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탈신체 시대의 과학기술 : 사이버펑크 서사로 읽는 과학기술의 사회학과 21세기 미국의 새로운 지평

        김명성 ( Kim¸ Myungsung ) 동국대학교 영어권문화연구소 2018 영어권문화연구 Vol.11 No.1

        This essay explores the sociological aspects of the race-technology nexus in American culture during the twenty-first century, especially in regard to the formation of race within technoculture. The cultural shift from the industrial economy in the previous century to the present technocultural reconstruction is being explored in different forms of cultural texts across the nation. In highlighting the shifting politico-cultural milieu, this article focuses on how cyberpunk has evolved to represent social, cultural, and political dynamics of race; while cyberpunk texts in the 80s and 90s mainly depicted the identity crises of humankind and class struggles in a high-tech society, cyberpunk in the twenty-first century brings the influences of post/trans-human technology and cybernetic culture on racial experiences to the center of technology discourse. Particularly, I investigate this trend across two different narratives in Oshii Mamoru's original Ghost in the Shell released in 1995 and Rupert Sanders's 2017 remake. Through representational revisions of a technocultural world, current cyberpunk texts establish posthuman narratives as a location for the exploration of racial experiences in the supposedly post-racial United States.

      • KCI등재

        Tropes of Apologetic Sexuality and the Lineage of African American Women in Nella Larsen’s Quicksand

        Kim, Myungsung(김명성) 새한영어영문학회 2018 새한영어영문학 Vol.60 No.4

        This article locates Helga’s apologetic sexuality in Quicksand within the early twentieth-century context of the Great Migration-one of the major demographic transformations in the US race history-including consumerism, and Black Nativism. Helga’s search for her own subjectivity discloses how the homogeneous black patriarchy marginalized female African Americans, appropriating a black female body for political struggle and racial uplift, and her mobility and consumerist fetishism militate against social and cultural oppressions inscribed upon a black female body in the male-centered black community. Such representations of psychological conundrums and sexual cul-de-sac of African American women place Quicksand in the womanist tradition, echoing the social surveillance on a black female body in Harriet Jacobs’s Incidents in the Life of a Slave Girl, in which sexuality without apology is not allowed. Through the inner psychological turbulence of Helga, whose sexual desire is always deferred, Larsen criticizes a world where female sexuality can be sanctioned only within heterosexual black patriarchy.

      • KCI등재

        그레엄 그린의 『사건의 핵심』 속 종교와 실천윤리 재고

        김명성(Myungsung Kim) 한국외국어대학교 영미연구소 2021 영미연구 Vol.51 No.-

        본 논문은 그레엄 그린의 『사건의 핵심』 속 종교와 윤리, 그리고 실천이라는, 문학사적으로 어느 정도 합의된 문제를 다시 돌아본다. 이 소설은 가톨릭 신자인 주인공의 자살로 마무리되는 이유로 오랜 시간 동안 가톨릭 율법과 사회적 윤리의 본질에 관한 논란들을 촉발시켜왔다. 가톨릭 전통의 교리를 거스르면서도 스스로의 도덕적 신념에 충실한 그의 선택이 종교적 존재로서, 그리고 사회적 존재로서 개인이 맺는 관계의 바탕 위에서 마주하는 불가피한 모순을 보여주며, 또한 이러한 대립을 넘어선 새로운 종교적 경험의 가능성을 함께 제시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 모든 종교적 경험은 마지막 순간까지 가톨릭의 형식 속에 남는다. 본 논문은 스코비의 종교적 고민이 율법주의적 제약을 벗어난 윤리를 실천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통적인 가톨릭의 형식을 실천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며, 바로 이 지점에 그의 종교적 행위의 본질이 존재함을 지적한다. 이는 억압적 율법을 넘어서는 새로운 신념과 실천의 지평이 종교적 형식의 바깥에만 존재하는 것은 아님을 시사한다. 『사건의 핵심』은 스코비의 죽음을 통해 본원적 도덕성으로 회귀하고 종교윤리를 실존적으로 재정립하는 순간을 가톨릭의 규율과 사회적 삶의 복잡한 관계 속 한 공간에 담아낸다. This article addresses questions and provocations on Catholicism in Graham Greene’s The Heart of the Matter, especially in regard to the way in which the Catholic doctrine has been rejected in the modern world. Greene represents the inner conflict of Henry Scobie, the protagonist of the novel, in complex dimensions of religious ethics and its actual practices. Considering Henry’s disbelief in the light of his strong sense of empathy and emotional bond with others highlights the way in which the western society has been reconstructed in its relationship with God. Scobie, experiencing absurdity of the Catholic god and the society grounded in its principles, takes the role of the god. God becomes relocated into the position of another ‘other’. Henry’s inner turbulence and his religious skepticism illuminates the modes in which the deconstructive practices of religious doctrine open up new possibilities wherein modern subjectivity is captured and probed.

