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항공시뮬레이터에서 예측 기반의 동적 LOD 적용방안

        김동진,임주호,김기일,Kim, DongJin,Lim, Juho,Kim, Ki-Il 한국정보통신학회 2016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20 No.7

        Fast rendering speed is one of key functions to provide realistic scenes in flight simulator. However, since flight simulator mostly operates with high volume terrain data, rendering speed is reduced and changed very rapidly when it handles file containing too much vertexs. So, previous schemes make use of Level of Details (LOD) scheme to prevent this problem. But, since LOD is applied after the large number of vertexs are detected, transition between scenes is not completely smooth. To solve this problem,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dynamic LOD scheme which controls LOD level in advance through prediction of vertex overload. To verify the proposed scheme, we implement the proposed scheme in our flight simulation through OpenSceneGraph(OSG) and identify the reduced number of vertexs and enhanced Frame Per Second (FPS) by comparing real data with predicted one. 비행 시뮬레이터에서는 조종사에게 실제와 흡사한 가상현실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원활하면서 현실감 있는 이미지 처리를 위한 일정한 렌더링 속도가 요구된다. 하지만 고해상도 지형 데이터를 사용하는 경우, 개체의 증가로 인해 렌더링 속도가 감소하거나 속도의 변동이 큰 경우가 발생하는 경우가 발생하므로 기존의 연구들은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Level of Detail (LOD)를 적용한다. 하지만, LOD기법의 경우 정점 수가 늘어난 것을 감지한 이후 레벨의 변경을 적용하므로 화면의 변화가 감지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예측 알고리즘을 통해 다음 시점에서 늘어날 렌더링 데이터에 대한 과부하를 예측하고 미리 LOD의 레벨을 조절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제안된 방법을 검증하기 위해서 예측 데이터와 실제 데이터와 비교하였고 그 결과 LOD 레벨을 조절하였을 때 정점수가 줄어들고 FPS 수치가 변화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 KCI등재

        하수처리시설의 효율적인 VE수행을 위한 다단계성능평가 분석

        김동진,박재일,이재훈,이민재,Kim, Dongjin,Park, Jaeil,Lee, Jaehun,Lee, Minjae 한국건설관리학회 2016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17 No.1

        현재 우리나라의 대다수 공공하수처리시설들은 미래의 하수량 증가에 따른 설계기준에 대한 대비가 부족하여 현재 시설로는 향후 계획하수량의 적정처리가 곤란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대응하여 정부는 하수처리장 건설 사업을 꾸준히 진행하고 있는 추세다. 앞으로 건설될 하수처리시설의 효율적인 운영과 시설물의 가치 향상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주민과 하수처리시설, 토목 시공, 설계VE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비용 절감 뿐 아니라 시설물의 성능향상, 이용자 및 인근 주민의 만족도 등을 반영한 성능평가항목을 도출하고, 다단계성능평가법을 이용하여 효율적인 설계VE 수행을 위한 보다 객관적인 성능평가 항목의 가중치 분석을 실시하였다

      • KCI등재

        화력발전소 배출량 제거에 따른 여름철 O<sub>3</sub> 농도의 변화 특성

        김동진,전원배,박재형,문정혁,Kim, Dongjin,Jeon, Wonbae,Park, Jaehyeong,Mun, Jeonghyeok 한국지구과학회 2021 한국지구과학회지 Vol.42 No.2

        In this study, the changes in ozone (O3) concentrations due to the removal of power plant emissions were analyzed using a community multi-scale air quality (CMAQ) model. Two different CMAQ model simulations, one considering the emissions from the Hadong power plant and one without considering the emission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emissions on the changes in the O3 concentrations in the surrounding areas. Subsequently, the CMAQ simulations exhibited an increase in the O3 concentration (25.24%) despite a decrease in the NOx (-18.87%) and volatile organic carbon (VOC, -11.27%) concentrations, which are major O3 precursors. The changes in the NO and O3 concentrations due to the removal of power plant emissions presented a strong negative correlation (r= -0.72). This indicated that the increase in the O3 concentration was mainly attributed to the significantly decreased NO concentration, thus, mitigating the O3 titration reaction (NO+O3→NO2+O2). Additionally, due to the VOC-limited (i.e., NOx-saturated) conditions in the study region, NO affected the O3 concentration, indicating that the O3 concentrations in a particular region are not only proportional to the increase or decrease in emissions. Therefore,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chemical O3 production and loss in a particular region is necessary to accurately evaluate the effect of emission control on the changes in the O3 concentration.

