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라 헌덕왕대 副君의 성격과 貞嬌夫人 - 김헌창의 亂과 관련하여 -

        김목동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24 嶺南學 Vol.- No.88

        新羅 東宮은 지속적인 발굴 성과와 함께 연구자들의 관심을 받아오고 있다. 신라 동궁의 성격과 관련하여, 현재 동궁과 月池宮과의 관계에 대하여 논란이 지속되고 있는바,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동궁과 월지궁과의 관계에 있어 중요한 주제인 副君 秀宗과 太子와의 관계, 太子妃 貞嬌의 혼인 문제 등을 살펴보았다. 부군의 성격은 憲德王이 자칭하였던 副王과 동일한 것으로, 차기 왕위계승권자인 태자를 의미하는 것이며, 정교는 헌덕왕의 次妃로서 맞이하였다고 생각된다. 이는 모두 김헌창의 亂과 관련되었다고 하겠다. 수종을 부군으로 삼은 것이 그 난이 신속히 진압되는 이유 중의 하나로 귀결되었고, 그 난에 대한 사후 대응책으로 忠恭의 딸 정교부인을 헌덕왕의 차비로 맞이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여기서 수종을 부군으로 삼았던 이유는 수종이 上大等을 역임하였고, 부왕의 사례를 遵用하였던 것이다. 부왕은 헌덕왕이, 그 자신이 왕위계승권자의 지위로 있었음을 공식화시키기 위하여 새로이 만들었던 지위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태자의 거소 공간을 포함한 더 넓은 의미인 ‘國王의 동쪽 宮闕’로 변화된 동궁인 월지궁에 부군 수종이 入宮하였던 것으로 생각된다. 헌덕왕이 정교를 차비로 맞이한 것은 哀莊王대부터 興德王대까지 정치를 주도하였으며 유력 權力者들의 丈人이었던 충공의 子女였다는 점이다. 이는 王權의 안정을 도모하고자 하였던 대책이었으며, 김헌창의 亂에 功이 있는 충공에 대한 論功行賞의 의미도 포함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점으로 볼 때, 부군 수종의 월지궁 입궁, 정교의 혼인 문제 등을 이유로 인하여 동궁과 월지궁이 서로 다르다는 견해는 타당하지 않다고 하겠다. Silla’s Donggung Palace (東宮, Crown Prince’s Palace or, literally, East Palace) has attracted the attention of scholars over the years, aided by the continued archaeological achievements in the area. Controversy continues over the nature of Donggung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lace and Woljigung Palace(月池宮, Moon Pond Palace)). As such, this study discusses important topics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Donggung and Woljigung, inclu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Bugun Sujong(副君 秀宗) and the crown prince, as well as the marriage of 太子妃(Crown Princess) Jeonggyo(貞嬌). Bugun (副君, vice king) has the same meaning as buwang (副王), a title self-proclaimed by King Heondeok (憲德王). Both terms refer to the crown prince (太子, taeja), the first heir to the throne. Therefore, Jeonggyo married King Heondeok as his chabi (次妃, consort). These are related to the Rebellion of Kim Heon-chang. One of the reasons why the rebellion was quickly suppressed was that Sujong was appointed as bugun, and King Heongdeok married Lady Jeonggyo (Chunggong (忠恭)’s daughter) as his consort as a follow-up measure. Sujong was appointed as bugun because he served as Sangdaedeung (上大等, the highest government official of Silla). For this reason, following the precedent of buwang, he created a new position, bugun, to officially declare that he is the heir to the throne. It seems to be the reason why Bugun Sujong moved to Woljigung, which was a Donggung in a broader sense, which includes the crown prince’s residence as well as a palace east of the king. King Heondeok married Jeonggyo as his consort because she was the child of Chunggong, who led Silla’s politics from King Aejang to King Heungdeok and had his daughters marry prominent figures. The marriage was intended as a measure to secure the king’s power, as well as a reward for Chunggong’s contribution to ending the Rebellion of Kim Heon-chang. Therefore, we cannot reasonably claim that Donggung and Woljigung are two different palaces on the ground of Sujong’s relocation to Woljigung and the marriage issue of Jeonggyo. All of these elements appear to be related to the precaution and follow-up measures against the Rebellion of Kim Heon-chang.

