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냉전과 박애-냉전기 미국의 구라활동과 USIS 영화 <황토길>의 사례

        김려실 한국문학연구학회 2015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55

        USIS Korea made a film, Litany of Hope, which derived from the leper poet Han Ha Woon’s life story in 1962. It was a PR film for relief of Hansen’s disease ostensibly, but it was made on the basis of American Cold War hegemony and had intention to converge nongovernmental philanthropic activities on the govern mental overseas information activities. This paper focuses on Litany of Hope as one of the cases which show the change of American overseas information service in 1960s. I research American governmental and nongovernmental activities for relief of the leper in the context of their overseas information in Korea since 1945 until early 1960s and specially shed light on the role of USIS Korea’s PR films for relief of the leper. To disclose how the Cold War ideology breaking in the film distorted the poet’s life story, I compare his autobiography and poems with the film. The film describes, unlike the fact, that Han Ha Woon made a full recovery with the help of new medicine invented in America and the help of American doctor’s goodwill. Moreover, it fabricates the original story to make the division of Korea and his defection to South Korea invisiblized. I additionally consider the distribution of the sensible which nonvisualizes the leper caused successful suture of the division between Han Ha Woon’s existence and his representation. 1962년 USIS가 제작한 <황토길>은 한센인 시인 한하운의 일대기를 담은 영화이다. 이 영화는 표면적으로는 구라영화이나 그 이면에는 미국의 냉전 헤게모니가 깔려있으며 민간의 박애활동을 미국의 해외공보에 수렴하고자 하는 의도가 담겨 있다. 이 논문에서는 1960년대 미국의 해외공보 활동의 변모를 보여주는 하나의 사례로서 <황토길>에 주목한다. 해방이후부터 1960년대 초까지 미국정부와 민간단체의 구라활동을 그들의 문화냉전 전략과 관련지어 살펴보고 한센병 계몽과 관련하여 USIS 영화가 담당한 역할을 조명했다. 그리고 <황토길>에 틈입한 냉전 이데올로기가 시인의 삶을 어떻게 왜곡했는지 살펴보기 위해 영화와 한하운의 자서전 및 자작시 해설서를 비교 분석했다. 그 결과 이 영화가 사실과는 다르게 미국이 개발한 신약과 미국인 의사의 선행으로 한하운이 완치되어 시작을 시작할 수 있었던 것으로 그릴 뿐만 아니라 월남문인으로서 그의 정체성을 숨기기 위해 영화의 배경을 남한으로 옮겨 분단을 불가시화하는 방식으로 각색되었음을 밝혀낼 수 있었다. 덧붙여 한하운의 현존과 그 재현 사이의 모순에도 불구하고 한센인을 비가시화하는 ‘감각적인 것의 나눔’으로 인해 이 영화가 ‘봉합’에 성공했다는 점에 대해서도 고찰해보았다.

