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황제내경(黃帝內經)』에서 진기(眞氣)를 통한 자연치유력 시스템

        김명주 인문사회 21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5

        본 연구의 목적은 『황제내경(黄帝内經)』에서 진기(眞氣)를 통한 자연치유력 시스템의 물질, 장소, 발현 방법, 메카니즘의 시스템을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진기(眞氣)와 자연치유력에 관한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진기의 자연치유력 시스템은 의가(醫家)의 정기신 발현물질과 도가(道家)의 삼단전 발현장소가 배합되어 조화를 이룰 때 작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비움과 채움의 호흡방법을 통하여 내면의 평화 상태에 이르게 되면 자연에서 부여받은 진기의 자연치유력이 삼단전의 발현장소에서 솟아나 수승화강의 메카니즘으로 ‘물질-에너지-의식’ 차원의 정기신 물질로 발현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로써 자연을 본받고 천진함을 귀하게 여기는 이상적인 인간상 진인(眞人)이 되며, 인체는 건강과 질병치유 그리고 항노화 방면까지 진기를 통한 자연치유력 시스템이 형성되는 것이다. 본 논문은 체력 향상의 육체적 차원에 해당되는 하단전 精의 활성화를 증명하지 못한 한계가 있다. 앞으로 진기의 자연치유력 시스템을 과학화하여 동양의학의 우수성을 대중화할 수 있는 지속적인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ystem of the material, place, expression method, and mechanism of the natural healing power system through Genuine-Qi in Huang Di Nei Jing (黄帝内經). To this end,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Genuine-Qi and natural healing power was examined. Genuine-Qi’s natural healing power system worked when the expression of the Yijia (醫家) and the Taoists’(道家) three-elixir-fields expression site are mixed and harmonized. The result obtained through this study is that when the inner peace state is reached through the breathing method of emptying and filling, the natural healing power of the Genuine-Qi given by nature springs up from the place of the three-elixir-fields, and is expressed as a substance of Jing-Qi-Shen in the dimension of ‘material-energy-consciousness’ through the mechanism of water-ascending and fire-descending. As a result, the human body becomes an ideal human being as Genuine-human who values ​​innocence and imitates nature, and the human body forms a system of natural healing power through Genuine-Qi in the areas of health, disease, healing, and anti-aging. This research has a limitation in that it cannot prove the activation of the lower extremity, which is the physical dimension of physical strength improvement. In the future, continuous follow-up research is needed to popularize the excellence of oriental medicine by scientifically developing Genuine-Qi’s natural healing power system.

      • KCI등재

        노사카 아키유키(野坂昭如) 문학에 있어서의 반전관의 형성 및 극복 과정 고찰

        김명주 한국일본어교육학회 2019 日本語敎育 Vol.0 No.87

        Akiyuki Nosaka consistently wrote anti war narratives throughout his life. The writings can be divided into three stages for examination. It could be seen that the writings underwent transformation in each stage in conjunction with the situation of Japan and international society. In addition, the writing expressed emotions centering on two keywords, America trauma and antiemperor, and showed a characteristic of developing from the expression of the victim's emotion to the perpetrator's emotion. The autobiographical novellike writings in the first stage were transformed through personal/ethnic reflection and insight during the second stage. Therefore, in the final third stage, the emotion as a perpetrator was established as the consciousness of ethnic original sin and finally, the complicated view thus far was overcome and organized through solidarity with the view of Okinawa. However, the conclusion as such still has limitations in part. Therefore, I would like to finally draw Nosaka's antiwar view by reviewing his views of the Korean Peninsula and other East Asian countries.

