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읽기 프레임의 특징 고찰

        김도남 한국국어교육학회 2013 새국어교육 Vol.0 No.9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characteristic of reading frame for reading instruction. In order to accomplish this study purpose, the following study questions are to define concept and characteristic of reading frame. A word of ‘frame’ has a variety of meaning which represents a fixed pattern of an object, a thing and an event. In this study, the frame is a psychological system that supports person’s understanding of the world. A people recognizes the object on the basis of the frame. Also the reader understands a text through the reading frame which is a set pattern of an cognitive organization for the reader’s comprehension of texts. The reader understands the meaning of books by the assistance of the reading frame. The reading frame is the reader’s psychological system that supports reader’s reading behavior and constructing of meaning from the books. In other words, the reading frame manages and controls the reading activity of reader. The reading frame does not correspond with the general frame. It’s peculiarity is originated psychological process of reader in reading activity. The characteristic of reading frame comes out by traits of it’s the components. The essential elements of reading frame that exhibits the special characters are the stagnant schema, the acquired reading skills, the categorized book informations, the fixed reading aim, the sole pursuit will for reading theme, the set pattern reading habit and attitude and so on. Those factors of reader frame are build up reading education and repeated reading activity. The while in the reading education was not concerned about the reading frame. For the future the reading education should be interested in reading frame for improving to student’s reading ability. 이 논의의 목적은 읽기 교육의 관점에서 읽기 프레임의 특징을 살피는 데 있다. 프레임이라는 말은 일정한 틀을 가진 대상을 폭넓게 지칭하는 말인데 이 논의에서는 읽기 활동의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았다. 프레임의 관점에서 보면, 사람은 자신이 가진 프레임을 통하여 대상을 인식하고 행동한다. 그런 점에서 독자도 글을 때에는 읽기 프레임에 따라 읽기 행위를 하고 의미를 구성한다. 읽기 프레임은 독자가 읽기를 학습하고, 글을 읽는 과정에서 형성된다. 읽기 프레임은 여러 가지 읽기 관련 요소들로 이루어져 있고, 이들 요소들의 특성에 따라 그 특징을 갖게 된다. 읽기 프레임의 특징을 드러내는 대표적인 구성 요소들은 정체된 배경지식, 습성화된 읽기 기능, 범주화된 도서 정보, 고착적 읽기 목적, 전일적 주제 탐구 의지, 정형화된 읽기 습관과 태도 등이다. 이들 요소들은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읽기 프레임을 이루고 있으며, 독자의 읽기 활동에 관계한다. 이 읽기 프레임에 대하여 읽기 교육에서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읽기 교육을 통하여 학생이 읽기 프레임의 존재를 알고, 형성하여 활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 KCI등재