      • KCI등재

        기록영화 <Tyosen> 연구

        김려실 상허학회 2008 상허학보 Vol.24 No.-

        Tyosen, a film advertizing the tour through Korea, was found at the Osaka Planet Film Bibliotheque in 2004. This film is one part of Tokyo- Peking: Through Tyosen and Manchoukuo made by Board of Tourist Industry, a branch organization under the Imperial Japanese Government Railways. In this paper, I corrected the existing archiving information of the film and examined why BTI needed to make an advertizing film connecting Korea, Manchuria, and Peking. Tourism of the colonized Korea was a good business and encouraged as a national project to propagate the result of Japanese colonial rule. Tokyo-Peking was an official film dubbed in English for the propaganda toward the United States. The Tyosen part was also dubbed in Japanese and introduced with a new title Chosen Sketch. The Images of Chosen and Chosenese in these films were carefully selected from the stereotypes disseminated by print media at the time. When you compare these two films, you find same images but different gaze of subjects and narrations constructed by different propaganda. Tyosen depicts Korea as an exotic and convenient destination for western travelers. At the same time, Chosen Sketch represents Korea as a well-known attraction and the rare of the Sino- Japanese War. If you compare them with the educational documentary Chosen District made in 1934, describing Korea as the plantation of Imperial Japan, you can find they reflected the change of Japanese cultural propaganda since the war broke out. Considering the reasons mentioned above, I conclude that the localities of colonized Korea in the Japanese documentaries were imagined and edited, rather than substantial, according to the Japanese situation and their ruling plans over Korea. 2004년 오사카 플래닛 영화자료 도서관에서 영어로 된 조선관광 선전영화 <Tyosen>이 발견되었다. 이 영화는 1939년에 일본 철도성 국제관광국이 제작한 <동경-북경: 조선과 만주국을 거쳐>의 일부분이다. 이 논문에서는 먼저 이 영화의 아카이빙 정보를 수정하고 국제관광국이 어떤 문맥에서 조선, 만주, 북경을 잇는 관광영화를 기획했는지 검토했다. 일제시기에 조선 관광은 수지맞는 산업이자 식민통치의 성과를 선전하는 국가적 기획으로 장려되었다. <동경-북경>은 관 주도로 제작된 관광 선전영화의 하나로 중일전쟁기에 대미선전을 위해 영어로 제작되었다. 그리고 이 영화의 조선 부분은 일본어로 더빙되어 <朝鮮素描>라는 이름으로 일본에서 상영되었다. 이들 필름 속 조선과 조선인의 이미지는 일제시기 인쇄미디어가 유포한 스테레오타입을 계승하고 취사선택한 것이다. 두 영화를 비교해보았을 때 이미지상의 차이는 없으나 응시의 주체와 프로파간다에 따라 내레이션에 차이가 있었다. <Tyosen>은 서양인의 이국취미를 자극하면서 근대화된 관광지 조선을 표상하는데 비해 <朝鮮素描>는 잘 알려진 매력적인 관광지인 동시에 중일전쟁의 후방으로서 조선을 강조한다. 1934년에 제작된, 조선을 일본의 플랜테이션 농장으로 묘사하는 교육용 다큐멘터리 <조선지방>과 비교해 볼 때 이 두 영화가 중일전쟁 이후의 문화 선전을 담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을 통해 일제시기 기록영화에 표상된 식민지 ‘조센’의 로컬리티가 고정된 것이 아니라 제국 일본의 정세와 식민지 지배정책에 따라 상상되고 편집되었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 KCI등재

        인터/내셔널리즘과 만주

        김려실 상허학회 2004 상허학보 Vol.13 No.-

        1930년 무렵부터 중국의 국민당 정부와 일제 관동군의 세력다툼 속에서 재만 동포들이 이중적으로 피해를 입자 조선내의 민족주의는 기존의 항일적 구도에서 벗어나 배중(排中)적인 색채를 띄어간다. 만주사변 이후 그런 민족주의는 조선민족의 정통성과 우수성을 전제로 만주국 내에서 민족화합을 도모하자는 국제주의로 탈바꿈한다. 그러나 이 국제주의는 만주국내의 조선인의 제2인자의 위치를 확보하기 위한 전략으로 신식민지 주민에 대한 인종주의적 차별과 일본에 대한 동일시의 메카니즘을 거처 성립된 것이었다. 1930년대 이후의 조선의 이 같은 변칙적인 인터내셔널리즘은 언제든 ‘인터’를 때버리고 ‘내셔널리즘’으로 화할 준비가 되어있었던 점에서 인터/내셔널리즘으로 명명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고에서는 만주사변을 전후한 시기 중일간의 충돌에 지속적으로 피해로 누적되어 온 조선인들의 정치적 히스테리아가 만주국 수립과 더불어 인터/내셔널리즘으로 변해 가는 과정을 기술하고, 그 과정에 신문과 영화, 잡지 등의 대중매체와 유언비어가 어떻게 인터/내셔널리즘을 고취하고 만주를 현실과 동떨어진 하나의 기호로 만들어갔는가를 분석했다. Since around 1930 nationalism in colonized Korea changed to have a anti-Chinese look out of old form of anti-Japanese imperialism after Koreans in Manchuria had been frequently suffering damage from military collisions between China under the Kuomintang government and Japanese Kwantung Army. After the Manchurian Incident nationalism against Chinese changed its shape into internationalism striving international reconciliation with native Manchurians on the assumption of Koreans’ predominance. But this internationalism was one of tactics to secure the second authority for Korean advantage with assisting Japan in Manchukuo. It is materialized by two mechanisms, those are racial discrimination against native Manturian and identification with Japanese. I name it inter/nationalism because this eccentric internationalism is always ready to get rid of ‘inter’ from internationalism and to convert to nationalism. In this paper I describe how Koreans’ political hysteria caused by maintainable suffering from military collisions between China and Japan had changed into inter/nationalism and analyse how mass media and rumors aggravated it and set up Manchuria as a sign removed from realities.

