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OGC 기반의 센서 네트워크 서비스 분석 연구

        김남훈,함종완,정회경,Kim, Nam-Hoon,Ham, Jong-Wan,Jung, Hoe-Kyung 한국정보통신학회 2010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4 No.3

        USN(Ubiquitous Sensor Network)은 u-city, u-health 등과 같은 영역에서의 다양한 서비스를 통해 유비쿼터스 사회에서 u-life 실현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 인프라이다. 따라서 u-Life의 핵심 기술인 USN 기술에 대한 국내 표준화 확립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현재 USN에 대한 표준 현황은 센서 노드 구현을 위한 기술과 센서 노드들 사이의 효율 적인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 및 기존의 망과 연동을 위한 기술 표준 및 연구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센서 네트워크와 USN 응용을 위한 이기종 센서 네트워크의 통합관리, 센싱 데이터 관리 및 USN 데이터베이스 구조 정의 등과 같은 응용 및 미들웨어 부분에서의 표준 및 연구는 아직 까지 미약한 수준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국내 센서 네트워크 서비스의 표준 개발 및 센서 응용 및 미들웨어 부분에서의 표준화된 플랫폼 기술을 위해 OGC(Open Geospatial Consortium)의 SWE(Sensor Web Enablement)를 구성하는 관련 표준 분석과, 국내 TTA(Telecommunications Technology Association)관련 표준과 상호 연관성을 통하여 OGC 표준의 국내 도입 가능성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USN(Ubiquitous Sensor Network) is a core infrastructure that u-life use to enable the realization in the ubiquitous society through various services of area such as u-city, u-Health. Therefore, we need a research for domestic standards to establish USN technique. Currently, status of USN standards is most standard and research that it is a technology for sensor node implementation and a protocol for energy-efficient communication and interlock with existing network. But, Standard and research for sensor network and integration management of heterogeneous sensor networks for USN application and sensing data management and USN database structure definition such as application and middleware is weak level. In this paper, we researched for standard development of domestic a sensor network and the relevant standard analysis to configure SWE(Sensor Web Enablement) of OGC(Open Geospatial Consortium) for standarded plattform technology. Also we researched that it's a connection between domestic ITA(Telecommunications Technology Association) standards and SWE Standard.

      • KCI등재
      • KCI등재

        글로벌 패키지디자인의 유니버설디자인 접목성 연구

        김남훈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2010 일러스트레이션 포럼 Vol.11 No.23

        21세기의 상품경쟁력은 기술이 평준화되면서 품질보다는 디자인으로 승부하는 시대로 접어들었으며, 특히 상품의 브랜드이미지를 차별화하는 효과적인 수단으로서 기술력과 독특한 문화가 결합된 감성디자인 개념이 도입되고 있다. 이처럼 현대사회에 있어서 디자인의 개념은 기업의 가치창출을 위한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고 있으며, 이러한 디자인 패러다임 속에서 특히 패키지디자인은 상품의 브랜드 가치를 제고시키기 위한 강력한 수단으로 새롭게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오늘날의 패키지디자인은 외관의 차별화에만 그치지 않고 현대 소비자의 독특한 문화적 취향이 접목된 감성적인 디자인을 추구하여 글로벌시장에서 소비자들에게 상품의 명확한 가치를 대변해 줄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유니버설디자인은 특정한 소비자를 위한 일반적인 디자인 개념이 아닌 가능한 모든 소비자의 욕구를 만족시켜 편리하게 사용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하는 디자인 개념이라고 볼 때, 특히 소비자의 다양한 감성과 상품의 사용성이 중요시 되고 있는 글로벌 시장에서 패키지디자인은 유니버설디자인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유니버설디자인 측면이 고려된 패키지디자인의 유형별 사례분석을 통하여,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도출해 보고 향후 글로벌 시장에서의 패키지디자인이 새롭게 나아갈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하는데 있다. Competitiveness of products in the twenty-first century depends on design rather than quality as technologies are standardized. In particular, emotional design for which technologies are distinctive cultures are combined has been introduced as an effective means to differentiate brand images of products. In the aspect, package design should pursue emotional design for which distinctive cultural tastes are added to speak for definite values of products to customers. Therefore, as universal design is a concept of design that aims to satisfy needs of all the customers as possible as can be, not a general design concept for special customers, package design in global markets in which usability of customers is recognized as important should be universal. This study analyses examples of package designs which consider universal design, aiming at figuring out problems and solutions of package design at future global markets.

