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현병 환자의 개별목표달성 향상을 위한 목표달성척도의 적용에 관한 탐색적 연구

        김묘정,이석호,김용석 한국융합학회 2019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0 No.9

        This study focused on application and examination of the goal attainment scale(GAS) to participants diagnosed as schizophrenia spectrum and other psychotic disorders. The participants were instructed to set their own goals and evaluate them using the GAS. Scores of each participant’s GAS were later calculated to determine the level of goal attainment. A single group pre-post test design and linear mixed effects models were used to examine application and effectiveness of the GAS. The results found that the average GAS scores increased along with observations and the rate of the increas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ddition, this study indicated the importance of self-determined goal setting, goal attainment, and supports of the process. Practical implication and limitation of this study were also discussed. 본 연구는 조현병스펙트럼 및 기타정신병적장애 진단을 받은 환자들(이하 조현병 환자)을 대상으로 목표달성척도를 적용하고 효과성을 평가하는데 있다. 연구 대상자들은 목표달성척도를 활용하여 자신의 개별목표를 설정하고 목표의 달성 정도를 정기적으로 자가 평가하였다. 연구 대상자들의 목표달성점수를 계산하여 목표달성 정도를 나타냈다. 평가를 위해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하였고 선형혼합효과모형을 사용하여 목표달성척도 적용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평가 결과, 연구 대상자들의 목표달성점수는 측정시점에 따라 점차 증가하였고 이러한 증가는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하였다. 본 연구는 조현병 환자들을 위해 자기결정을 통한 목표 설정, 목표성취 그리고 그 과정을 지원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도출된 임상적 함의, 연구의 한계 등이 추가로 논의되었다.

      • KCI등재

        지상관측 자료를 이용한 AMSR2 토양수분자료의 편이 보정

        김묘정,김광섭,이재응,Kim, Myojeong,Kim, Gwangseob,Yi, Jaeeung 한국농공학회 2015 한국농공학회논문집 Vol.57 No.4

        Quantitative variability of AMSR2 (Advanced Microwave Scanning Radiometer 2) soil moisture data shows that the remotely sensed soil moisture is underestimated during Spring and Winter seasons and is overestimated during Summer and Fall seasons. Therefore the bias correction of the remotely sensed data is essential for the purpose of water resource management. To enhance their applicability, the bias of AMSR2 soil moisture data was corrected using ground observation data at Cheorwon Chuncheon, Suwon, Cheongju, Jeonju, and Jinju sites. Test statistics demonstrated that the correlation coefficient R is improved from 0.107~0.328 to 0.286~0.559 and RMSE is improved from 9.46~14.36 % to 5.38~9.62 %. Bias correction using ground network data improved the applicability of remotely sensed soil moisture data.

      • KCI등재

        竹堂 申濡의 일본체험과 지식의 새 지평 - 지식기반과 지식영역의 확대 양상을 중심으로 -

        김묘정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18 고전과 해석 Vol.25 No.-

        이 글은 한시 형식으로 구성된 竹堂 申濡의 통신사행록을 주된 텍스트로 삼아 그 안에 담긴 지식의 실체를 파악하기 위해 기획된 것이다. 이에 필자는 죽당의 통신사행록 고찰을 통해 지식의 두 가지 층위를 확인하였다. 첫 번째는 高靈 申氏 가계 계승을 통한 지식기반의 정립 양상으로, 이는 집안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지식의 유통 양상을 확인하는 작업과 연계되며 간접 지식 습득 면모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의미를 지닌다. 두 번째로는 실질적 일본체험을 통해 수정・보완・재설정 과정을 거친 지식기반의 확충 양상을 확인하였다. 더불어 일본 지식인과 직접 교류함으로써 지식기반을 확충해 나가게 된 판단의 준거에 대해 밝혔다. 견문 범위 확장이라는 1643년 통신사행의 특징을 확인해 그 안에서 포착되는 시선의 전환을 논의하였으며, 다분야에서 지식영역을 확대하고자 했던 움직임을 추적함으로써 지식의 새 지평 확장 양상을 고찰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ssence of knowledge contained in Tongshinsahaengrok (Chronicle of the Joseon Diplomatic Missions' Trip to Japan) of Jukdang Shin-yu composing of the form of Sino-Chinese poetry, with the main focus on it. In this regard, the author came to find two knowledge patterns by considering as to Tongshinsahaengrok of Jukdang. One is the pattern for establishing knowledge foundation through the succession to Goryeong Shin's clan. This has something to do with examining the aspect of knowledge delivery that was being conveyed mainly by family clan, and makes it possible to acquire indirect knowledge. In that sense, this pattern is significant. Another is the pattern for extending knowledge foundation that was revised, complemented and reestablished, based on real experiences in Japan. The extension of the scope of knowledge and experiences, and the changing viewpoints discovered through it were discussed. The pattern for broadening a new prospect of knowledge was considered by tracking down the movements that were intended to expand knowledge sphere in multi-fields.

