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덕과 교육에서 도덕적 상상력을 기르기 위한 명화의 활용

        김미덕 ( Mi Duck Kim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0 윤리교육연구 Vol.0 No.22

        최근에 도덕과 교육에서 활발하게 논의되는 개념들 중의 하나는 도덕적 상상력이다. 도덕적 상상력이란 주어진 상황 속에서 도덕적으로 행동하기 위해 다양한 가능성을 상상적으로 분별하기 위한 능력이다. 즉, 타인에게 내적인 섬세함과 책임감을 가지고 행동하기 위해 소유해야 할 능력인 것이다. 따라서 도덕과 교육에서는 도덕적 상상력을 기르기 위해 다양한 수업 자료를 활용한다. 동시대에 살고 있는 모든 공동체는 생존을 위해 윤리의식을 공유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러므로 문학과 역사 그리고 철학을 활용한 수업 방법들은 도덕과 교육의 좋은 예라고 할 수 있다. 도덕과 교육에서 문학과 역사 그리고 철학을 활용한 연구는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명화를 활용한 방법은 많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도덕 교과서를 장식하고 있는 명화 역시 중요한 수업자료로 활용할 수 있음에 주목한다. 따라서 도덕적 상상력을 키우기 위한 방법으로 명화의 활용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명화의 활용과 도덕적 상상력 그리고 그 이론적 근거를 살펴보고, 현행 제 7차 도덕과 교육과정과 개정 교육과정에서 활용된 명화를 분석해 보았다. 또한 2009년 개정 교육과정에 의해 적용되는 도덕 검정 교과서의 명화 활용과 시사점을 살펴보았다. Recently, one of the concepts that has been frequently discussed in moral education(ethics) is moral imagination. It is the essential ability which people need to possess in order to behave with intrinsic delicacy and responsibility to others. In moral education, various kinds of class materials have been used to build moral imagination. All community in the same age has no choice but to share ethical consciousness for survival. Therefore, teaching methods using literature, history, and psychology can be good examples for moral education. While the research of those teaching approaches is actively in progress, there is few teaching methods developed that use fine arts. In this thesis, the fact that fine arts or masterpiece in the textbooks of ethics can be made good use of class materials is focused. As a way of building moral imagination in moral education, the practical use of fine arts is going to be researched here.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application of fine arts and moral imagination has been represented, and fine arts or masterpiece in the government-published textbooks from seventh curriculum have been analyzed in this thesis. The application of fine arts in the authorized textbooks of the 1st grade of middle school in 2010, which will be applied from the revised curriculum, will be discussed here.

