorization of criminal justice information. And when using “crime data,” legal issues, value in use, considerations for data generation and use were verified by experts, and future strategic development plans were identified. Finally we found that ‘crime data’ seems to have solved the privacy problem, but it is necessary to specify in the criminal justice information related law and it is urgent to be organized in a standardized form for analysis to use big data. Future directions are to derive data elements, construct a dictionary thesaurus, define and classify personal sensitive information for data grading, and develop algorithms for shaping unstructured data. 4차 산업혁명시대를 맞아 데이터의 중요성은 심화되고 있으나, 개인정보보호 등의 문제로 데이터의 활용이 쉽지 않은 경우가 많이 있다. 형사사법정보는 범죄 예측 및 예방, 범죄수사 과학화, 양형합리화 등 다양한 활용가치가 예상됨에도 현재 개인정보보호와 형사사법정보 관련 법률적 해석 문제로 활용이 상당히 제한되고 있다. 본 연구는 형사사법정보의 구조화․범주화를 통해 ‘범죄데이터’로 전환하여 빅데이터로서 활용하도록 제안하였으며, ‘범죄데이터’ 활용시 법률적 문제, 활용가치, 데이터 생성 및 활용시 고려사항을 전문가를 통해 검증하고 향후 전략적 발전방안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범죄데이터’는 개인정보보호문제는 해결된 것으로 보여지나, 형사사법정보 관련법에 명시할 필요는 있으며, 빅데이터 활용을 위해 분석 가능하도록 표준화된 형태로 정리되는 것이 시급함이 밝혀졌다. 향후 진행방향으로는 데이터 요소 도출, 용어사전 시소러스 구축, 데이터 등급화를 위한 개인민감정보 정의 및 등급지정, 비정형데이터의 정형화를 위한 알고리즘 개발 등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