        독자의 텍스트 이해와 지향성

        김도남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0 한국초등교육 Vol.31 No.2

        This study discusses the reader's understanding of text based on intentionality, the main conceptof phenomenology. In phenomenology, intentionality is defined as 'conscious relationship of selftowards object'. When applied to reading, it becomes the reader's conscious relationship to the text. In this sense, reading is a matter of how the consciousness of the reader's self is related to the textcontent. This discussion explains the reader's text comprehension activities based on Lee Nam In's(2004) discussion of phenomenology and hermeneutics. the reader's consciousness includes thesubject of reading, the reader's self, and the reader's content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aderand the text occurs when the reader focuses on the content of the text. The activity of thisconsciousness is divided into sensory, perception, composition, transcendence. Sensory is the activityin which the reading subject creates consciousness about each part of the text in consciousness. perception is the activity in which the reading subject creates the unified consciousness of the entiretext. Construction is the activity by which the reader finds the essence of the textual content. Transcendence is an activity of newly generating consciousness content composed by the readingsubject. In the process of consciousness activity, the reading subject parallels the consciousness ofthe text with the consciousness of the reader's self. The consciousness of the text is then used as amirror to create self-consciousness. This sequence of consciousness changes the reader's self byhaving a new content. In this process of text understanding, Intentional actions such as the pursuitof self-transcendence, focusing on conscious relationships, and having a phenomenological attitudeare achieved. Through these Intentional actions, the reader can change the consciousness content ofthe self. Intentionality in reading allows readers' understanding of text as an activity of generatingself-consciousness. 이 연구는 독자의 텍스트 이해를 현상학의 주요 개념인 지향성을 바탕으로 논의하였다. 현상학에서지향성은 ‘대상을 향한 자아의 의식적 관계’로 정의된다. 이를 읽기에 적용하면 ‘텍스트를 향한 독자자아의 의식적 관계’가 된다. 이에서 볼 때, 읽기는 독자자아의 의식이 어떻게 텍스트 내용과 관계를 맺는가의 문제이다. 이 논의는 이남인(2004)의 현상학과 해석학에 대한 논의를 토대로 읽기 독자의 텍스트 이해 활동을 설명한다. 독자의 의식은 읽기주체, 독자자아, 독자의 의식내용의 요소를 포함한다. 독자자아와 텍스트의 의식적 관계 맺음은 읽기주체가 텍스트 내용에 의식적 초점을 맞추면서 일어난다. 이 의식 활동에는 감각, 지각, 구성, 초월이 있다. 감각은 읽기주체가 의식 속에 텍스트의 각 부분에대한 의식내용을 생성하는 활동이고, 지각은 읽기주체가 텍스트 전체의 내용에 대한 통일된 의식내용을 생성하는 활동이다. 구성은 읽기주체가 텍스트 내용의 본질을 찾아내는 활동이고, 초월은 읽기주체가 자아의 의식내용을 새롭게 생성하는 활동이다. 읽기주체는 의식 활동 과정에서 텍스트의 의식내용과 독자자아의 의식내용을 병립시킨다. 그런 후, 텍스트의 의식내용을 거울로 삼아 자아 의식내용을생성한다. 이 일련의 의식작용으로 독자자아는 새로운 의식내용을 가지게 됨으로써 변화한다. 이러한텍스트 이해 과정에서 자아의 초월 추구, 의식적 관계의 초점화, 현상학적 태도 갖기와 같은 지향 작용이 이루어진다. 이들 지향 작용을 통하여 독자는 자아의 의식내용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읽기에서의 지향성은 독자의 텍스트 이해를 독자자아의 의식내용 생성 활동으로 보게 한다. 이 논의는 읽기의 지향성을 검토해 보았지만 본격적이기보다는 실험적인 수준에 머물고 있다.

      • KCI등재

        읽기 상호텍스트성의 기제와 교육

        김도남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09 한국초등국어교육 Vol.40 No.-

        읽기 교육은 다양한 관점에서의 접근이 필요하다. 상호텍스트성을 강조한 접근도 하나의 접근 방식이 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독자가 구성하는 텍스트의 상호텍스트성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독자가 구성하는 텍스트에 작용하는 상호텍스트성의 기제를 구체화하여 보고, 이들 기제들을 중심으로 한 읽기 교육의 방향을 살펴보았다. 독자가 독서 과정에서 내재 텍스트를 구성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상호텍스트성의 기제는 속성에 따라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독자가 내재 텍스트를 구성할 때 외부에 드러나 보이는 외현 기제, 독자가 읽는 외재 텍스트와 내재 텍스트를 매개하는 매개 기제, 외부에 드러나 보이지 않고 내부에서 작용하는 내포 기제가 있다. 독자의 상호텍스트적 내재 텍스트 구성은 이들 기제의 상보작용으로 이루어진다. 독자는 내재 텍스트를 구성할 때 이들 기제들을 활용한다. 읽기 교육에서는 내재 텍스트의 상호텍스트적 구성을 강조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상호텍스트적 내재 텍스트 구성 특성과 구성의 기제를 학생들에게 이해시키고, 기제들을 익혀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 접근 관점의 특성을 이해하고, 기제를 익히게 되면 학생들은 상호텍스트성이 강화된 내재 텍스트 구성을 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읽기 교육에서는 상호텍스트성 기제의 학습 지도 방법을 구체화하고, 다양한 상호텍스트성의 기제를 탐구하여 학생들에게 제시할 필요가 있다. The reading instruction approaches are several ways. The reading instruction based on intertextuality is one of these ways. In this paper, I study the intertextuality of reader's inner text which it is constructed idea in reader's mind during read the multiple texts. There are various mechanisms of intertextuality that was using by reader in constructing inner text. I classify the mechanisms as three categories by it's attribute. The first category is the exposed mechanism which is checked on the analyzation of text. It is included reception, modification, generation. The second category is the connoted mechanism which is checked on the progress of inner text construction. It is included combination, organization, sublimation. The third category is the mediation mechanism which is checked on the between exterior texts and inner text. It is included selection, movement, union. The reader uses these mechanisms for the constructing inner text reciprocally. The reading instruction help the students to understand trait of reading intertextuality, and to get mechanisms of intertextuality for inner text construction. If students would master how to intertextuality mechanisms, they produce the inner text that is included intertextuality. The reading study has to several approaches for using intertextuality mechanisms and for searching intertextuality mechanisms of reader.