      • KCI등재

        차운시(次韻詩)에 드러난 지식 활용의 제 양상-행원(杏園) 최동립(崔東立)의 차운시 작시 양상을 중심으로

        김묘정 한국문학회 2022 韓國文學論叢 Vol.90 No.-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proper aspects of the use of knowledge revealed in Rhyme-borrowing Poems, with Choi Dong-rip (1557~1611) as the main subject of research. Knowledge is used in various ways in the process of creating literary works, especially in that rhyme-borrowing poems is a material that can confirm the aspect of the use of knowledge sources among poems. Since rhyme-borrowing poems is written in a way that rhymes with original verse poem, it is creat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how you approach original verse poem, which is the source of knowledge. Therefore, this article was designed to understand the proper aspects of knowledge utiliz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reative method of Rhyme-borrowing Poems. Accordingly, Chapter 2 confirmed the life of a Haengwon and opened the entire Rhyme-borrowing Poems. In addition, the meaning of knowledge utilization was identified by dividing the layers of knowledge identified in Rhyme-borrowing Poems.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life and literary collection of the Haengwon was not made to the academic world, detailed review was carried out at the same time. Furthermore, the premise of knowledge utilization was prepared by grasping what Rhyme-borrowing Poems means in terms of knowledge utilization. Next, in Chapter 3, the knowledge utilization patterns identified in Rhyme-borrowing Poems were analyzed. The first aspect we looked at is the aspect of learning and acquiring knowledge as a course of study. Haengwon's Rhyme-borrowing Poems is continuously created throughout the entire collection and is characteristic in that the works of Chinese artists are targeted as academic poems. Second, in terms of knowledge exchange, the creative aspect of Rhyme-borrowing Poems using the same material was analyzed. This shows what the creation of Rhyme-borrowing Poems using the same material means in terms of knowledge exchange. Third, it revealed that it is a genre in which spontaneous knowledge sharing and real-time communication take place in that it is possible to create poetry using the rhyme of original verse poem immediately. 이 글은 杏園 崔東立(1557~1611)의 次韻詩를 주요 연구 대상으로 삼아 차운시에 드러난 지식 활용의 제 양상을 살피고자 한 것이다. 지식은 문학 작품 창작 과정에서 다양하게 활용되는데, 특히 한시 가운데 차운시는 지식 원천 활용의 제 양상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차운시는 원운시의 운자에 차운하는 방식으로 작시되므로, 지식의 원천에 해당하는 원운시에 어떻게 접근하느냐에 따라 다양한 양상으로 창작된다. 따라서 이 글은 차운시 작시 방식 분석을 통해 지식 활용의 제 양상을 파악할 수 있다는 판단 아래 구성된 것이다. 이에 2장에서는 행원의 삶과 차운시를 개관하는 작업에서부터 시작하여 차운시에서 확인되는 지식의 층위를 나눠 지식 활용의 의미를 파악하였다. 행원의 삶과 문집에 대한 소개가 학계에 이뤄지지 않았으므로 기초 작업이라는 측면에서 면밀하게 검토하는 작업을 병행한 것이다. 나아가 차운시가 지식 활용 측면에서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 파악함으로써 지식 활용 양상의 전제를 마련하였다. 다음으로 3장에서는 행원의 차운시에 드러난 지식 활용 양상을 분석하였다. 첫 번째로 살펴본 양상은 학시 과정으로서의 차운과 지식 습득 면모이다. 행원의 차운시는 전 문집에 걸쳐 지속적으로 창작되고 있으며 중국 작가의 작품을 학시의 대상으로 삼았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두 번째는 지식 교류 측면에서의 동일 소재를 활용한 차운시 창작 양상을 분석하였다. 이는 동일 소재를 활용한 차운시 창작이 지식 교류 측면에서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 보여준다. 세 번째는 즉흥적 지식 공유를 통한 실시간 소통 양상을 살폈다. 여기에서는 차운시 창작이 원운시의 운자를 활용해 즉시 때에 맞춰 이뤄짐을 확인하고, 차운시가 즉흥적 지식 공유와 실시간 소통이 이루어지는 장르임을 밝혔다.

