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폐경여성에서 골밀도와 Osteoprotegerin 유전자 A163G, T950C 다형성 연구

        권동진 ( Dong Jin Kwon ),유영옥 ( Young Oak You ),김대훈 ( Dai Hoon Kim ),김재훈 ( Jae Hoon Kim ),박동춘 ( Dong Choon Park ),이희중 ( Hee Joong Lee ),김은중 ( Eun Jung Kim ),김진홍 ( Jin Hong Kim ) 대한폐경학회 2003 대한폐경학회지 Vol.9 No.3

        골밀도가 감소하는 질환인 골다공증의 발생에는 여러 가지 다양한 요인들이 관여하는 것으로 지금까지 알려져 왔다. 특히 폐경기 여성에서 골다공증의 발생에는 파골세포에 의한골흡수가 증가하여 발생하는데 Osteoprotegerin(OPG) 유전자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에 저자들은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성빈센트병원 산부인과 폐경기 크리닉을 방문한 229명의 자연 폐경여성을 대상으로 요추, 대퇴골경부, Ward 삼각주, 되퇴돌기의 골밀도를 측정하여 정상군, 골감소증군과 골다공증군으로 분류하고 골다공증 발생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지 OPG 유전자의 A^(163)G, T^(950)C 다형성을 PCR-RELP 방법을 이용하여 관찰하고, 이러한 유전자형의 다형성이 골밀도와 어떤 연관성이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도 하였다. 저자들의 연구결과에서 대상 폐경기 여성의 A^(163)G, T^(950)C 유전자형 분포 양상은 AA 54.6%, AG 37.1%, GG 8.3%; TT 17.5%, TC 44.1%, CC 38.4%를 보였고, 전체 폐경여성에서 A^(163)G은 요추 부위에서 골밀도와 유의한 상관 관계를 보였다. A163G 유전자형의 다형성은 요추 부위에서는 정상군과 골다공증군, 대퇴골경부와 Ward 삼각주에서는 정상군에서 골밀도와 유의한 상관 관계를 보였다. T^(950)C 유전자형의 다형성은 大퇴골경부에서는 정상군과 골감소증군, Ward 삼각주에서 정상군에서만 골밀도와 유의한 상관 관계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한국인 폐경여성에서 OPG 유전자의 다형성은 골밀도 변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Objective: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Osteoprotegerin gene polymorphisms, and bone mineral density(BMD). Methods: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s at the Osteoprotegerin A163G(promoter), T950C(promoter) gene site, and BMD at the lumbar spine and proximal femur were analyzed in 229 postmenopausal Korean women (81 normal, I I I osteopenic and 37 osteoporotic patients). BMDs were measured by DEXA. Results: The distribution of A163G and T950V polymorphisms in all postmenopausal women was as follows: AA 54.6%, AG 37.1%, GG 8.3%;TT 17.5%, TC 44.1%, CC 38.4%, respectively. After adjusting for potential confounding factors such as age, BMI and menopause duration, A163G polymorphism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BMD at the lumbar spine in all postmenopausal women. A163G polymorphism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BMD at the lumbar spine in normal and osteoporotic patients, and BMD at the femur neck and ward`s triangle in normal patients. T950C polymophism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BMD at the femur neck in normal and osteopenic patients, and BMD at the ward`s triangle in normal patients.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osteoprotegerin gene polymorphisms may be an important contributor to the variation of BMD among postmenopausal Korean women.

      • SCOPUSKCI등재

        천연고무의 마찰특성에 미치는 염소화의 영향

        나창운(Chang Woon Nah),김대훈(Dai Hoon Kim),김동진(Dong Jin Kim),김완두(Wan Doo Kim),장영욱(Young Wook Chang) 한국공업화학회 2002 공업화학 Vol.13 No.4

        염소화 처리에 따른 천연고무 쉬트(sheet)의 마찰특성을 새로운 형태의 마찰시험기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아울러 염소화에 따른 표면의 분자구조, 표면 모폴로지 및 경도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천연고무 쉬트의 표면은 염소화 반응으로 분자구조의 변화가 확인되었고, 장시간 처리조건에서는 고리화 반응도 관찰되었다. 염소화 처리시간에 따라 마찰계수는 큰 폭으로 감소하였고, 염소화 초기단계에서 보다 급격한 감소를 보였다. 염소화에 따른 마찰계수 감소의 주요 원인은 경도와 표면 거칠기로 설명되었다. 경도의 증가는 접촉면적과 고무의 변형을 감소시킴으로써 각각 접착마찰과 히스테리시스 마찰을 감소시키고, 거칠기의 증가는 접촉면적을 감소시켜 접착마찰을 감소시킨 것으로 설명되었다. Using a new friction tester, the frictional property of chlorinated-natural rubber sheet was investigated as a function of the chlorination time. The changes in molecular structure, morphology, and hardness on the surface of the rubber sheet were also investigated with the chlorination time. It was confirmed that the molecular structure on the surface of natural rubber sheet has changed due to the chlorination reaction, and with a longer chlorination treatments a cyclization reaction was observed. The frictional coefficient decreased significantly with increasing the chlorination time, and the decrease rate was the highest at the initial stage of the chlorination reaction. Such rapid drop in the frictional coefficient--upon chlorination--can explained by two main parameters: surface roughness and hardness. The increase in the hardness caused a reduction in both the contact area and deformation of rubber, thereby decreasing the adhesive and hysteresis frictions. The increase in the surface roughness reduced the contact area, which in turn decreased the adhesive friction.

      • KCI등재

        사람 난포의 성숙 정도와 Fas, Fas-ligand, Bcl-2, Bad의 발현

        권동진 ( Dong Jin Kwon ),길기철 ( Ki Cheol Kil ),조현희 ( Hyun Hee Jo ),김미란 ( Mi Ran Kim ),임용택 ( Yong Taik Lim ),김장흡 ( Jang Heub Kim ),유영옥 ( You Young Oak ),김대훈 ( Dai Hoon Kim ),이진우 ( Jin Woo Lee ),김진홍 ( Jin H 대한산부인과학회 2003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6 No.1

        사람 난소내 난포의 수적 감소와 배란 후 황체의 퇴축 과정은 apoptosis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생리적 과정에 어떤 인자들이 영향을 주는지는 아직 밝혀져 있지 않다. 따라서 저자들은 난소내 apoptosis와 이에 영향을 끼치는 인자들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Fas, Fas-ligand, Bcl-2 및 Bad 항체를 이용한 면역조직화학적 방법으로 사람 난소의 원시 난포, 일차 난포, 우성 난포에서의 발현을 관찰하였다. Fas의 발현은 Human ovarian follicles reduce rapidly in number throughout fetal and adult life. Throughout the menstrual cycles, primordial follicles grow into mature follicles and then ovulate to form corpus luteum. Apoptosis has been implicated in several events tha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