      • KCI등재

        Calypso Music and Postcolonial Masculinity in Sam Selvon’s The Lonely Londoners

        김명성(Myungsung Kim) 한국외국어대학교 영미연구소 2021 영미연구 Vol.53 No.-

        본 논문은 샘 셀본의 『외로운 런던인들』 속 흑인 남성 이주민들의 남성성을 연구한다. 인종과 성의 관계가 복잡한 차원에서 맺어지는 이 소설은 흑인 남성성이 백인 여성들과의 관계에서 변화하고 수정됨을 보여주는데, 런던이라는 공간에서 맺어지는 사회적 관계에서 백인 여성들과의 성적 관계는 흑인 이주민 남성들에게 있어서 주류 문화로 진입하기 위한 하나의 방편이 된다. 특히 소설의 전체적인 외형이 트리니다드의 전통적인 음악 장르인 칼립소를 따라 구성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소설 속에 드러나는 인종적, 성적 역학관계는 더욱 흥미롭다. 트리니다드의 남성중심적 전통문화에서 칼립소는 가부장적 이성애를 찬미하고 동성애를 혐오하는 전통적 남성성이 문화의 중심인데, 이런 의미에서 본다면 『외로운 런던인들』이 보여주는 칼립소와 런던의 조합은 전후 런던이라는 공간에서 사회적으로 거세당한 흑인 남성들의 남성성 회복이 상징적으로 이루어지는 모순적 양상을 보여준다고 볼 수 있다. This article explores the masculine construction of West Indian immigrants in Sam Selvon’s The Lonely Londoners. Selvon represents the cross-racial relationship between the black male immigrants and the white British women in the novel in ways that illuminate the interlocking space in which black masculinity is revised and negotiated. The protagonists’ masculine struggle shows highly complex dimensions of the cross-racial gender economy; sexual relations become an anticolonial struggle to reach the mainstream British culture, and this sexual self-assertion of the black male protagonists interrupts British culture’s hegemonic power. Moreover, the sexual quest in the novel becomes even more interesting, given the structural presence of Calypso, an Afro-Caribbean music genre in colonial Trinidad. The Lonely Londoners consists of various ballads that imitate the structure of calypso music. As the calypso symbolizes hegemonic misogyny and homophobia in the male-centered Trinidadian culture, the allusion of calypso music reflects phallic and homophobic self-affirmation against social castration. This reading, placing black men’s sexual quest toward white women in the context of the Trinidadian calypso tradition, explains the contradictory self-construction of black male immigrants in The Lonely Londoners; by alluding to the vernacular folk tradition and thus by contextualizing the social standings of ethnic minorities in multicultural London within the patriarchal culture of the West Indies, the novel explores the intersection wherein the mythic postcolonial black masculinity becomes visible.