      • KCI등재

        Kinetic Analysis and Enzyme Concentration Effect Relevant to Dependence of Amylolysis of Starch Granules on Specific Surface Area Concentration

        김묘정,정유정,이상현,이희섭,김재철 한국식품과학회 2014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Vol.23 No.2

        The kinetics and enzyme concentration effectson the amylolysis of rice, maize, and potato starch granulesby porcine pancreatic α-amylase (PPA) were analyzed. The Km values of the native starches, when expressed as afunction of surface area concentration, were similar to eachother. Inconsistencies in Vmax values can be attributed to thedeviations from real values of the surface area concentration. The deviations were confirmed by that the initial ratedifferences among the native starches with the sameapparent surface area concentration were observed at lowenzyme concentrations. Kinetic parameters of dimethylsulfoxide (DMSO)-solubilized native starches showed nosignificant difference, demonstrating that structural andcompositional differences of starches do not affect amylolysis. The resistance of starch granules against amylolysispredominantly affects the Vmax, and as a result, the kcat isreduced compared with DMSO-solubilized starch. Inconclusion, the kinetic analysis and enzyme concentrationeffect confirmed that surface area concentration mainlyaffects the initial hydrolysis rate of native starch granules.

      • KCI등재

        1697년 三使 연행시의 교류성 연구 -崔錫鼎·宋相琦·崔奎瑞의 작품을 중심으로- 16

        김묘정 한민족어문학회 2017 韓民族語文學 Vol.0 No.78

        This writing is a part of an attempt to illuminate the Interchangeability of three Envoys’ Traveling Poems targeting the works of Choi Seok-jeong (崔錫鼎), Song Sang-ki(宋相琦), and Choi Gwi-seo(崔奎瑞) who participated in the three Envoys’ trip in 1967. Accordingly, a few features of the trip in 1967 were examined in order By surveying works of these three envoys, the poetry of the rhyme borrowed and phrase connecting poetry were identified more important quantitatively than the other travel writings. As a result of comprehensive review, the interchanging facet of the envoys’ travel poems showed 2 aspects. The first one was a shared aspect of spatial discussion. In particular, this aspect was caught in the three envoys’ poetry of the rhyme borrowed. Traveling carries the special nature in that it shares the same space. It was confirmed that more active dialogue took place between them. In addition, historical significance was revealed centered on Shenyang and Sanhaegwan. Through these works, interchanging aspect was surveyed. The second one was the communication aspect of discussion through organic management of the subject. Since the 100-rhythm-phraseconnecting- poetry (百韻聯句詩) was created by two persons in terms of management of the subject, individual works were confirmed to be connected organically. In addition, in the course of confirming the shared aspect of phrase-connecting poetry discussion, features contained in the 17thcentury’ stravelingwritingwasderivedanditsignificancewasdiscussed. 이 글은 1697년 연행에 임했던 崔錫鼎, 宋相琦, 崔奎瑞 작품을 대상으로 삼아 三使 연행시의 교류성을 조명하고자 한 시도의 일환이다. 그에 따라 선차적으로 1697년 연행의 몇 가지 특징을 살피고, 三使의 작품을 개관해 次韻詩와 聯句詩 형식이 여타 연행록에 비해 양적으로 비중이 높음을 밝혔다. 종합적으로 살펴본 결과 三使 연행시의 교류성 양상은 두 가지 면모를 보인다. 첫 번째는 공간 담론의 공유 양상으로 三使의 次韻詩에서 특히 이 같은 면모가 포착된다. 연행은 동일 공간 공유라는 점에서 특수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이들 사이에 더욱 적극적인 대화가 이뤄졌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심양과 산해관이라는 공간을 중심으로 역사적 의미를 밝히고, 이들의 작품을 통해 교류 양상을 조망하였다. 두 번째는 주제의 유기적 운용을 통한 담론의 소통 양상이다. 百韻聯句詩가 주제의 운용 측면에서 두 사람이 함께 창작했다고 보기 어려울 정도로 개별 작품들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 밖에도 연행시의 담론 공유 양태를 확인하는 과정 속에서 17세기 연행록이 가지는 특징을 추출해 의미를 논의하였다.