      • KCI등재

        독자 현존재의 텍스트 이해 특성 고찰

        김도남 한국국어교육학회 2021 새국어교육 Vol.- No.126

        Purpose: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reader’s text understanding based on the discussion of Heidegger’s Dasein. Methods:Heidegger discussed the relationship between ‘Existence(존재자)’, ‘Being(존재)’ and ‘Dasein(현존재)’. The Existence is an object that surrounds a person. The Being is the essence of the object. And the Dasein is a person who knows the essence of an existence. Thus, the Being is shared by the Existence and the Dasein. This means that if a person knows the essence of the Existence, he will know himself. The reader’s understanding of the text is similar to Dasein sharing the Being with the Existence. Results:The text is the Existence, the meaning of the text is the Being, and the reader is the same as the Dasein. That is, understanding the text and getting the reader to know themselves are done together. The reader’s understanding of text is the understanding of his Being. The reader’s understanding of the text is to share the meaning of the text and to get to know themselves. There are three characteristics of this reading. The first is the shared attribute. This is the characteristic that the essential meaning of the text belongs to the reader and the text together. Second is transcendence. This transcendence is to improve one’s consciousness. The third is self-fulfillment. Self-fulfillment is that the reader achieves the transcendence of consciousness on his own. Conclusion:The reader’s understanding of text is self- understanding. In the future, more research on the self-understanding of the reader is needed. 목적:이 연구는 하이데거의 현존재 논의를 토대로 독자의 텍스트 이해를 탐구한다. 방법:하이데거는 <존재와 시간>에서 존재자, 존재, 현존재의 관계를 논의한다. 존재자는 사람을 둘러싸고 있는 대상이고, 존재는 존재자의 본질 속성이다. 현존재는 존재자의 존재를 밝혀 아는 사람이다. 이때 현존재는 존재자와 존재를 공속한다. 이는 현존재가 존재자의 존재를 밝혀 아는 것은 자기 존재를 드러내 아는 것임의 함의한다. 이는 현존재가 존재자의 존재를 밝혀 안다면 자신을 알게 된다는 뜻이다. 독자의 텍스트 읽기는 현존재가 존재자와 존재를 공속하는 것과 유사하다. 결과:텍스트는 존재자고, 텍스트의 본질 의미는 존재이며, 독자는 현존재이다. 즉, 독자가 텍스트를 이해하고 자신을 아는 것은 함께 이루어진다. 텍스트에 대한 독자의 이해는 자기 자신에 대한 이해이다. 독자의 텍스트 이해는 텍스트와 본질 의미를 공속하는 것이며 자기 이해를 하는 일이다. 이런 읽기는 독자 현존재가 텍스트의 본질 의미를 텍스트와 공유하는 공속성, 텍스트 이해로 자기의 의식을 향상시키는 초월성, 의식의 향상은 스스로 성취하는 자득성을 특성으로 한다. 결론:독자의 텍스트 이해는 자기 이해이다. 앞으로 독자의 자기 이해를 위한 읽기 연구가 더 필요하다.