      • KCI등재

        유니버설 패키지디자인의 가이드라인 고찰

        김남훈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2011 일러스트레이션 포럼 Vol.12 No.26

        현대사회는 소비자들의 라이프스타일 변화와 함께 상품의 패키지디자인 역시 소비자 중심으로 변화되고 있는데, 특히 상품의 패키지디자인 개발에 있어서 사용자 중심 디자인을 전제로 한 유니버설디자인 개념의 도입은 상품의 고부가가치의 핵심요소가 됨으로써 그 중요성이 날로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는 글로벌 기업들은 상품 개발 시 패키지디자인을 가장 큰 핵심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는데, 이를 위한 가장 중요한 내용은 사용자 중심의‘고객 만족’이며 실제 이를 위한 많은 투자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처럼 사용자 중심 디자인은 현대사회에서 디자인의 새로운 가치관을 나타내 주고 있는데, 특히 상품 패키지디자인 개발 시 사용자 중심 디자인 개념이 전제된 유니버설디자인의 도입은 글로벌 시대를 구현하는 혁신적인 매개체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사용자 중심 디자인을 전제로 한 유니버설 디자인의 개념은 실제 상품개발 시 패키지디자인에 적용할 때에 애매한 부분들이 많다. 그 이유는 선행연구 등이 부족하고 실제 디자인 적용이 초기단계이기 때문인데, 사용자 중심 디자인 측면에서 접근성이 고려된 패키지디자인 프로세스 및 가이드라인 개발, 평가기준 등이 시급히 연구되어져야 할 문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패키지디자인 개발에 있어서 사용자 중심 디자인을 기본적 전제로 한 유니버설디자인 관점에서의 평가기준과 개발프로세스상의 가이드라인의 범위를 연구하여 제시하였다. In current society, package design is focusing on changes into customer' centered design along with changes in life-style of customers. In particular, as universal package design based on user-centered design was introduced a central element of high-added value of products, its importance is increasing. In this respect, global enterprise is using package design as the most significant means of global business, for which customer satisfaction is the most important and much investment and efforts are provided. Such user-centered design shows a new sense of value in design of current society. In particular, in developing package design of products, universal design based on user-centered design has been used as an innovative medium to realize global society. However, the concept of the user-centered universal design has much ambiguity when it is applied for real package design. For its application for real package design is in the beginning stage and little previous research has been made. Therefore, it is imperative to study process, guidelines and evaluation standards for package design in consideration of accessibility to user-centered design. Therefore, evaluation standards and guidelines in developmental process of user-centered universal design in developing package design has studied and suggested through this study.

      • SCOPUSKCI등재

        X 선 회절법(回折法)에 의한 Tension Wood 의 결정구조 해석

        김남훈,이원용 한국목재공학회 1993 목재공학 Vol.21 No.4

        Crystal structure of tension, opposite and lateral wood of Platanus orientalis L. were analysed in some aspects of crystallinity index, crystallite size, d-spacing of (200) and (004), and integrated intensity ratios with X-ray diffraction method. Crystallinity index and crystallite width in tension wood appeared somewhat larger than opposite or lateral wood. However, d-spacing and integrated intensity ratios were nearly identical ia~respective of tension, opposite, and lateral wood.

      • KCI등재

        김치 수출 활성화를 위한 패키지디자인 전략연구

        김남훈,김병욱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05 한국디자인포럼 Vol.11 No.-

        김치에 대한 Codex(국제식품규격위원회) 국제식품규격이 제정되면서 김치가 한국의 종주국임을 확인 받은 바 있으며, 김치는 한국의 고유의 전통식품으로서, 대외적으로 국가이미지를 형성하는데 있어서 가장 큰 해외 인지도를 가지고 있는 식품이다. 이처럼 강력한 글로벌 마케팅의 강점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산 김치는 최근들어 일본(기무치) 및 저가의 중국산 한국김치의 영향으로 인해 글로벌 마켓에서 이렇다 할 차별화 된 경쟁력을 갖추지 못하고 제자리 걸음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비록 김치에 대한 Codex(국제식품규격위원회)의 국제식품규격이 한국산 김치를 바탕으로 이루어 진 점은 긍정적인 효과로 볼 수 있지만, 지금까지의 한국산 김치의 대외 수출 전략이 대부분 `발효식품인 김치의 효능` 및 `한국 고유의 전통적인 맛`을 바탕으로 하는 홍보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오히려 저가의 전략으로 시장을 공략하는 중국산 한국김치와 식가공품 유통중심의 일본산 기무치에게 많은 시장을 제공해 주는 결과를 가져오게 된 것이다. 따라서, 김치의 종주국으로서의 한국김치의 위상을 살리고, 수출 효자상품으로의 개발을 위한 새로운 전략의 개발이 시급히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새로운 한국김치 브랜드전략의 방안으로 패키지 디자인이 가지고 있는 수출용 식가공품에서의 역할을 새롭게 정의하여, 그에 따른 패키지디자인의 차별화된 전략을 도출함으로써, 한국산 김치의 수출활성화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As the CODEX standard for the Kimchi was presented, Korea was officially approved as suzerain state. As indigenous traditional food, Kimchi is the most famous Goods representing Korea. In spite of having this gloval maketing strenth, Korean Kimchi has been struggling in the gloval market. For korean Kimchi has no competitive edges with japanese `gimoochi` and chinese kimchi. Because korean Kimchi export strategy has been focused mainly on promoting the effect of Kimchi and the korean indigenous traditional taste, the korean Kimchi got the CODEX standard but as the result of the promotin, Chinese Kimchi with low price strategy and distribution cetered japanese `gimoochi` made their own gloval market share.In order to establish the phase of Kimchi as suzerain state goods and to develop Kimchi as representitive korean export goods, new developing strategy is needed urgently. This study aim to make a propositon for the Activating export of Korean Kimchi by newely defining the role of the packaging design in the food industry for export as new brand strategy for Korean Kimchi.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