      • KCI등재

        An Investigation of Glyceollin I’s Inhibitory Effect on The Mammalian Adenylyl Cyclase

        Dong-Chan Kim(김동찬),Nam Doo Kim(김남두),Sung In Kim(김성인),Chul-Soo Jang(장철수),Chang Oh Kweon(권창오),Byung Weon Kim(김병원),Jae-Ki Ryu(류재기),Hyun-kyung Kim(김현경),Suk Jun Lee(이석준),Seungho Lee(이승호),Dongjin Kim(김동진) 한국생명과학회 2013 생명과학회지 Vol.23 No.5

        글리세올린 I 은 다양한 피부 질환의 예방과 치료에 유용한 물질로 주목을 받아왔다. 그러나 피부 멜라닌 형성에 결정적 역할을 담당하는 포유류의 아데니닐 고리화 효소(이하 mAC)에 대한 직접적인 결합 형태와 상호 작용에 대한 연구는 현재까지 연구 보고된 사례가 없었다. 글리세올린 I 의 mAC 활성 부위에 대한 결합 작용 기작을 규명하기 위하여 우선 글리세올린 I과 SQ22,536 (mAC에 결합하여 mAC의 활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이미 잘 알려진 단일 화합 물질)의 mAC에 대한 결합 친화도와 결합 형태를 비교 분석 하였다. 글리세올린 I은 mAC의 활성부위에 존재하는 Asp 1018, Trp 1020, Asn 1025와 각각 3개의 수소결합을 형성하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SQ22,536은 mAC 활성부위의 Asp 1018, Asn 1025와 2개의 수소결합을 형성하여 글리세올린 I이 상대적으로 우월하게 결합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글리세올린 I은 또한 포스콜린(forskolin)에 의해서 유도되는 세포내 멜라닌 형성 2차 신호전달 물질인 cyclic AMP의 생성과 이로인해 유발되는 단백질 인산화 효소 A의 인산화를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멜라노마 세포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또한 글리세올린 I 을 장시간 세포에 투여하여도 세포의 생존률에는 영향을 주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통하여 규명된 글리세올린 I의 mAC 활성 억제 효능 및 멜라닌 생성 신호전달 기작을 조절하는 성질을 이용하여 향후 흑색종과 같은 다양한 피부 질환 치료제 개발 및 미백화장품 핵심 물질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Glyceollin I has gained attention as a useful therapy for various dermatological diseases. However, the binding property of glyceollin I to the mammalian adenylyl cyclase (hereafter mAC), a critical target enzyme for the down-regulation of skin melanogenesis, has not been fully explored. To clarify the action mechanism between glyceollin I and mAC, we first investigated the molecular docking property of glyceollin I to mAC and compared with that of SQ22,536, a well-known mAC inhibitor, to mAC. Glyceollin I showed superiority by forming three hydrogen bonds with Asp 1018, Trp 1020, and Asn 1025, which exist in the catalytic site of mAC. However, SQ22,536 formed only two hydrogen bonds with Asp 1018 and Asn 1025. Secondly, we confirmed that glyceollin I effectively inhibits the formation of forskolin-induced cAMP and the phosphorylation of PKA from a cell-based assay. Long term treatment with glyceollin I had little effect on the cell viability. The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also suggest that glyceollin I may be extended to be used as an effective inhibitor of hyperpigmentation.

      • KCI등재

        마코프체인 몬테카를로 방법을 이용한 에너지 저장 장치용 배터리의 잔존 수명 추정

        김동진(Dongjin Kim),김석구(Seok Goo Kim),최주호(Jooho Choi),송화섭(Hwa Seob Song),박상희(Sang Hui Park),이재욱(Jaewook Lee) 대한기계학회 2016 大韓機械學會論文集A Vol.40 No.10

        리튬 이온 배터리의 잔존수명 추정은 품질보증, 운전계획, 교체주기 파악 등을 위해 활용된다는 점에서 그 필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에너지 저장 장치용 배터리의 잔존 수명을 단일지수 용량열화 모델과 마코프체인 몬테카를로(MCMC) 방법을 이용하여 추정한 결과를 제시한다. MCMC 방법은 사전 정보가 제대로 주어지지 않았을 때, 추정결과가 모델 초기값과 입력 설정값에 따라 크게 변하게 되는 단점이 있어, 실제 현장에서 배터리 모델과 추정법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가 활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베이지안 추론법의 이론식을 전역 탐색하여 구한 이론값과 MCMC 추정값을 비교해서, 초기값과 설정값을 결정하는 과정을 제안한다. Remaining useful life (RUL) estimation of the Li-ion battery has gained great interest because it is necessary for quality assurance, operation planning, and determination of the exchange period. This paper presents the RUL estimation of an Li-ion battery for an energy storage system using exponential function for the degradation model and Markov Chain Monte Carlo (MCMC) approach for parameter estimation. The MCMC approach is dependent upon information such as model initial parameters and input setting parameters which highly affect the estimation result. To overcome this difficulty, this paper offers a guideline for model initial parameters based on the regression result, and MCMC input parameters derived by comparisons with a thorough search of theoretical results.