      • KCI등재

        질 들뢰즈Gilles Deleuze의 ‘반복’ 개념에 관한 한 연구 ― 차이의 시간성으로서의 반복

        김명주 대동철학회 2005 大同哲學 Vol.29 No.-

        들뢰즈 철학 전체의 기획은 재현의 동일성 형식으로 설명할 수 없는 즉자적 차이의 세계에 대한 해명으로 요약된다. 그리고 그 차이의 세계는 우리의 존재 조건인 시간성 속에서 이루어지는 ‘반복’을 통해서만 접근될 수 있다. 들뢰즈는 ‘반복’의 시간성의 본질을 통해 우리에게 비재현적 세계와 동일성의 고정성에서 벗어난 생성의 주체를 회복시킨다. 반복은 일반적으로 ‘같은 것의 되풀이’로 여겨지지만, 들뢰즈가 문제 삼는 반복은 행동이자 관점으로서의 반복이며, 무매개적인 차원에서 운동성과 활동성을 사유하는 반복이다. 그에 따르면, 반복은 재현의 동일성에 의해 설명되는 물질적 반복의 외피 속에서 해독되어야 하는 반복과 차이 및 이질성을 포괄하는 정신적 반복이란 두 가지 형식을 지니고 있다. 이 점은 프루스트의 감각적 기호와 예술적 기호에 대한 들뢰즈의 해석을 통해서도 잘 드러난다. 예술적 기호는 감각적 기호의 순간성을 넘어 우리에게 본질, 즉 근원적 시간의 영원성을 열어준다. 이 근원적 시간은, 시간의 세 가지 수동적 종합을 통해 드러나는 내용과 겹쳐진다. 즉 시간을 정초하는 현재의 습관과 시간을 근거 짓는 과거의 기억을 지나서 시간의 근거 와해에 해당하는 세 번째 종합인 미래를 발견하는 영원 회귀가 근원적 시간의 모습이다. 들뢰즈에게 반복이 동일한 것의 반복이 아니듯이, 영원 회귀는 같은 것의 영원 회귀가 아니다. 영원 회귀는 오직 새로운 것과 관계하고, 우리 자신의 한계를 넘어서는 미래로 열려 있는 시간성을 본질로 삼는다. 이 시간은 삶을 해방시키는 예술적 시간이며, 그 속에서 주체의 욕망을 긍정하는 생성의 시간이다. 이러한 시간성 속에서 주체는 나의 비완결성과 유동성을 드러내고, 자기 확장이 아닌 자기 변화를 추구하는 애벌레-주체로 되돌아온다. La philosophie de Gilles Deleuze veut penser la différence elle-meme, la différence en soi, indépendament des formes d'identité de représentation. Cette différence ne peut se rapprocher que par le temps de la répétition, qui recouvrait le monde de non-représentation et le sujet de devenir. La répétition deleuzienne n'est pas la réitération de meme. Comme conduite et point de vue, elle concerne une singularité inéchangeable, insubstituable. Etant enveloppée en choses et expliquée par esprit, apparaît l'essence de la répétitionelle au signe. Ce signe signifie la répétition comme mouvement réel, par opposition à la représentation comme faux mouvement de l'abstrait. Surtout le signe de l'art fait nous rencontre le temps originel. Le temps est dans trois synthèses passives. La première synthèse, celle de l'habitude, constitue le temps comme un présent vivant, dans une fondation passive dont dépendent le passé et le futur. Le seconde synthèse, celle de la mémoire, constitue le temps comme un passé pur, du point de vue d'un fondement qui fait passer le présent et en advenir un autre. Dans troisième temps, la synthèse temps constitue ici un avenir. La troisième temps, c'est la troisième répétition, celle de l'avenir comme éternel retour. L'éternel retour n'affecte que le nouveau. La répétition dans l'éternel retour exclut à la fois le devenir-égal ou le devenir-semblable au concept. Elle est le temps artistique, le temps de devenir qui affirme un desir du sujet. Maintenant, le sujet revient à les sujets larvaires qui révélent un dynamisme du moi et poursuivent une transformation du moi.

      • KCI등재

        메도루마 슌(目取真俊) 문학에 있어서의 ‘나비’ 표상 연구

        김명주 한국일본어교육학회 2019 日本語敎育 Vol.0 No.89

        This study examined the symbolism of “butterfly” in four pieces of Medoruma’s literature. First of all, Medoruma's “butterfly” is based on Okinawa's folklore symbol system, such as the “soul of the lion” or the “Onari God faith” that female siblings protect male siblings spiritually. However, Medoruma not only restored butterfly to such a folklore symbol system, but also established it as a motif that arouses the tragedy and wounds of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ies such as Brazilian immigration history and Okinawa war, and symbolizes the Okinawa region per se, which has overcome the adversity with its own bright power in the long history. Medoruma intended to express his will to resist the Japanese policies from the late 1990s to replace problems such as the US military base with the illusion of 'island of healing' to form a tourism boom or entertaining social atmosphere and represented the will to overcome with ‘butterfly’.