      • KCI등재

        新羅 東宮의 성격과 그 변화

        김목동 ( Kim Mok-dong ) 대구사학회 2023 대구사학 Vol.150 No.-

        신라 東宮은 일찍부터 많은 연구자의 관심을 받고 있다. 특히 東宮과 太子宮의 관계는 논자들에 따라 다양한 관점에서 바라보고 해석되고 있다. 이에 비해 東宮官은 주로 太子의 官府로만 한정해 이해되고 있으며, 연구자들은 그 범위 안에서 설명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에 이 글에서는 東宮의 性格과 東宮官의 관장업무를 재검토해 보았다. 먼저 중국 왕조들의 동궁은 태자의 위상에 따라 동궁의 기능과 구조가 달랐으며, 동궁의 모습은 고정되었다기보다 시대에 따라 변화되어 갔다. 신라는 宗廟와 같은 儒敎 禮制와 중국식 太子 冊封 제도가 확립되는 배경 속에서 문무왕 19년(679)에 태자의 거처로서 동궁이 설치되었다. 또한 東宮은 月城과 一體化되는 왕궁의 확장 형태로 건립되었다. 동궁은 경덕왕 4년(745)에서 애장왕 5년(804) 사이에 태자궁으로서의 의미에서 벗어나 이를 포함한 ‘동쪽 궁궐’을 가리키는 것으로 변화되었다. 또한 동궁의 주요 시설인 月池는 경덕왕 19년(760)에 대대적으로 축조되어 月城의 연못으로, ‘國王의 宮苑池’로서 자리매김하였다. 그리고 임해전도 국왕의 공간으로 활용되었다. 동궁관 산하 9개 관부는 2차례로 나누어 설치되었다. 즉, 경덕왕 11년(752)에 東宮衙가 설치되면서 御龍省과 洗宅이 함께 설치되었고, 그 외에 月池典, 月池嶽典, 庖典, 給帳典, 龍王典, 僧房典 등 6개 관부는 경덕왕 19년(760) 前後에 설치되었다. 동궁관은 동궁의 성격 변화에 따라 재해석해 보았다. 그 이유는 첫째, 동궁과 동궁관이 서로 밀접한 관계이기 때문이다. 둘째, 동궁이 변화된 그 시기에 동궁관이 설치되었던 것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그 결과 東宮官 산하 御龍省과 洗宅, 그리고 龍王典은 기존의 학설과는 다르게 해석해 보았다. 어룡성은 국왕의 近侍관부로, 세택은 국왕의 文翰관부로, 그리고 용왕전은 器物과 佛敎遺物, 우물(井) 등을 관리하는 관부로 파악하였다. 이상으로 신라 동궁의 성격에 대해 월지와 임해전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신라 동궁의 전체적인 모습을 일부 측면에서만 조망한 한계가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동궁관을 태자의 관부로만 한정하여 이해할 것이 아니라, 동궁이 태자궁에서 ‘동쪽 궁궐’로의 성격 변화에 따라 재해석을 하였다. Silla’s Donggung Palace (東宮, Crown Prince’s Palace or, literally, East Palace) has attracted the attention of many scholars from early on. In particular, the relationship between Donggung Palace and Taejagung Palace (太子宮, Crown Prince’s Palace) has been examined and interpreted in various ways by different scholars. However, unlike Taejagung Palace, Donggunggwan (東宮官) has been understood only as a secretariat serving the crown prince, and the scholastic treatment of Donggunggwan has been limited to that extent. This study reviews the nature of Donggung Palace and Donggunggwan. In Chinese dynasties, the function and structure of Crown Prince’s Palaces varied depending on the status of the crown prince, and the shape of the palaces changed over time. Silla built its first Donggung as the crown prince’s residence in the 19th year of King Munmu’s reign, at a time when the dynasty was developing Confucianism ritual systems and the Chinese-style crown price appointment system. The palace was integrated with the Wolseong Palace (月城) as an expansion of the royal palace. However, between the fourth year of King Gyeongdeok’s reign (745) and the fifth year of King Aejang’s reign (804), the meaning of ‘Donggung’ changed from the Crown Prince’s palace to ‘East Palace’ including the former. In addition, Wolji Pond (月池) was made in the 19th year of King Gyeongdeok’s reign (760), and consolidated its status as the ‘King’s Pond’ annexed to Wolseong Palace. Imhaejeon Pavilion (臨海殿) was also used by the king. The nine subsidiary office buildings of Donggungwan were constructed in two phases. Donggunga (東宮衙) was built in the 11th year of King Gyeongdeok’s reign (752), along with Eoryongseong (御龍省) and Setaek (洗宅). The other six buildings were built eight years later: Wioljijeon (月池典), Woljiakjeon (月池嶽典), Pojeon (庖典), Geupjangjeon (給帳典), Yongwangjeon (龍王典), and Seungbangjeon (僧房典). This study reinterprets the meaning of Donggunggwan by tracking the change in its nature. First, Donggung and Donggunggwan are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Second, Donggunggwan was built when the nature of Donggung took a change.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proposes different interpretations of Eoryongseong, Setaek, and Yongwangjeon. The new interpretations regard Eoryongseong as a department serving the king in his proximity (近侍, Geunsi), Setaek as a department responsible for creating writings for the king, and Yongwangjeon as a department tasked with managing various supplies, instruments used for Buddhist rituals, and wells. This study examined the nature of Silla Donggung with a focus on Wolji and Imhaejeon. Therefore, it does not provide a full overview of the palace. However, the contribution of this study lies in the fact that it proposed reinterpreting and extending the nature of Donggung beyond the secretariat of the crown prince, in keeping with the change in the nature of Donggung from the crown prince’s palace to the ‘East Pala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