      • KCI등재

        텍스트 이해의 전체성과 동일성 비판- 레비나스의 타자 개념을 토대로 -

        김도남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18 한국초등국어교육 Vol.65 No.-

        This discussion is to criticize the oriented of totality and sameness of text understanding from the viewpoint of Levinas’ other philosophy. And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infinity orientation. The totality orientation of text understanding presupposes that the text contains an objective main idea. This objective main idea is found by text experts using rational thinking and scientific methods. The reader seeks to identify this objective main idea in the text. So all readers should share the objective main idea of the text. On the other hand, the oriented of sameness of text understanding seems to construct meaning by using background knowledge. The meaning that the reader composes is similarly repeated between texts as a function of background knowledge. So people think that it is necessary for the reader to construct individual subjective meanings. There is no consideration of the others in the totality orientation and sameness orientation of these text understanding. These oriented readers can not communicate with the text-other. The reader-self can aim for infinity when communicating with the text-other. This is because the text other implies infinite attributes. The reader-self can internalize the content of the other’s consciousness in the process of communicating with the text-other’s and change as a result. To this end, the reader should invite a text-other in his mind to exchange communication contents. This allows the reader to change the self and achieve the essential expectation of reading. It is necessary to specify the method so that the reader’s understanding of the text can be directed toward this infinity. 이 논의는 레비나스의 타자 철학 관점에서 독자의 텍스트 이해에 대한 전체성 지향과 동일성 지향을 비판하고, 무한성 지향의 가능성을 탐구하기 위한 것이다. 텍스트 이해의 전체성 지향은 텍스트에는 객관적 주제가 들어있다고 전제한다. 이 객관적 주제는 전문 가가 이성적 사고와 과학적인 방법을 활용하여 찾아낸다. 독자는 텍스트에서 이 객관적 주제를 확인하려고 한다. 그리고 독자는 텍스트의 객관적 주제를 다른 독자와 공유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한편 텍스트 이해의 동일성 지향은 독자는 배경지식을 활용하여 의미를 구성한다고 본다. 독자가 구성하는 의미는 배경지식의 작용으로 텍스트 간에 유사하게 반복된다. 그래서 독자는 개별적으로 주관적 의미를 구성해야 한다고 본다. 이들 텍스트 이해의 전체성 지향과 동일성 지향은 타자에 대한 고려가 없다. 이들 지향에서는 독자 자아가 텍스트 타자와 소통하지 않는다. 독자 자아는 텍스트 타자와 소통을 할때 무한성을 지향할 수 있다. 텍스트 타자가 무한적 속성을 함축하고 있기 때문이다. 독자 자아는 텍스트 타자와 소통하는 과정에서 타자의 의식내용을 내면화하고, 그 결과 로써 변화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독자는 마음속에 텍스트 타자를 초대하여 의식내용을 교환하는 소통 활동을 해야 한다. 이로써 독자는 자아를 변화시켜 읽기에 대한 본질적 기대를 성취하게 된다. 독자의 텍스트 이해가 이 무한성을 지향할 수 있도록 그 접근 방법을 구체화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독자의 중용적 자아실현을 위한 관념구성 교육 방향 탐색

