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HRM의 변화와 실태 - 노사관계에 대한 함의

        김동배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2018 한국노사관계학회 학술대회 Vol.2018 No.2

        본고는 한국노동연구원의 사업체패널조사 2005~2015년간 6회 조사에 모두 응답한 681개 사업체를 대상으로 인사관리의 변화를 분석하고 이것이 노사관계에 갖는 함의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인사관리 변화는 고용관리, 개발관리, 보상관리, 근로자 영향력, 전반적 인사관리 방침의 5가지 영역으로 구분해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지난 10년간 ‘장기고용-내부육성-근로자 충성과 몰입’을 강조하는 인사관리 방침 퇴조가 뚜렷하게 관찰되었으며, 개별 영역에서도 비정규직 중심의 고용유연성, 작업장 참여나 교육훈련투자와 같은 기능적 유연성의 퇴조, 근로자 영향력의 정체나 작업장 수준 이슈에 대한 영향력의 퇴조, 빈약한 ‘일’중심의 임금체계와 최근 임금피크제의 급속한 확산 등이 관찰되었다. 마지막으로 이상의 분석결과가 노사 당사자에 주는 함의를 살펴보았다.

      • KCI등재후보

        조직체에 대한 신뢰성이 기부규모에 미치는 영향 -자원봉사활동 시간에 따른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김동배,이주연,김성웅 한국비영리학회 2009 한국비영리연구 Vol.7 No.3

        본 연구는 조직체의 신뢰성과 기부규모와의 관계에서 자원봉사활동 시간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것이다. 신뢰, 기부 및 자원봉사는 21세기 사회발전의 중요한 축으로서, 이 세 변수의 상호관계는 최근 연구의 관심주제로 떠오르고 있다. 또한 복지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사회복지 영역의 재정확충을 위한 기부규모의 증대가 필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조직체의 신뢰성에 대한 변수를 사회복지단체, 중앙정부, 대기업, 시민단체, 자선단체, 정당, 종교기관, 이익단체, 교육기관, 의료기관 등으로 구분하여 기부규모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의료기관에 대한 신뢰성이 기부규모를 증가시키는 변수임이 확인되었다. 조직체의 신뢰성과 기부규모의 관계에서 자원봉사활동 시간은 시민단체와 자선단체에서 조절효과를 보여, 시민단체 및 자선단체에서 자원봉사활동 시간과 기부규모가 보완재의 관계임을 알 수 있었다. 반면, 사회복지단체 및 이익단체의 자원봉사활동 시간 증가는 기부규모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자원봉사활동 시간과 기부규모는 대체재 관계임을 알 수 있었다. 의료기관을 제외한 우리나라 조직체의 신뢰성은 기부규모를 증가시키지 못하고 있다. 또한 조직체에 따른 자원봉사활동 시간은 기부규모와 대체재 또는 보완재 관계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부규모의 증가를 위해서 모든 조직체가 높은 신뢰성을 확보하고, 기부규모와 자원봉사활동 시간이 대체재에서 보완재의 관계로 전환되어야 함을 제언한다.

      • KCI등재

        참여적 작업조직과 기업훈련: 성과배분의 조절효과

        김동배 한국노동연구원 2018 노동정책연구 Vol.18 No.4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regarding high-involvement work practices(HIWPs) and firm training HIWPs are positively related with firm training. Also a few studies found out that profit-sharing is positively related with firm training. This study proposed that profit-sharing would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HIWPs and firm training. Using ‘2015 Workplace Panel Survey’ by Korea Labor Institute, this study tested the moderating effect of profit-shar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IWPs and firm training. The results are as follows. HIWPs and profit-sharing were both positively related with all three indicators of firm training, training hour per employee, training expenditure per employee, and training coverage. And in case of training hour per employee and training expenditure per employee profit-sharing positivel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HIWPs and firm training. I suggested the implications of our study and proposed further research questions. 근로자의 역할을 확대하는 참여적 작업조직은 확대된 역할 수행이 요구하는 숙련을 공급하기 위해 기업훈련을 증가시킨다. 경영성과를 근로자와 공유하는 집단 성과급으로서의 성과배분은 기업훈련 투자와 관련된 노사의 인센티브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기업훈련을 증가시킨다. 본 연구는 참여적 작업조직이 기업훈련에 미치는 영향을 성과배분이 조절할 것이라는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한국노동연구원의 2015년 사업체패널조사의 제조업 표본을 사용해서 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성과배분은 참여적 작업조직과 인당교육훈련시간, 인당교육훈련투자금액의 관계를 정(+)적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가 갖는 함의와 연구의 한계 그리고 추후 연구과제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여성 자원봉사자의 대인관계기술이 가정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검증 -서울특별시 거주 전업주부를 중심으로 -

        김동배,엄태영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09 여성연구 Vol.82 No.-

        This study analyses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relation skill and family life satisfaction and mediation effect of self-efficacy for married women who are volunteering in SEOUL. The sample of this study consists of the volunteers who participate in now, and the sample size of this study is 292.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is used for the analysis. The research results show that interpersonal relation skill of the volunteers has statistically significant meaning on the self-efficacy, and the self-efficacy has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family life satisfaction. Also, interpersonal relation skill of the volunteers has significant effect on the family life satisfaction. After all, this study verifies that self-efficacy is mediator between interpersonal relation skill and family life satisfaction. This study discusse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developing of interpersonal relation skill and self-efficacy in the management of volunteers and revitalizing of family volunteer program. 본 연구는 전업주부 여성 자원봉사자의 대인관계기술과 가정생활만족의 관계 및 양자의 관계에서 자원봉사자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 은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서울시 거주 전업주부 여성 자원봉사자 292명 으로서, 각 변수의 인과관계 및 매개효과 검증을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 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전업주부 여성 자원봉사자의 대인관계기술은 자원봉 사자 자기효능감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긍정적 영향을 미쳤고, 자원봉사자 자 기효능감도 이들이 인식하는 가정생활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긍정적 영 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업주부 여성 자원봉사자의 대인관계기술 이 가정생활만족에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긍정적 영향을 미침으로써 결국 전 업주부 자원봉사자의 자기효능감은 부분매개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전업주부 여성 자원봉사자를 대상으로 한 자원봉사자 관리 프로그 램 및 자원봉사자 교육 프로그램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전업주부 여성 자원봉사자 개인의 적극적이고 만족스러운 자원봉사활동 참여가 가정생활 에 대한 만족으로까지 긍정적 영향을 미침을 밝힘으로써 향후 가족 자원봉사활동 확대와 관련한 연구들에 단초를 제공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