      • KCI등재

        모의 양육스트레스가 부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가 지각한 부부갈등 및 온정적 양육행동의 매개효과: 부의 우울과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동진(Dongjin Kim),전효정(Hyojeong Jeon) 인지발달중재학회 2019 인지발달중재학회지 Vol.10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모의 양육스트레스가 부의 결혼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부가 지각한 부부갈등 및 온정적 양육행동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더불어 부의 심리적 변인인 우울과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육아정책연구소의 한국아동패널 7차 년도 데이터(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2014)로 1,473개의 데이터를 횡단가중치를 이용하여 상하 우울 집단, 상하 자아존중감 집단으로 분류하였다. 자녀의 성별, 부의 연령 및 학력, 그리고 가구소득을 통제하고 경로분석과 다중집단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모의 양육스트레스와 부의 결혼만족도의 관계에서 부의 부부갈등과 온정적 양육행동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모의 양육스트레스와 부의 결혼만족도의 관계에서 부의 우울과 자아존중감은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부의 우울 수준은 부부갈등과 결혼만족도의 경로에 영향을 미치고, 부의 자아존중감 수준은 양육스트레스와 결혼만족도의 경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부의 결혼만족도에서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변인들 간의 관계를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의 기초로 부의 개인적 특성에 따라 더 나은 결혼생활을 위하여 개입과 중재에 대한 논의 및 후속 연구에 대해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f marital conflict upon a father’s parenting skills, and its subsequent impact on a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and parenting ability. The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cross-sectional weights from 1,473 samples from the seventh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the samples were classified into groups of high and low depression, and high and low self-esteem. Path analysis and multiple group comparis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controlling factors were the child’s sex, the father’s age, education, and household incom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 father’s conflictual marital relationship and poor parenting behavior caused the mother to negotiate between her dual role of parent and partner; she had to strike a balance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partner’s satisfaction. Second, a father’s depression and poor self-esteem adversely affected a mother’s parenting skills and marital satisfaction. Therefore, a father’s mental state was a key factor that affected the path from marital conflict to satisfaction; his poor self-esteem led to greater parenting stress.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it reveals that the primary factor for consideration in a marital relationship is a father’s marital satisfaction. It suggests the scope for intervention and further research. The study infers that a prior understanding of a man’s personal traits could facilitate better marriages.