        김도남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08 한국초등국어교육 Vol.36 No.-

        This essay is to explore a reading instruction direction based on epistemology of the golden mean of Confucianism. The Confucianism had a article which was discussed the golden mean. It is <중용(中庸)>(The Doctrine of the Mean). In this study, I depend on conception of the golden mean of <중용>. I interpret the golden mean of <중용> as self-realization of the subject. In viewpoint of the golden mean, the reading is a way to realize the self. The reader subject gains the good reason(이치:理致) of the whole of creation from books. He establishes of the self from this good reason. And he realize the self through using the good reason to harmonize between the self and the thing. Therefore reader subject should self-realize by means of reading books. The reading instruction should help student to realize the self. It is possible to teach reading based on epistemology of the golden mean. In reading instruction expropriate a principle of self-establishment and self-realization. Because of the goal of reader's book reading contributes to prosperity of all things to do self-perfection. If the reading instruction accepted the idea of the golden mean, then it achieves essential purpose to do reader's self-realization. 이 논의에서는 중용의 인식론을 바탕으로 읽기교육의 방향을 탐색하여 보았다. 중용은 유학의 핵심 개념의 하나로 사물의 본질을 깨쳐 만물의 번영을 도움으로써 자아실현을 이루어내려는 의식이다. 이 중용을 읽기주체의 자아실현의 원리로 보고, 이에 대한 읽기교육 접근의 가능성을 논의하였다. 중용적 인식론에서 보면, 읽기는 읽기주체의 자아실현을 이룰 수 있게 하는 수단이 된다. 따라서 중용의 인식론을 읽기교육에서 수용하게 되면, 읽기교육은 읽기주체의 자아실현을 돕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중용적 인식론은 표면적으로 보면, 읽기주체의 텍스트 이해 행위와는 관련짓기 어렵다. 그러나 중용적 인식론의 이면을 따져보면, 읽기주체의 텍스트 이해 행위와 관련이 깊다. 중용은 주체의 자기완성 과정을 만물의 이치(天命) 깨침을 바탕으로 만물이 본성대로 번영하는 것을 돕는 과정으로 본다. 읽기주체가 텍스트를 이해하는 과정은 만물의 이치를 깨침을 바탕으로 만물이 본성대로 번영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는 의지를 갖추는 과정이다. 읽기주체는 이를 통하여 자아실현을 할 수 있다. 읽기교육은 읽기주체가 자아실현을 할 수 있도록 지도할 필요가 있다. 이는 중용적 인식론을 활용함으로써 가능하다. 중용의 자기완성[成己]과 만물번영[成物]의 원리를 텍스트 읽기의 원리로 수용하는 것이다. 그래서 읽기주체가 텍스트를 읽어야 하는 궁극적인 목적을 자아확립을 통한 자아실현으로 두고, 이를 위한 읽기교육을 실행하는 것이다. 읽기교육에서 중용적 인식론을 수용하게 되면 읽기주체의 텍스트 이해의 지평을 새롭게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독자의 의미 표상 방법 고찰

        김도남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04 한국초등국어교육 Vol.25 No.-

        독자의 의미 표상은 텍스트의 기호를 해석하여 마음속에 의미를 구성하는 것이다. 의미 표상은 텍스트 이해의 가장 낮은 단계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깊이 있는 이해의 기반이 된다. 따라서 독자가 텍스트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의미 표상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어야 한다. 독자가 표상한 의미는 이미지나 스키마, 명제의 형태를 띤다. 독자의 의미 표상과정에는 독자의 요인과 맥락 요인. 사회문화적인 요인이 함께 작용한다. 그리고 표상된 의미의 기능은 텍스트의 내용과 독자의 인지를 연결하고, 독자가 구성한 의미를 독자의 마음속에 고정시킨다. 그래서 의미를 독자가 소유할 수 있게 해 준다. 독자의 의미 표상을 설명하는 이론에는 심상 표상 이론, 스키마 표상 이론, 명제표상 이론이 있다 심상 표상 이론은 독자의 의미 표상이 이미지로 이루어진다고 설명하는 방식으로 정적 표상과 동적 표상이 있다 스키마 표상 이론은 의미 표상이형식과 내용 스키마로 이루어진다고 설명하는 방식으로 정교화 표상과 확장적 표상이 있다. 그리고 명제 표상 이론은 의미 표상이 독자가 정의한 명제로 이루어진다고 설명하는 방식으로 점적 표상, 선적 표상, 면적 표상, 입체적 표상이 있다. 읽기 교육을 위해서는 독자의 의미 표상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를 통하여 학생들이 효과적으로 의미 표상을 도울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thods of representation of meaning from text. Meaning representation is basic skill to reader for understanding the text. If the reader don't represent meaning of text, the reader don't understand a text. Because of, the representation of meaning is important to reader to understand text. There are several factor which are effected on the meaning representation. These are the reader's cognitive factor, context factor and social-culture factor. The theory of meaning representation are three model: the mental model, schema theory and propositional theory. And the meaning representation be have four functions: connect reader with text, fix meaning in reader's memory, take possession of meaning to reader, and be able to deep understanding text. There are methods of meaning representation according to representation theory. The mental model be have two methods: static representation and dynamic representation. The scheme theory be have two methods: subdivisional representation and expansion representation. The proposition theory be have four methods: dot representation, liner representation, square representation and solid representation. For the reading instruction have to investigate the reader's meaning representation method. The diversified methods of meaning representation should be help the student to understanding of text.

