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새로운 교육과정에서 교육대학교 체육과 심화과정 교육의 방향

        김명수 한국초등체육학회 2014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20 No.3

        이 연구는 신체 활동 가치를 실현하고 내면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새로운 체육교육 방향 속에서 교육대학교 체육교육과 심화과정이 어떠한 방향에서 구성되고 운영되어야 하는지 그 방향을 제시하고자 연구가 수행되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국 10개 교대의 체육과 심화교육과정의 특징과 체육과 심화교육과정에 대한 재학생의 인식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국 교대의 체육과 심화교육과정은 체육학 이론과 실기과목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대부분의 이론 과목은 해당 대학의 교수 전공에 따른 교과내용학 중심으로 개설되고 있었다. 둘째, 전국 교대의 체육과 심화교육과정 운영방식을 살펴본 결과 필수와 선택과목으로 운영되고 있었다. 그러나 필수와 선택과목 구분에 있어서 명확한 기준이 마련되어 있지 않았다. 셋째, 교대 체육과 심화과정에 재학하고 있는 학생들은 희망순위에 따라 심화과정이 배정되고 있으며, 심화과정 선택 만족도 낮았다. 특히, 후순위에 선택된 학생의 경우 그 정도가 심했으며, 타 심화과정으로 전과 희망 또한 높았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교육대학교 체육과 심화교육과정 교육의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체육수업에 필요한 체육교과내용지식의 습득을 위한 과목 개설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체육교과내용지식을 구성하는 하위 요소에 대한 교사교육자간의 합의가 필요하다. 둘째, 신체 활동 가치 습득을 지향하는 새로운 체육과 교육과정의 교육 방향이 체육과 심화교육과정에 반영되어야 한다. 셋째, 실제 체육수업 상황 속에서 적용할 수 있는 실천적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직전교사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교대생들의 체육경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으로 교대 입학 이전의 체육학습 경험이 입시에 반영되어야 한다. As physical education pursues to help children learn and internalize the value of physical activities, this study aims to suggest a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physical education intensive courses at education universities. The study was conducted in two levels to achieve this purpose. First, 10 education universities nationwide running intensive courses were analyzed for their subject characteristics and weaknesses. Second, the perception of students taking these courses was evaluated. All of the intensive courses from the surveyed universities were basically composed of theoretical subjects and practical subjects. And most of the theoretical subjects were focused on the professors’ major-related contents. Regarding the operational method of intensive courses, most of the education universities did not have clear guidelines between required and elective subjects even though they run the courses based on such division. Lastly, students were admitted to the courses based on their preferences and the overall satisfaction was low. In particular, the satisfaction level of those who were admitted to the course they chose as their second or third preference was exceptionally low, and many of these students wanted to change their major.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suggests a direction for physical education intensive courses at education universities as follows:First, subjects where students can learn the knowledge of physical education contents need to be open. Agreement on elements composing physical education contents should be a prerequisite to this. Second, the new direction of physical education curricula should be incorporated into the intensive courses. Third, education for preparatory teachers should be conducted to teach them practical knowledge that can be used in actual classes. Fourth, as an alternative to overcome students’ limited experiences of physical education, experience of physical education before entering education universities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for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 KCI등재

        신 자가 이식 : 증례 보고 A case report

        김명수,김성순,이강영,오창권,김유선,홍성준,박기일 대한혈관외과학회 1995 Vascular Specialist International Vol.11 No.1

        Renal autotransplantation is the sectioning of the kidney from the vascular pedicle and excretory tract so as to reimplant it into a different vascular territory in the same patient. We performed right kidney renal autotransplantation for renovascular hypertension. And we report it here as a case study. A 23-year-old man was found to be hypertensive at a routine medical examination. Bilateral selective renal arteriography revealed irregular narrowing of the right renal artery over a 0.9 cm length on the middle one third. We performed a right kidney autotransplantation with segmental resection of the narrowing segment. Blood pressure fell to 130/80 mmHg immediately following the operation and has remained at this level for the l0 months without further treatment. Vascular pathology revealed typical fibromuscular dysplasia of affecting artery.

      • KCI등재

        초등학교 체육교과에서 협동적 수업구조 적용 사례

        김명수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04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1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conducted to look for a lesson structure(form) through which all students can participate positively in the physical education activities, without being alienated, by looking into how is an interactive appearance that the students show in the structure, when developing an lesson structure in which learning activities is possible to do only when students should be cooperative, and then applying it to the lessons. Lesson contents were a basketball-type game and a relay race, the subjects of study were 410 students of 10 classes in the fif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and the period of research was total 120 hours lesson over six weeks periods. The cooperative learning lesson structures applied to the basketball-type game were composed of 4 kinds of structures including pass-passing, 'exchanging a score-player, an idea-mate-dividing, and evaluating all-items records, and the relay race was composed of 3 kinds of structures including everyone-participating, idea-mates-dividing, and evaluating improved records. The researcher analyzed the materials collected through a lesson observation, a questionnaire survey, and an in-depth interview. From the results of study, it's found that in basketball-type game, the lesson structure of individual record evaluation by pass-passing, exchanging a score-player, all items score, and in relay race, the lesson structure of everyone participation, idea-mates-dividing, improved-record evaluation, have became positive interactive factors for all members participating in the games, especially they served as a momentum for students who are poor in their skill to positively participate in learning activities. 이 연구는 초등학교 체육수업에서 반드시 협동을 하여야만 학습활동이 가능한 수업구조를 개발하여 수업에 적용하였을 때, 그 구조 속에서 학생들은 어떠한 상호작용 모습을 나타내는지를 알아봄으로써 체육활동에 소외되지 않고 모든 학생들이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수업구조를 찾기 위해 수행되었다. 수업내용은 농구형 게임과 이어달리기였으며, 초등학교 5학년 10개반 410명을 연구참여자으로 하여 120시간의 수업을 약 6주간에 걸쳐 진행하였다. 농구형 게임에 적용한 협동학습 수업구조는 패스-패스하기, 득점-선수 교체하기, 생각-짝-나누기, 모둠 성적 평가하기의 4가지 구조이며, 이어달리기에서는 모두참여하기, 생각-짝-나누기, 향상 기록 평가하기의 3가지 구조였다. 자료의 수집은 수업관찰, 질문지, 심층면담을 사용하였으며, 이를 통해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농구형 게임에서 적용한 패스-패스하기, 득점-선수 교체하기, 모둠 성적으로 개인 성적 평가하기 수업구조와 이어달리기에서 적용한 모두참여하기, 생각-짝-나누기, 향상 기록 평가하기 수업구조는 게임에 참여하는 모둠원 모두에게 긍정적 상호작용의 요인이 되었으며, 특히 기능이 부족한 학생이 적극적으로 학습활동에 참여하는 계기를 만들어 주었다. 그러나 농구형 게임에 적용한 생각-짝-나누기 수업구조는 모둠원간에 협동적 상호작용의 모습을 나타내지 않아 게임활동에 적용하기에는 한계를 보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