      • KCI등재

        길들여진 아동과 소아성애적 감성: 셜리 템플의 성적 이미지들

        김명성(Kim, Myungsung) 한국외국어대학교 영미연구소 2017 영미연구 Vol.41 No.-

        본 논문은 20세기 초에 활동한 미국 아동 여성 배우 셜리 템플의 섹슈얼리티 문제를 다룬다. 특히 아동 여성의 섹슈얼리티가 감성적인 형태로 은폐되는 방식, 이른바 “감 성적 섹슈얼리티”의 실체에 집중한다. 셜리 템플의 영화 속에 내제된 소아성애적 시선 들은 대공황 시기에 두드러졌던 성적 환상, 즉 유순한 여성에 대한 남성적 욕망을 자극하는 것이었는데, 이것은 대공황을 겪으며 드러난 가부장적 실패를 여성 신체의 전유를 통해 치유하려던 20세기 초기 미국 영화계의 노력의 일환이었다.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실패한 백인 남성의 욕망을 만족시키며 여성에게 부과된 사회적, 문화적 제약들을 자연스럽게 내면화하도록 강요한 시대적 맥락, 다시 말해 남성의 가부장적 여성 소유권을 재확인하고 자본주의적 가족 이념을 미성숙한 여성의 신체를 통해 재생 산하려한 20세기 초반 미국의 사회문화적 구조 속으로 셜리 템플의 섹슈얼리티를 위치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이 영화들은 미국 영화산업의 영화제작규정이 제정되어 성적 장면들의 묘사를 제한하기 시작한 시기에 개봉되었던 만큼, 백인남성의 도착적 욕망을 가족 드라마 장르의 형식을 이용하여 친숙한 형태로 변형시켜 그려낸다. 결국 셜리 템플의 영화들은 여성을 억압함으로써 정신적 탈출구를 마련하고자 했던 실패한 가부장제의 집단 무의식이 아동의 섹슈얼리티를 통해 복잡하게 구조화되고 재현되던 방식을 보여주는 것이다. This essay explores the “sentimental sexuality” of the child movie star Shirley Temple. The pedophilic child fetishism implicit in her movies, which stimulated a male fantasy of an obedient female during the Great Depression, was an outcome of a cultural dynamic where the U.S. film industry attempted to find a way to relive the patriarchal failure of the era in a female body. Assuring the male ownership of a female body, this essay argues, Shirley Temple’s sentimental sexuality satisfies a paternal white gaze and, more importantly, “functions both to expose the constraints and limitations that the capitalistic unclear family imposes on women and, at the same time, to ‘educate’ women to accept those constraints as ‘natural,’ inevitable-as ‘given’” (Kaplan 124). Released by the time the Production Code Administration began prohibiting sexually suggestive scenes, Shirley Temple’s movies use family drama as a basic platform to stabilize the potential perversity of a white adult male desire. Such a construction of female child images promised the emotional stability of the nation under the Great Depression, while simultaneously fulfilling a patriarchal fantasy that identified female sexuality with child immaturity.

      • KCI등재

        Masculinity, Domesticity, and the Representation of African American Female Experience in Harriet Jacobs’s Incidents in the Life of a Slave Girl and Toni Morrison’s Beloved

        Kim, Myungsung(김명성) 새한영어영문학회 2017 새한영어영문학 Vol.59 No.4

        This essay explores a womanist lineage, a race-and class-specific feminist continuum in African American culture, represented in Harriet Jacobs’s Incidents in the Life of a Slave Girl and Toni Morrison’s Beloved, especially in regard to the negotiation of masculinity and domesticity, black matriarchy, and the absence of a husband figure. Set in an era where patriarchal heterosexualism served as a political doctrine for the solidarity of the African American community, Incidents and Beloved depict how the black female protagonists place themselves at the intersection of masculine resistance and domestic motherhood; they reject the Victorian gender roles prevalent in the nineteenth century, yet simultaneously accept their maternal places in the domestic sphere. Throughout such strategic revisions of selfhood, in which the black female body is inscribed in the negotiation of two registers-political masculinity and revised womanhood-Jacobs and Morrison establish the slave narrative as a location for the critique of black patriarchy and the exploration, uncovering, and reorganization of the African American female experience.