      • KCI등재

        노자와 스피노자의 자연관에 기초한 환경윤리교육

        김미덕 ( Mi Duck Kim ) 한국윤리교육학회 2009 윤리교육연구 Vol.0 No.19

        현대 문명의 급격한 발전이 낳은 인간의 의식 속에는 이분법적인 사고와 자연은 인간을 위해 존재한다는 서양의 인간 중심주의적 자연관이 자리 잡고 있다. 이로 인해 오늘날의 환경 문제가 야기되었다고 보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우리의 환경윤리교육은 대안으로 동양의 자연관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동양과 서양의 자연관을 단순 비교하는 이러한 환경윤리교육은 많은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그 동안 도덕 교과에서 환경윤리 교육은 환경윤리 이론과 사상을 중심으로 가르치거나 직접 자연 속으로 들어가 체험을 함으로써 자연과 교감하게 가르치거나 하는, 양 극단의 방법이 주로 사용되었다. 그렇지만 이제는 동서양 자연관 모두를 포함한 도덕적 추론과 상상력을 함께 강조하는 통합적 접근이, 환경윤리교육에 필요하다. 노자와 스피노자는 자연을 목적론적 체계로 보는 것을 경계한다. 본 연구에서는 노자와 스피노자의 자연관을 함께 다룬 마리타 맥카티의 자연관 교육 프로그램을 살펴본다. 이 프로그램은 ``자연`` 개념과 자연에 대한 상상력을 길러준다. 그리고 도덕적 추론 능력과 도덕적 상상력의 신장을 동시에 추구하고 있으므로, 우리의 환경윤리교육에 주는 시사점이 크다고 할 수 있다. The current environmental problems and ecological crisis are not just simple issues limited to one society, but they are complicated global issues. To solve this ecological crisis, we should change the way we see nature itself and be aware of the necessity of teaching environmental ethics to our future generations Environmental ethics is the study of questions about the value between human beings and nature. By simply comparing the asian view of nature with that of western people view causes many problems. The greed western outlook on nature has destroyed nature and regarded nature as something to conquer. And it is a main cause of this environmental crisis that we face. The asian philosophy of environment and Lao-tzu`s are suggested as a solution to the environmental crisis. It also could be an alternative proposal for the change of consciousness to that matter. However, we still can find a solution to this problem in western philosophy, so it is important to figure out the similar aspects of these two different philosophies. By teaching environmental ethics in Korea, many teachers adapt the method of comparing the asian view of nature with that of the western view. Also, the textbooks for th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re dealing with environmental pollution issues for the most part. And this has been perceived negatively. There have been two extreme teaching methods, one focusing on the theories about environmental ethics and the other giving students the chances to sympathize with nature by experiencing nature itself. In moral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seek the compromise between- a theory based approach and an experiential approach. In moral education, the synthetic approach is a newly suggested approach. It is the combination of ethics education based on asian and western views on nature and teaching how to make moral deduction. This research study the philosophy of Spinoza and Lao-tzu`s. They are believed to be very helpful to overcome the environmental crisis. As a part of moral study, environmental ethics education needs more programs helping the learners develop their imaginative power and understand the concept of " nature" by using their imagination. There is one environmental ethics education program that deals with the philosophy of Spinoza and Lao-tzu`s, it is Marietta McCarty`s education of "nature" in Little Big Minds. This program helps the students understand the concept of the "nature" and develop the imaginative power about the nature. At the same time, it includes the philosophy of Spinoza and Lao-tzu`s. This research look into some of the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of Marita McCarthy`s program. There are many environmental ethics programs based on Lao-tzu`s view on nature but there are few based on Spinoza. Marietta McCarty`s program is based on the philosophy of Spinoza and Lao-tzu`s. However, the effectiveness of this teaching method and how to teach this program to the students, is not studied very much so this could be a very risky trial.

      • KCI등재

        엘진의 절차적 인식론과 도덕과 교육

        박진환 ( Jin Whan Park ),김미덕 ( Mi Duck Kim ) 한국윤리교육학회 2009 윤리교육연구 Vol.0 No.20

        본 논문은 롤즈의 절차적 정의론을 원용하여 인식론을 완전한 절차적 인식론, 순수한 절차적 인식론, 불완전한 절차적 인식론으로 분류했던 엘진의 이론에 기초하여 지금까지 도덕과 교육이 시도했던 여러 가지 실험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자 한다. 절차적 인식론으로 도덕과 교육을 평가해보는 일은, 절대적 진리라고 알고 있던 진리마저 완전하지 않다는 것을 알게 되었을 때의 혼란함을 막을 수 있을 것이다. 다양한 의견들이 서로 상충될때 서로의 합의점을 찾기 위해서는 불완전한 절차적 인식론에 기초하여 해법을 찾아보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다. 우리가 지향해 나가야 할 도덕과 교육은 불완전한 절차적 인식론에 기초한 것이어야 한다. 이미 그러한 방향 설정은 2007년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에 부분적으로 도입되었다. 반성적 균형에서의 ``숙고된 판단``을 강조하는 일, 도덕적 탐구공동체 형성을 강조하는 일, 그리고 도덕적 상상력을 기르는 일 등은 불완전한 절차적 인식론에 기초하여야만 제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와 관련하여 대학수학능력평가, 내신 등과 같은 도덕과의 평가 문제가 여전히 미해결의 과제로 남겨져 있다. This thesis is for investigating all of the experiments that have been tried in our moral education with a critical eye, based on Elgin`s theory which classified epistemology into perfect procedural epistemology, imperfect procedural epistemology, and pure procedural epistemology. Elgin quoted Rawls` theory of procedural justice. To judge moral education with procedural epistemology could prevent all the chaos when we realize that absolute truth is not an absolute truth any more and also let us reach an agreement when there are conflicting opinions. We should teach moral education based on imperfect procedural epistemology. In the 2007 revised Curriculum of Moral Education, we find that kind of approach. Emphasizing ``considered judgement`` in reflective equilibrium, forming community of moral inquiry and developing moral imagination could be properly performed only when these are based on imperfect procedural epistemology. But still, the evaluation and assessment in Moral Education are still left as an unsettled issu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