      • KCI등재

        한국전쟁 기념문화에 대한 비평 - 한국전쟁 70주년을 중심으로

        김려실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22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76

        The year 2020, when the COVID-19 virus broke out, was also the 70th anniversary of the Korean War. As the new commemorative spaces in online, promoted by a result of social distancing for COVID-19 control, have expanded dramatically in conjunction with the rise of public history, 2020 became a watershed for the Korean War commemorative culture in various dimensions. This paper diagnoses the present commemorative culture of the Korean War by investigating such changes and the process of transitional justice of Truth and Reconciliation Committee of Korea as a starting point. Observing the expansion of online exhibitions and the recent trend of dark tourism, there is a risk that the existing singular and homogeneous memory of the war are strengthened due to the low diversity of exhibitions while excessive commemorations. After critically reviewing several cases, in conclusion, I suggest the conditions for realizing historical justice beyond transitional justice.

      • KCI등재

        일본 재난영화의 내셔널리즘적 변용 : 「고지라」와 「일본침몰」을 중심으로

        김려실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2012 일본비평 Vol.- No.7

        이 글에서는 일본영화가 재해를 어떻게 포착/표상해 왔는가에 주목하여 재난영화의 내셔널리즘적 변용을 「고지라」 시리즈와 「일본 침몰」(1973, 2006), 「일본 이외 모두 침몰」(2006)을 중심으로 논한다. 특히 이 영화들은 현실에서 발생한 재해를 반영하면서 일본인의 근원적이며 일상적인 공포를 표상한다. 전후 일본의 괴수영화에는 표면화되 지 않은 경우라 해도 핵전쟁이라는 잠재적인 재앙에 대한 공포가 깔려 있다. 예를 들면 1954년 제5후쿠류호 사건을 반영한 「고지라」(1954)는 일본인에게 “생태학적 관점의 반핵영화”로 수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 괴수가 퇴치시켜도 또 돌아온다는 것은 미국의 핵우산 아래 있는 일본인의 잠재적 공포가 그만큼 뿌리 깊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인 플레이션과 오일쇼크로 일본경제가 위기에 처한 70년대는 일본영화계의 스튜디오 시 스템이 몰락한 시기와 겹친다. 「일본 침몰」(1973)은 ‘침몰’이라는 비유를 통해 전후 체 제 아래 성립된 기존의 일본사회가 붕괴할 것으로 예견한 고마쓰 사쿄의 전설적인 베 스트셀러 SF를 원작으로 한다. 그러나 원작의 비판 의식은 영토와 민족을 본질적인 것 으로 상정함으로써 내셔널리즘의 회로에 갇히게 되고 뒤에 발표된 영화, 만화 버전 등 에서 원작은 위기 극복의 민족서사로 변형되고 만다. 「일본 침몰」은 일본인은 다른 민 족과 결정적으로 다르기 때문에 어떤 위기도 극복할 수 있다는 논리로 서구화된 신세 대를 내셔널리즘의 회로 속에 포섭한다. 2006년에 리메이크된 「일본 침몰」과 패러디 「일본 이외 전부 침몰」(2006)은 일본의 우경화 현상과 맞물려 더 자폐적이며 적대적인 내셔널리즘을 보여 준다. 이들 영화에는 주변국가와 국제사회로부터 고립되는 것에 대한 ‘공포’뿐만 아니라 일본정부에 대한 ‘불신’과 양극화 사회에 대한 ‘불안’이 뒤얽혀 있다. 3・11 동일본대지진의 1주기가 지난 시점에서 그것을 재현한 영화가 생산되는 가운데 이 국가적 위기가 일본영화를 어떻게 변모시킬 것인지 주목된다. In this paper, I examine nationalistic changes of Japanese disaster movies, Godzilla(1954), Japan Sinks(1973, 2006), and The World Sinks Except Japan(2006) focusing on how Japanese cinema has captured and represented disasters. These movies especially represent Japanese fundamental and ordinary fear reflecting actual disasters. Japanese monster film is involved with fear for the potential catastrophe, a nuclear war even if it does not come to surface. For example, Godzilla reflecting the Fifth Hukuryumaru incident of 1954, an incident of radiation exposure, is accepted as “anti-nuclear movie in the ecologic point of view.” However, the impossible eradication of Godzilla and its return mean that Japanese potential fear is deep-rooted under American nuclear umbrella. On the other hand, inflation and the first oil shock caused the economic crisis in 1970’s and it led to the crash of studio system. Japan Sinks is based on the bestselling science fiction written by Sakyo Komatsu, who predicted existing Japanese society established under the postwar system