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경상북도 시설재배지 토양 화학성의 장기 변화

        남효훈(Hyo-Hoon Nam),정혜정(Hye-Jeong Jeong),이중환(Joong-Hwan Lee),김종수(Jong-Soo Kim),김명숙(Myuong-Sook Kim) 한국토양비료학회 2021 한국토양비료학회 학술발표회 초록집 Vol.2021 No.11

        시설재배지는 단절된 기상환경과 집약적이고 연속적인 양분 공급으로 인해 토양의 이화학성이 악화되기 쉽고 이로 인한 연작장해 등 피해가 발생한다. 양분의 과부족, 상호간의 작용 등을 고려한 시비관리를 위해서 토양환경에 대한 조사 및 관리가 필수적이다. 농업환경자원 변동평가의 일환으로 시설재배지의 토양화학성을 분석하고 장기간의 변화양상을 조사하였다. 조사대상은 경상북도 일반농경지 시설재배지 토양의 pH, EC, 유기물, 유효인산, 치환성 양이온 등이었고, 조사지점은 도내 20개 시군, 1,043점이며 조사년도별로 2004년~2016년 각 206점, 2020년 219점이었다. 재배작물은 총 23작물이었고 토마토, 딸기 등 과채류가 87.7%로 가장 많았고 시금치, 상추 등 엽채류 7.5%, 기타 4.7%이었다. 2020년 시설재배지의 화학성분 평균은 pH 6.9±0.8, EC 4.1±4.0 dS m<SUP>-1</SUP>, OM 41±17 g ㎏<SUP>-1</SUP>, Av.P₂O<SUB>5</SUB> 918 ㎎ ㎏<SUP>-1</SUP>, 치환성양이온 K 1.60±1.32 ㎝ol<SUB>c</SUB> ㎏<SUP>-1</SUP>, Ca 12.5±4.3 ㎝ol<SUB>c</SUB> ㎏<SUP>-1</SUP>, Mg 3.68±1.64 ㎝ol<SUB>c</SUB> ㎏<SUP>-1</SUP>이었다. 적정 화학성 범위의 분포 비율은 pH 37.4%, EC 38.4%, OM 21.1%, Av. P₂O<SUB>5</SUB> 13.2%, 치환성 양이온 K 11.9%, Ca 1.4%, Mg 8.2%였으며 대부분이 적정범위를 초과하는 비율이 높았다. 시설재배지 토양의 화학성분 장기 변화는 모든 성분이 조사시기가 경과될수록 증가하는 추세였으며 2004년 대비 2020년의 pH, EC, OM, Av.P₂O<SUB>5</SUB>, K, Ca, Mg 함량은 각각 4.5%, 10.8%, 90.9%, 16.9%, 14.4%, 50.6%, 11.5% 증가하였다. 이는 시설재배 특성상 집약재배에 따른 양분의 과다투입이 원인으로 판단된다. 시설재배 토양의 생산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검정시비를 실시하고 제염, 물리성 개선 등을 병행하여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