      • KCI등재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한국판 다차원적 심리적 유연성 척도(K-MPFI) 타당화 연구

        이상일(Sangil Lee),김영윤(Youngyoon Kim),이선미(Seonmi Lee),김명성(Myungsung Kim),정동일(Dongil Chung),정두영(Dooyoung Jung)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3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다차원적 심리적 유연성 척도(MPFI)를 한국어로 번안하고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인해 한국어판 다차원적 심리적 유연성 척도(K-MPFI)를 개발하는 것이다. 영문으로 작성된 MPFI 질문들을 임상심리학 박사와 정신건강 전문의, 그리고 영어와 한국어에 능통한 연구자가 포함된 연구진에서 1차 번역을 실시하고 심리학을 전공하고 영어와 한국어 모두 능통한 외부 연구자가 원문을 참고하지 않고 영어로 역번역을 실시했다. 최종적으로 저자들의 논의를 고쳐 한국어판 MPFI(K-MPFI)문항 내용을 완성하였다.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을 위해 대학생 총 458명을 표집하였다. 한국어로 번안된 K-MPFI 척도와 수렴타당도(한국판 수용-행동 질문지 제 2판, 인지적 유연성 척도) 및 동시타당도(우울증 선별도구, 범불안장애 선별도구, 한국판 정신적 웰빙 척도-단축형)를 측정하기 위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원판 MPFI와 마찬가지로 2개의 상위 요인(전반적 심리적 유연성, 전반적 심리적 경직성)과 12개의 하위 요인(수용, 현재 자각, 맥락으로서의 자기, 탈융합, 가치, 전념행동, 경험적 회피, 지금 순간에 대한 접촉 부족, 내용으로서의 자기, 융합, 비활동성)이 도출되었다. K-MPFI의 전체 문항 및 하위 요인들은 높은 내적 신뢰도를 보였으며, 상관계수를 통해 확인한 수렴타당도와 동시타당도 또한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전반적 심리적 경직성의 하위 요인 중 하나인 경험적 회피의 경우 심리적 경직성의 다른 하위 요인들을 비롯해 타당도 검증을 위해 투입된 변인들과의 상관관계가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뿐만 아니라 기타 언어로의 타당화 연구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났다는 점은 의미가 있다. 경험적 회피의 개념에 대한 문화권의 차이를 비롯해 원판 MPFI의 경험적 회피 요인에 대한 문항 구성의 문제로 보여진다. 따라서 향후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의의에 대해서 논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ranslate and validate the Multidimensional Psychological Flexibility Inventory (MPFI) into Korean, and develop a Korean version of the MPFI (K-MPFI) for use with university students. A team of this study, including a clinical psychology PhD, a mental health specialist, and researchers proficient in both English and Korean, conducted an initial translation of the English MPFI items. An external researcher who was proficient in both English and Korean and had expertise in psychology, conducted a back-translation of the Korean MPFI items into English without reference to the original version. The authors then discussed and finalized the content of the K-MPFI items. A total of 458 university students were recruited to assess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MPFI. A survey was administered that included the K-MPFI scale, as well as measures of convergent validity (Korean Acceptance and Action Questionnaire II, Cognitive Flexibility Scale) and concurrent validity (PHQ-9, GAD-7, Korean-Mental Helath Continuum- Short-form).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vealed that, like the original MPFI, the K-MPFI consisted of two higher-order factors (Global psychological flexibility and inflexibility) and 12 lower-order processes (acceptance, present moment awareness, self-as-context, defusion, values, committed action, experiential avoidance, lack of contact with the present moment, self-as-content, fusion, and inactivity). The K-MPFI and its lower-order factors showed high internal consistency, and the measures of convergent and concurrent validity were also appropriate. However, one of the lower-order processes of psychological inflexibility, experiential avoidance, did not show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the other lower-order processes or with the validation measures, which may be due to cultural differences in the concept of experiential avoidance or issues with the item construction of the experiential avoidance factor in the original MPFI.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address these issues. Finally, the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