would be collapsed, by using “sinking” as a metaphor. However, by positing that the land and the people have the intrinsic value, the critical consciousness of the original is stuck in the nationalistic circuit. In the film version and comic version, the original is changed into an ethnic narrative of how to overcome the national crisis. Japan Sinks turns westernized young people over to the nationalistic circuit through the logic that the Japanese can overcome whatever the crisis is because the Japanese is crucially different from other people. Remake version of Japan Sinks and The World Sinks Except Japan based on a parody of the original fiction, made in 2006, show more autistic and hostile nationalism. In the movies, ‘fear’ for being isolated from its neighbouring states an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 deep ‘distrust’ of the government, and ‘anxiety’ over the polarized society are interwoven. Since the first year anniversary of 3.11 the great east Japanese earthquake has passed by, we already have several films which reflect it. Now it is time to think over how this national crisis has changed and will change Japanese cinema.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조선영화의 만주 유입― 만선일보의 순회영사를 중심으로

        김려실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07 한국문학연구 Vol.0 No.32

        Seven Chosun-yonghwa(early Korean Film)s discovered in China from 2005 through 2006, let us recognize that the study of Korean Film History nowadays can no longer kept inside the Korean Peninsula. There once lived in Manchuria 2.3 million Koreans before the liberation of Korea. Man-ei(Manchurian Motion Picture Association) imported quite many Chosun-yonghwa films in the need of propagandism toward Korean Manchurians. However, there are few specific researches about it until now. This paper thoroughly examined Mansun-ilbo(Manchuria-Chosun Daily News), the only Korean newspaper published in Manchuria, to know how Chosun-yonghwa was spread and received all over Manchuria. It is revealed in that process that Mansun-ilbo took an important part, as Korean Manchurians' main ethnic media, in the screening tours for the people. In addition, it develop what was like the actual conditions of cinemas in Manchuria and also of Chosun-yonghwa films showed there through a careful look on cinema advertisements and cinema sections of Mansun-ilbo. Also this newspaper demonstrates the different spectatorships between Koreans in Chosun and Koreans in Manchuria through the articles about Story of Jang-hwa and Hong-ryeon(Janghwa Hongryeon Jeon) and Miles Away from Happiness(Bok-ji-man-li). Grounded my results above, I suggest the need of writing new Korean film history across the borders, which admits the existence of spectatorship(s) because no single understanding is enough for a film. 2005년과 2006년에 걸쳐 중국에서 발견된 조선영화 7편은 한국영화사 연구가 더 이상 한반도 내에만 머무를 수 없다는 사실을 일깨웠다. 해방 전까지 만주에는 230만의 조선인이 이주해 있었고 만주영화협회는 선전선무공작을 위해 조선영화를 다수 수입했지만 이에 대한 연구는 일천하다.이 논문은 조선영화가 어떻게 만주국에 수출, 수용되었나를 밝히기 위해 만주국에서 발행된 조선어 신문 만선일보를 검토했다. 그 과정에서 이 신문이 재만조선인 사회의 구심점이었던 언론매체로서 조선인을 대상으로 한 순회영사에도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만선일보의 영화광고와 영화란을 면밀히 조사함으로써 만주국 영화관의 실태와 만주에서 상영된 조선영화의 면모에 대해서도 밝혀낼 수 있었다. 그리고 ‘재조(在朝)’와 ‘재만(在滿)’이라는 차이가 관객성에 영향을 미쳤다는 점을 순회영사의 단골 래퍼토리였던 <장화홍련전>과 조만(朝滿)합작영화 <복지만리>를 예로 들어 논했다. 이상의 성과를 바탕으로 이 논문은 영화(film)는 하나일지라도 영화의 의미는 결코 단일하지 않았으므로 국경과 경계를 넘어 복수의 관객성(들)의 존재를 인정하는 새로운 한국영화사 집필을 제안했다.