      • KCI등재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아쿠타가와(芥川)문학에 있어서의 "죄의식"과 "고백"

        김명주 韓國日本語敎育學會 2009 日本語敎育 Vol.49 No.-

        芥川の最晩年の文學には<罪の意識>が表れるが、直ちに<宗敎性>などに結び付けられるべき性質のものではない。本稿は、芥川文學には宗敎性および信仰心などはそもそも見當たらないという觀点から始まる。そこで、まず、芥川文學に散見される<道德>の用例を取り上げ、芥川の<罪の意識>とは不倫や不孝といった社會的規範に起因するものではなく、個人的な<モラル>によるものと分析した。それから、芥川が終生憧れて止まなかった志賀直哉に對する最晩年の贊辭の言葉<道德的淸潔性>における<道德>という語ををもって、論を展開させていった。つまり、芥川の<罪の意識>とは行爲そのものによるものではなく、<僞りの意識>に基づいており、思惟と行爲の一致を追い求めるものと論じたのである。次に、芥川の晩年の一連の作品から、<宗敎性>などを槪して見い出していることは、<告白體>という敍述樣式にその原因があると見做し、それを小說美學の範疇の中において考察した。つまり、芥川は<罪の意識>を告白しているのであって、<罪>自體を告白し懺悔しようとする意志はなかったのである。芥川文學からは早くから<告白>についての複雜な感情が讀み取れるが、それは自然主義流の<私小說>に對するものといえる。最後に芥川の<告白體>について二つの觀点でまとめた。第一、それは<僞りの意識>、卽ち<罪の意識>で苦しむ己の存在の在り方をそのまま是認する形で示されており、己をそのまま描き出すことで、志賀的な<道德的淸潔性>を確立しようとする意志の表れと見做した。第二、最晩年、感心を示していたフロイト式の精神分析學もしくは<無意識>の槪念の受容と見做した。本稿ではそれを<意識のリアルリズム>と呼んでおり、その方法の一環として、最晩年、自ら提出した<話らしい話のない小說>論、つまり傳統的な<話>の解體として<告白>體が完成されたと結論づけた。

      • SCIESCOPUSKCI등재

        자궁경부 미세침윤암의 임상 및 병리학적 고찰

        김명주,김현찬 대한부인종양 콜포스코피학회 1993 Journal of Gynecologic Oncology Vol.4 No.4

        The transition from preinvasive to invasive disease is a crucial juncture in the development of cervical cancer. The clinical experience that microvasive lesions carry a better prognosis justifies a sepetate diagnostic category. Besides clinical and diagnostic problems, the microinvasive cervical cancer presents morphological peculiarities. To investigate the clinical and pethological aspects of micrenvasive cervical carcinoma, a retrospective study was made on 40 cases, histologically reconfirmed surgical specimens, which had been treated during the period from March, 198I3 to March, 1992 at,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Pusan Paik Hospital, Inje University.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 1. Mean age of 40 patents was 44.6 year old, all were multipatous. Nineteen cases belonged to I s, and 21 cases to I a2. 2. Main presenting symptoms were leukorrhea and/or genital bleeding and the majority of patients showed cervical erosion on gross finding. 3. The corresponding rate of Pap, smear to histologic diagnosis was approximately 67.5%, However, corresponding rate within one histologic grade was about 85%. 4. According to the colposcopic examination, less than half of the examined cases revealed suspected abnormal findings suggesting invasive lesion. 5. As to the reports of punch biopsy, 64.8% of cases showed microinvasive and/or invasive lesian. With additional diagnostic conization of cervix, the preoperative diagnosis were correct in 82.5%. 6. Histopathological reevaluation of surgical specimens revealed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depth of stromal invasion and width of lesion, confluent growth pattern, number of invasive foci, and invasion of capillary-like space, respec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