      • KCI등재

        유식학에 기초한 읽기교육의 방향 탐색

        김도남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07 한국초등국어교육 Vol.35 No.-

        이 논문은 유식학의 인식 논리를 활용하여 읽기교육의 방향을 탐색하였다. 유식학은 대표적인 불교철학의 한 갈래이다. 유식학은 외부 대상의 존재를 인정하지 않고 인식되는 모든 것은 인식주체의 마음 작용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본다. 인식주관이 인식객관을 만들어 내었기 때문에 모든 인식내용은 마음의 문제라는 것이다. 읽기도 독자의 마음 작용으로 설명할 수 있다. 독자가 책을 읽고 관념을 구성하는 모든 활동은 의식작용으로 이루어진다. 독자가 구성한 관념은 독자의 마음을 떠나서는 존재할 수 없고, 독자의 마음 작용을 통하여 존재가 인식된다. 그것은 독자가 마음속(아뢰야식)에 있는 인식원인(종자)을 바탕으로 관념을 구성하기 때문이다. 독자는 인식원인이 없으면 글을 읽어도 관념을 구성할 수 없다. 낱말이 독자에게 의미를 건네주는 것이 아니라 독자가 낱말을 보고 의미를 마음속에서 끌어오는 것이다. 독자가 마음속에 구성하는 모든 관념은 독자의 마음작용에 의하여 구성된 것이다. 읽기교육에서는 유식학의 논리를 활용하여 학생을 지도할 필요가 있다. 유식학의 논리를 활용한 읽기교육은 학생들이 자기중심적으로 관념을 구성하고 그 관념에 집착하는 것을 막아, 타당한 관념구성과 의식의 성장을 이끌어 줄 수 있다. 유식학의 인식 논리는 마음이 구성한 관념이 보편성을 띠면서 다른 관념과 일체성을 이룰 수 있도록 하기 때문이다. 유식학의 논리를 활용한 읽기교육의 논의가 일천하지만 앞으로 깊이 있는 탐구를 하여 읽기교육의 방법으로 승화시킬 필요가 있다. The vijnana-veda is a sort of mahayana buddhism philosophy. It has a logic system of thought. It account for cognition of person. In viewpoint of the vijnana-veda, our mind creates awareness using a seed, which is in deep heart(阿羅耶識). The idea of reader too creates the seed. If the reader has not a seed of creating idea, then he can't a idea. The reading education needs to accepted the logic of vijnana-veda about cognition. Our reading instruction is inclined to the theory of cognition. So, The contents of reading instruction are reading skills and reading strategies. Those could be enlarged the reading ability of student. But those could not be increased the wisdom of reader through reading. The reader would increase wisdom to carry out real idea construction. The reading instruction must effort to extending the wisdom of reader. The vijnana-veda offer the method of making read idea to reading education. It's logic is explain the reader's construction real idea. we must accept the vijnana-veda logics as reading principles. So, the reading instruction supply to student a new reading principl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