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경량전철의 전원공급선에 의해 발생되는 자기장 차폐해석

        송명곤(Song MK),오윤상(Oh YS),김동훈(Kim DH),주민석(Joo MS),노석균(Rho SK),이상진(Lee SJ),박정도(Park JD),정상기(Chung SG),정락교(Jeong RG),조홍식(Cho HS) 한국철도학회 2003 한국철도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 No.-

        This paper presents the magnetic fields shielding properties of the light rail transit which are produced by the ripple-shaped currents in the power lines. To analyze these properties, the equivalent circuit model of the DC power supply system at the light rail transit system was induced by MATLAB-SIMULINK, and with the calculated results of the ripple-shaped currents, the magnetic fields shielding properties of the light rail transit were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frequency of the ripple-shaped currents is 200[㎐] and its magnitude is 1.5[A] Second the magnetic fields produced by the ripple-shaped currents of the DC power supply systems are well shielded by the aluminum made body of the light rail transit.

      • 사료에 따른 혈액 및 혈액 생화학적 측정치의 차이에 대한 연구

        강태석,임채형,김용규,황진희,황대연,강현구,김동훈,송점란,구준서,이미라,임화자,조정식,채갑용 식품의약품안전청 2001 식품의약품안전청 연보 Vol.5 No.-

        실험동물을 이용한 생체실험 연구는 실험동물의 유전적인 특성 및 실험자가 실험동물을 취급하는 방법, 급여하는 사료, 음수와 뽄은 환경적인 요인 등에 영향을 받는다. 이러한 환경적 요인 중 사료의 영양학적인 요인은 유전적 발헌, 번식능, 수면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면역 능력이나 환경적 스트레스에 적응하는 능력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급여되는 사료에 따른 실험동물의 혈액학치, 혈액생화학치, 장기무게 및 체중 등의 ·탱리학적 차이의 자료곡보로 독성시험 등 생체이용 실험결과의 오차를 줄아고 신뢰성 있는 실험결과를 확보하고자 한다. 생산 시판되는 2종의 사료(국내생산사료, 미국생산사료)를 급여한 ICR 마우스 두 군과 5)1 랫드 두 군을 각각 5, 10, 20주령에 심장채혈하여 혈액학적 검사와 혈액생화학적 검사를 실시하였고, 채혈후 부검하여 장기무게를 측정하였다. 마우스에서는 호중구,림프구, 단구, 평균 적혈구 혈색소량, 평균적혈구 혈색소농도 등과 CL, GLU, LD,7G, CA 등바 급여 사료에 따른 차이를 나타냈다 또한 주령별 혈액학치와 혈액생화학치는 평균적혈구용적, CL, Na 등에서 5주령과 10주령 사이에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랫드에서는 평균적혈구용적, 평균적혈구 혈꺽 소농도, 적혈구용적, 혈색소, 퍽혈구, CHOL, CL, TG, CREA 등에 사료에 따른 차이를 나타내었다. 주령별 차이는 5주령과 10준련 사이에 적혈구수와 CHOL농도에서의 증.가, ALP와 GLU활성도의 감소, 그리고 5, 10,_20주령에 꼰 평균적혈구용적의 감소로 나타났다. 6개월령과 1년령에서도 혈액학치, 혈액생화학치, 장기무게 등을 확보할 것이며 이를 통해 급여 사료 종류별 비교 자료를 제공하고자한다. Experiments using laboratory animals are affected by experimental conditions including animal care and handling, diet and water. Nutritional factor of diet effects reproduction, immune response and response for stressful condition. The study reported here is to provide information that are hematologic and biochemical values, organ massees and body weights in two kind of diet. Commercial diet made in Korea was provided ICR mouse and SD rat. And USA diet used commonly was wupplied the same breed. Whole blood was collected by use of cardiac puncture at 5, 10, 20 weeks of age. Blood was further evaluated for hematology and serum chemistry. Total body and organ masses were determined after blood collec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neutrophil, lymphocyte and monocyte counts, MCH(Mean Corpuscular Hemoglobin), MCHC(Mean Corpuscular Hemoglobin Concentration), CL, GLU, LD, TG and CA between two groups of ICR mouse. And differences were found in MCV(Mean Corpuscular Volume), MCHC, hematocrit, hemoglobin, erythrocyte counts, CHOL, CL, TG and CREA between two group of SD rat. Hematology, serum chemistry, body and organ masses are to be evaluated at 31, 57 weeks of age.

      • KCI등재

        태아골반 불균형의 예측지표로서 태아골반지수의 효용성

        이원기,제구화,김현호,황태영,박진완,김동훈 대한산부인과학회 199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7 No.5

        1992년 5월부터 1993년 11월까지 동아대학병원 분만실에 입원하였던 제태기간이 38주이상의 초산모중 검사상 태아의 체중이 4kg이상으로 추정되어 거대아가 의심되거나, 내진에 의한 임상적으로 아두골반 불균형이 의심되었던 74명을 대상으로 태아골반불균형의 예측지표로서 태아골반지수의 효용성을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대상 74명중 26명은 제왕절개만출술에 의해 분만이 되었고, 48명은 질식분만에 의해 분만이 되었다. 이들 양군 간의 산모의 연령 및 체중, 제태기간, 출생시 태아체중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 태아골반 불균형을 예측하는 방법으로 초음파검사 단독 이용시 및 X-선 골반게측 단독이용시 각각의 감수성, 특이성, 양성예측도, 음성예측도는 전자가 39%, 67%, 35%, 71%였고, 후자가 41%, 69%, 46%, 65%로서 이들 방법들은 태아골반 불균형을 예측하는데에 정확한 방법이 되지 못했다(p$gt;0.05). 3. 태아골반지수를 태아골반 불균형의 예측지표로 사용할 경우 감수성, 특이성, 양성예측도, 음성예측도는 각각 76%, 100%, 100%, 83%였다(p$lt;0.01). 이상의 결과로 보아 태아골반지수를 사용하면 태아골반 불균형의 유무를 객관적이면서 정확하게 예견할 수 있어 진통지연으로 인한 합병증 및 불필요한 수술적 분만의 빈도를 줄여 주산기 유병율 및 사망율 등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fetal-pelvic index is a recently described means of identify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fetal-pelvic disproportion, which compares fetal head and abdominal circumferences with respective maternal pelvic inlet and midpelvic circumferences. In this study, the efficacy of the fetal-pelvic index qas a predictor of fetal-pelvic disproportion was evaluated in 74 nulliparous women with suspected fetal macrosomia or clinically suspected contracted pelvis, and was compared with those of two other means used to identify fetal-pelvic disproportion (Colcher-Sussman X-ray pelvimetry and ultrasonographically estimated fetal weight). All of 26 women who required cesarean section had positive fetal-pelvic index value, but 40 of the 48 women who were delivered vaginally had negative fetal-pelvic index value. Sensitivity, specificity, positive predictability and negative predictability of fetal-pelvic index were 76%, 100%, 100% and 83% respectively. In comparison, when used alone, neither X-ray pelvimetry nor ultrasound-derived estimated fetal weight provided an accurate identification of fetal-pelvic disproportion. On the basis of these data, the fetal-pelvic index is a method of predi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fetal-pelvic disproportion in women with suspected fetal-pelvic dispropor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