      • KCI등재

        <도쿄 이야기>의 공간 표상 연구

        김려실(金麗實)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4 코기토 Vol.- No.75

        오즈 야스지로 감독의 <도쿄 이야기>는 홈드라마의 관습 안에서 그것을 뛰어넘는 내용, 즉 전후 일본사회에서 ‘이에[家]제도’의 종언과 핵가족화를 섬세하게 포착하는 데 성공한 영화이다. 많은 연구들이 이 영화를 오즈 미학의 정수로 평가하면서 형식과 주제에 대해 풍부한 논의를 남겼음에도 불구하고 영화 속 공간을 전후 가족제도의 변화와 연동시켜 천착하지는 못했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일본형 근대 가족모델과 주거모델의 변천을 연구한 니시카와 유코[西川祐子]의 이론을 참조하여 <도쿄 이야기>의 주거공간이 등장인물들의 가족구조와 가정생활을 어떻게 표상하고 있는지 분석했다. 시대적 콘텍스트 속에서 해석한다면 <도쿄 이야기>는 ‘이에가족-가테이가족’이라는 구(舊) 이중구조가 신헌법이 상정한 ‘가테이가족’의 형태로 이행되면서 나타난 인물들의 고뇌를 그린 영화이다. 이 논문에서는 오노미치에 있는 부모의 주거공간과 도쿄에 있는 자식들의 주거공간, 그리고 전후 가족제도의 모순을 드러내는 인물인 노리코의 주거공간을 분석하여 그 점을 논증했다. 더 나아가 도쿄와 오노미치라는 두 공간을 왕복하는 부모와 자식의 여행을 내러티브의 순환구조 속에서 살펴봄으로써 오즈 야스지로 감독이 집이라는 공간에 부여하고자 했던 의미는 무엇인지 고찰했다.