      • KCI등재

        易學의 관점에서 태극기 오류설 비판

        김동진(Dongjin Kim) 한국도교문화학회 2022 道敎文化硏究 Vol.57 No.-

        본 논문은 ‘태극기 오류설’을 역학의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검토한 글이다. 태극기 오류설이란, 1949년 10월 ‘국기제작법’에 의해 확정된 현행 태극기 도안이 역(易)의 원리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주장이다. 이러한 주장을 하는 태극기 오류론자들은 태극기의 태극 문양을 고태극도와 같은 모양으로 수정해야 비로소 역의 원리에 부합하게 된다고 주장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태극기 오류론자들의 주장을 역학의 관점에서 재검토하여 태극기 도안이 역의 원리에 위배되지 않음을 보였다. 본고의 고찰에 따르면, 태극 안에 음양의 변화를 나타낸 역도(易圖)는 태극 문양을 기준으로 ‘⼄’자형과 ‘S’자형 두 유형으로 구분 가능하고, 고태극도는 ‘⼄’자형에 속하며 태극기는 ‘S’자형에 속한다. 태극기 오류론자들의 주장은 결국 ‘S’자형의 태극 문양은 잘못되었고 ‘⼄’자형만이 옳다는 것인데, 본고의 고찰에 따르면 양자의 태극 문양의 차이는 괘의 배치에 의해 발생하는 차이일 뿐, 양자 모두 음양의 소식이라는 역의 원리를 충분히 구현하고 있다. 이를 통해 ‘S’자형의 태극기 또한 역의 원리에 부합하며, 태극기 오류설이 잘못되었음을 알 수 있다. 추가적으로 도상의 역학적 함의에 있어서도 양자 모두 소옹의 선천도에 유래하고, 도상의 관법 또한 유일하지 않기 때문에 양자가 크게 다르지 않다는 점도 살펴보았다. This paper is that critically reviewed the theory of Taegeukgi error from the perspective of Yixue(易學). The theory of Taegeukgi error is that the current Taegeukgi design confirmed by the National Flag Manufacturing Act in October 1949 does not conform to the principle of Yi(易). The researchers who insists on the theory of Taegeukgi error argue that the Taiji mark of Taegeukgi must be modified to the same shape as the old diagram of Taiji to conform to the principle of Yi. In this paper, the arguments of the Taegeukgi errorists were re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Yixue, and it was shown that the Taegeukgi design did not violate the principle of Yi. According to this papers consideration, the diagrams of Yi, which shows the change of yin and yang in Taiji, can be divided into two types based on the Taiji pattern, the old diagram of Taiji belongs to the ‘⼄’ shape, and the Taegeukgi belongs to the ‘S’ shape. The Taegeukgi errorists argue that the S-shaped Taiji pattern is wrong and only the ⼄-shaped is right. According to this pap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S-shaped and ⼄-shaped Taiji patterns is only a difference caused by the arrangement of the Gua(卦), and both fully embody the principle of Xiaoxi(消息) of yin and yang. Through this, it can be seen that the S-shaped Taegeukgi also conforms to the principle of Yi, and that the theory of Taegeukgi error is wrong.

      • 자율주행 방식의 이동식 스마트 공기청정기

        김동진(Dongjin Kim),박하영(Hayoung Park),손대성(Daesung Son),이상목(Sangmok Lee),이성운(Sungwoon Lee),장승준(Seongjun Jang),이용환(Yong-hwan Lee) 한국정보기술학회 2021 Proceedings of KIIT Conference Vol.2021 No.11

        가정 내 방마다 공기청정기를 비치하는 경제적 문제와 공기청정기의 고정된 거치 공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아두이노 제어 및 센서를 이용한 이동식 공기청정기를 개발한다. 공기청정기를 고정식이 아닌 이동식으로 변경하여 설계함으로써 공기청정기의 평균 정화면적을 증가시키도록 한다. 또한 소비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공기의 청정도와 온습도 측정 센서를 장착해 공기 질의 상태에 따라 공기청정 시스템의 동작제어를 자동화한다. 자율주행 기능이 추가된 AI로봇을 결합하여 공기청정이 필요한 공간으로 스스로 이동하여 공기를 진단하고 정화할 수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economic problem of having an air purifier in every room in the house and the problem of the fixed mounting space of the air purifier, this paper develops a portable air purifier using Arduino control and sensors. The average cleaning area of the air purifier is increased by changing the design of the air purifier to a mobile type rather than a fixed type. In addition, to reduce power consumption, air quality and temperature/humidity sensors are installed to automate the operation control of the air cleaning system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air quality. By combining an AI robot with an added autonomous driving function, it can diagnose and purify the air by moving itself to a space requiring air purification.

      • 파이로테크닉스를 이용한 분리장치 연구

        김동진(Dongjin Kim),강원규(Wonkyu Kang),이응조(Yeungjo Lee),김남춘(Namchun Kim) 한국추진공학회 2013 한국추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3 No.12

        파이로테크닉스는 화약 에너지를 이용하여 설계된 임무를 수행하는 제품이다. 파이로테크닉스를 이용한 분리장치는 크게 화약의 폭발에너지를 이용하여 구성품 일부가 파괴되면서 분리되는 것과 화약 연소시 발생된 압력을 이용하여 구성품의 유동부분을 이동시켜 분리가 일어나는 것으로 분류할수 있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분리장치의 작동원리, 분리특성 및 적용분야에 대해 기술하고, 설계, 해석, 검증 과정등 분리장치의 개발 프로시져를 제시함으로써, 파이로테크닉스를 이용한 분리장치 적용시 설계자가 각각의 제품에 대해 정확한 특성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분리장치 개발시 제시된 프로시져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Pyrotechnics are products that perform their designed missions using exploding energy. Pyrotechnics can be categorized with two groups. One group of them, it use exploding enery on destroying its body to be separated. The other group use pressure that is generated by explosives combustion, to slide some moving parts in their body. In this paper, to help accurate use of separation devices using pyrotechnics, I present the operating principle, the separation characteristics and applications of separation devices using pyrotechnics. I also explain the methods of design, analysis, verification on separation devi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