      • KCI등재

        곤륜(昆侖) 최창대(崔昌大)의 교유시(交遊詩) 연구 — 지식인들과의 교유 양상을 중심으로

        김묘정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9 人文論叢 Vol.76 No.1

        This article aims to comprehend the social associations between intellectuals based on the study of social association poems written by Gollyun Choi Changdae. The first characteristic is that true social associations can be found in the poems of praise. Gollyun seems to have composed poems based on a close relationship. Secondly, the signs of poetic communication among poetical friends through meetings could be confirmed. Gollyun composed Chinese poetry using antithesis while singing poetries with intellectuals, who were of Soron origin. Moreover, most of the poems had been written in his later years, at a time when he preferred frank social associations. Thirdly, this study explored how excitement from sightseeing a common place was shared. Gollyun maintained an active attitude in promising and actually going sightseeing with his intellectual friends, and shared experiences of the landscape with his companions. 이 글은 곤륜(昆侖) 최창대(崔昌大)의 교유시(交遊詩)를 연구 대상으로 삼아 지식인들과의 교유 양상을 파악하기 위해 기획된 것이다. 이에 첫 번째 특징으로는 송시(送詩)⋅증시(贈詩)에서 확인되는 진실한교유 양상을 들 수 있다. 시적 대상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전제로 한내용이 내재되어 있기에 곤륜이 친밀한 교유 관계를 바탕으로 작시했음을 볼 수 있다. 두 번째로는 모임을 통한 시우(詩友)와의 시적 소통양상을 확인하였다. 곤륜은 시적 교유가 가능한 지식인들과 수창하며연구시(聯句詩)를 창작했는데, 교유 인물이 소론계 지식인이라는 공통적 특징을 지님을 밝혔다. 더 나아가 작시 시점이 만년에 집중되어 있음을 포착하고 담박한 교유를 지향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세 번째로는 동일 공간 유람에서 비롯된 흥취의 공유 양상을 고찰하였다. 교유 지식인과 유람을 기약하고 이행하는 적극적 태도를 견지하였으며, 동행하며 산수 지취를 공유한 사실을 파악하였다.

      • KCI등재

        삼연(三淵) 김창흡(金昌翕) 시에 드러난 실경(實境)의 일 양상– 『이십사시품(二十四詩品)』의 실경 품격을 기반으로 –

        김묘정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20 동양문화연구 Vol.32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spect of real landscape presented in the Samyeon(三淵) Kim Chang-hyeob(金昌翕)'s poetry through the process of specifically examining the dignity of real landscape(實境) from 『Twenty-four Shi Pin』. Accordingly, at the chapter Ⅱ, this study was to read out the specific meaning contexts of 48 words - 12 phrases in order to comprehend the concept of real landscape by dividing Twenty-four Shi Pin of Sikong Tu(司空圖) into three parts by 4 phrases each. The explanation method of 『Twenty-four Shi Pin』, rather than logical analysis, was suggested in an abstract way, so this researcher passed judgment on that it must take precedence to deduct the characteristic process of Shi Pin(詩品) through reading process. In terms of method, this study was to deduct the multidimensional analysis by confirming the real landscape dignity of 『Twenty-four Shi Pin』, beginning with the reading the critical comments(評語) with the real landscape and similar concept or with the analysis of dictionary definition. In turn, at the chapter Ⅲ, this study was to check the embodiment aspect of real landscape dignity by Samyeon's substantial works at the forefront of clarifying the interaction between Samyeon's poetic boundary and the real landscape dignity of 『Twenty-four Shi Pin』. Accordingly, this study was to comprehend that Samyeon's works had the aspects of Wujing(物境), Qingjing(情境) and Yijing(意境) as he implemented the real landscape dignity in a variety of ways. To conclude, this researcher has partially resolved the ambiguity that the embodiment methods of 『Twenty-four Shi Pin』 had by verifying that Samyeon(三淵)'s poetic boundary was partially consistent with the real landscape of 『Twenty-four Shi Pin』 and by checking out the substantial works which could check the evaluation of real landscape dignity at the same time. 이 글은 『이십사시품(二十四詩品)』의 실경(實境) 품격을 구체적으로 살피는 과정을 거쳐 삼연(三淵) 김창흡(金昌翕) 시에 드러난 실경의 양상을 확인하기 위해 기획된 것이다. 이에 먼저 2장에서는 실경(實境)의 개념을 파악하기 위해 사공도의 『이십사시품』을 4구씩 세 부분으로 나누어 12구 48자의 구체적인 의미 맥락을 읽어내고자 하였다. 이십사시품의 설명 방식이 논리적인 분석보다는 추상적인 방법으로 제시되었기에, 독해 과정을 통해 시품의 특징을 도출하는 과정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판단하였다. 이에 방법적 측면에서 실경과 유사한 개념을 지닌 평어(評語)를 독해하거나 사전적 의미를 분석하는 것을 시작으로 『이십사시품』의 실경 품격을 확인함으로써 다각적인 분석을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3장에서는 삼연(三淵) 김창흡(金昌翕)의 시적 경계와 『이십사시품』 실경 품격의 연관성을 밝히는 것을 필두로, 삼연의 실질적인 작품을 통해 실경(實境) 품격의 구현 양상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삼연의 작품은 실경 품격을 다채롭게 구현함에 따라 물경(物境), 정경(情境), 의경(意境)의 면모를 지니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결과적으로 필자는 삼연의 시적 경계가 『이십사시품』의 실경과 일부 일치함을 증명하는 동시에 실경 품격으로 품평할 수 있는 실제 작품을 확인함으로써 『이십사시품』의 형상화 방법이 지닌 모호함을 일정 부분 해결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