      • KCI등재

        1970년대 생명정치와 한센병 관리정책: 김정한의 「인간단지」와 최인호의 「미개인」을 중심으로

        김려실 상허학회 2016 상허학보 Vol.48 No.-

        Michel Foucault coined the word biopower(or bio-pouvoir in French) to explain the mechanism of the modern politics which found a fundamental power strategy: Governing not the territory but the population. Giorgio Agamben, accepting Foucault’s theory, argued that involving the homo sacer in politics was the primary activity of Western sovereign power. In this paper, referring to the theories of them, I reflect back on the biopoltics(or bio-politique in French) under Park Chung-hee regime to trace the origin of the power governing and controlling Koreans to their very foundation. Korean literature in 1970s perceived sensitively the relation between the birth of sovereign power above the constitution and the politicization of life. There were several authors who depicted such an invisible but actually working phenomenon against the sovereign power which invented a new constitution to abolish the old one. This paper examined Kim Jeong-han’s the Human Estate and Choi In-ho’s the Uncivilized among them. They detected the relation between bare life(or la nuda vita in Italian) and the governance of developmental dictatorship and thus reconstructed the context in which the life of patients with Hansen’s disease was politicized, based on true stories. The Human Estate questioned the settlement project for the people healed from Hansen’s disease, enforced by Korean government. It also criticised that the leprosy control carried out by the developmental dictatorship was not to abolish the leper colony but to invisualize it, through examining the continuity with the politics of leper deportation implemented by the Japanese empire. The Uncivilized reproduced the commotion of rejecting the children of patients with Hansen’s disease in a public school, which aroused social criticism of the day, to expose how civil society conspired with biopolitics. The novel, meanwhile, clarified there were neoliberal power techniques behind such a conspiracy, which govern the life of population in the form of economy. On the threshold of Yushin, the revitalizing reform, these texts gave attention to the power over life and urged us to change the given conditions of life by describing the escape and the resistance of bare life called the patient with Hansen’s disease, who was excluded by the power. It is significant that they clearly grasped the symptom of such resistance when we recall the fact that popular movements, in the time that anti-Yushin resistance hardened, were provoked by the ‘biological resistance’ of oppressed and exploited lives. 미셸 푸코는 영토가 아닌 인구에 대한 통치가 권력의 핵심 전략이 되는 근대의 정치 메커니즘을 생명권력(bio-pouvoir)이라고 명명했다. 푸코의 이론을 수용한 아감벤은 호모 사케르를 정치 영역에 포섭하는 행위야말로 서구 주권 권력의 본래적인 활동이라는 점을 환기했다. 푸코와 아감벤의 이론을 참조하여 이 논문에서는 우리 삶의 근저를 지배하고 규율하고 있는 권력의 근원을 찾아서 박정희 시대의 생명정치에 대해 반추해보고자 한다. 1970년대 한국문학은 초헌법적인 주권 권력의 탄생과 생명의 정치화의 관계를 민감하게 감지했다. 헌법을 중지하고자 새로운 헌법을 발명한 주권 권력에 대항하기 위해, 비가시적이었으나 현실적으로 작동했던 그와 같은 현상을 묘파한 일련의 작가들이 있었다. 이 논문은 그 중에서도 벌거벗은 생명이 본질적으로 개발독재의 통치성과 연관되어 있음을 탐지하고 실화를 바탕으로 한센인의 생명이 정치화되는 맥락을 재구성한 김정한의 「인간단지」와 최인호의 「미개인」을 분석했다. 「인간단지」는 국가 주도의 정착촌 사업에 의문을 제기하며 그것을 일제시기 한센인 격리정책과의 연속성 속에서 고찰함으로써 개발독재 시기 한센병 관리정책이 수용소의 폐지가 아니라 비가시화라는 점을 비판했다. 「미개인」은 당시 사회적 물의를 빚었던 한센인 자녀와의 공학 거부 소동을 재현함으로써 시민사회가 생명정치에 어떻게 공모했는지를 폭로한 한편, 경제의 형식으로 생명을 통치하는 신자유주의적 권력기술이 그와 같은 공모의 배후라는 점을 명확히 했다. 유신으로 가는 문턱에서 이들 텍스트는 생명에 행사되는 권력에 주목하였고 그 권력이 배제한 한센인이라는 벌거벗은 생명의 탈주와 저항을 그림으로써 우리에게 주어진 생명의 존재 조건 자체를 바꾸기를 촉구했다. 반유신의 저항이 무르익어 가던 시기 민중운동이 억압당하고 착취당한 생명들의 ‘생체적 저항’으로부터 촉발되었다는 사실을 돌이켜볼 때 이들 소설은 그 같은 저항의 징후를 명확히 포착했다는 의의를 지닌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