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I기반 스마트 수질환경관리 서비스 플랫폼 개발

        김남호,Kim, NamHo 한국스마트미디어학회 2022 스마트미디어저널 Vol.11 No.9

        Recently, the frequency and range of algae occurrence in major rivers and lakes are increasing due to the increase in water temperature due to climate change, the inflow of excessive nutrients, and changes in the river environment. Abnormal algae include green algae and red algae. Green algae is a phenomenon in which blue-green algae such as chlorophyll (Chl-a) in the water grow excessively and the color of the water changes to dark green. In this study, a 3D virtual world of digital twin was built to monitor and control water quality information measured in ecological rivers and lakes in the living environment in real time from a remote location, and a sensor measuring device for water quality information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IOT) sensor. We propose to build a smart water environment service platform that can provide algae warning and water quality forecasting by predicting the causes and spread patterns of water pollution such as algae based on AI machine learning-based collected data analysis.

      • KCI우수등재

        능력주의와 새로운 귀족주의 - 사건-인과 자유주의자로서의 니체 -

        김남호(Namho Kim) 한국철학회 2023 철학 Vol.- No.155

        본 논문은 니체의 자유의지 개념과 실천 교설 사이의 비일관성과 관련하여, 기존의 ‘양립론’과 ‘비양립론’의 주요 논증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비양립론에 의하면, 니체는 자유의지를 인과적으로 무력한 ‘부대현상’으로 이해하기에, 그의 실천 교설은 보편성을 확보하는 데에 실패했다고 본다. 반면, 양립론에 의하면, 니체는 새로운 형태의 자유 개념을 제시하였기 때문에 실천 교설과의 비일관성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기존의 비양립론은 니체의 자유의지 개념이 20세기 형이상학의 논쟁보다 더 복잡한 맥락에서 탐구된 결과물이며, 따라서 더 신중한 접근을 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간과하고 있다. 반면, 기존의 양립론은 니체가 제시했다는 새로운 형태의 자유 개념이 형이상학적 논쟁의 성과에 비추어 보아 정확히 어떤 형태인지에 관해 지적하고 있지 못하다. 본 논문은 ‘욕구들의 생성과 충돌’로 보는 니체의 자유의지 개념을 ‘사건-인과 자유론(event-causation libertarianism)’으로 독해할 만한 근거가 있으며, 이러한 독해가 실천 교설과의 비일관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가장 설득력 있는 견해임을 보여주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ritically review the main reasoning of existing compatibilism and incompatibilism in relation with the non-consistency between Nietzsche’s concept of free will and practical doctrine and to present a new alternative. In accordance with incompatibilism, as Nietzsche understands free will as causally ineffective ‘appendent phenomenon’, his practical doctrine failed to secure universality. On the other hand, in accordance with compatibilism, as Nietzsche presented a new form of free concept, they argue there does not exist non-consistency with practical doctrine. However, the existing incompatibilism overlooks the fact that Nietzsche’s free will concept is a result that has been studied in much more complex context than 20th century’s metaphysics arguments, and therefore, more careful approach is needed. On the other hand, exiting compatibilism does not point out what exact form the new form of free concept, that is said to have been presented by Nietzsche, takes in view of the accomplishments of the metaphysics arguments. This paper aims to show that Nietzsche’s free will concept, which is viewed as ‘formation and collision of needs’, may be read as ‘event-causation libertarianism’ and that this reading is the most persuasive view to solve the non-consistency with practical doctrine.

      • KCI등재

        강한 결정론과 그 대안으로서의 합리주의적 양립론

        김남호(NamHo Kim) 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 인간학연구소 2017 인간연구 Vol.0 No.33

        언젠가부터 한국 청년세대는 심각한 비관주의를 앓고 있다. 심각한 취업난, 경제적 어려움, 빈부격차에 의한 사회적 차별, 부정부패, 공직자들의 도덕적 해이 등이 그 원인들로 지목되고 있다. 즉, 청년세대가 앓고 있는 비관주의는 다양한 원인들이 맞물려 빚어낸 결과물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비관주의를 극복하기 위해서 제도적인 보완이 중요하고 시급하더라도, 우리 사회가 최소한 자기 진실성(authenticity)이라는 덕목을 잃어 버려서는 안 될 것이다. 선한 삶을 살으라고 말하는 내면의 목소리와의 진지한 접촉이 권장되지 않거나 애초부터 불가능한 것으로 밝혀진다면, 더 나은 사회를 향한 열망을 꿈 꿀 수 없게 될 것이며, 이런 상황이야 말로 진정한 비극일 것이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현대 자유의지 논쟁에서 신경과학의 발전에 힘입어 목소리를 높여 가고 있는 강한 결정론을 비판적으로 평가하고, 그 대안으로써 합리주의적 양립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강한 결정론은 그 어떤 자유로운 행위의 가능성도 부정한다. 만일, 강한 결정론이 옳다면, 자기 내면과의 접촉이라는 경험은 순전히 두뇌 현상에 불과하게 되며, 테일러(C. Taylor)가 말하는 자아의 자기 결정능력은 무의식적으로 발생하는 신경 화학적 과정의 결과물에 불과하게 될 것이다. 즉, 강한 결정론이 옳다면, 자기 진실성이란 덕목은 빛 좋은 개살구에 불과하게 되고, 의지적 자유란 실현될 수 없는 허구로 전락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강한 결정론의 후험적 논변(aposteriori argument)과 선험적 논변(aporiori argument)이 비판적으로 검토되며, 그 대안으로 합리주의적 양립론(Rationalist Compatibilism)이 제시될 것이다. At some point, the younger Korean generation has become seriously pessimistic. This pessimism is due to various causes; the most commonly cited ones include severe unemployment, economic difficulties, social discrimination resulting from a huge gap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corruption, and moral laxity by public officials. Systematic supplementation is required to overcome such pessimism, and even though it appears to be an urgent situation, at least society can still fall back on the virtue of self-authenticity. If we did not have access to our inner voices telling us how to live a good life, it would be impossible change our society for the better. And this would be a true tragedy. This aim of this thesis is to critically evaluate the hard determinism that is rising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neuroscience at the debate of modern free will and to propose rational determinism as a solution. Hard determinism denies any possibility of free behavior. With hard determinism, the ability to access the inner-self becomes only a phenomenon within the brain, and the self-determination ability of the ego, as described by C. Taylor, becomes the outcome of an unconscious neurochemical process. Hence, if the concept of hard determinism is correct, the virtue of self-authenticity is deceptive, and free will is impossible to exercise. In this paper, a posteriori and a priori arguments for hard determinism are critically reviewed, and rationalistic compatibilism is proposed as a solution to it.

      • KCI등재

        하안단구에 입지한 구석기유적의 층위와 문화층의 연대 : 영남지역을 중심으로

        김남호(Namho Kim) 한국구석기학회 2020 한국구석기학보 Vol.- No.42

        In the study of the paleolithic the study of layers is the most basic work and has an important meaning. In this background, not only the analysis of paleolithic artifacts, but also the study of sedimentary layers has been continuously studied. The paradigm formed in the survey of the early Paleolithic period in Korea helped a lot in understanding the formation process of sedimentary layers. However, compared to the paleolithic sitess that have increased exponentially since then, this interpretation has not progressed any further. This article is based on recent research results on the formation period of river terrace. The period of formation of the paleolithic sites located in river terrace centered on the Yeongnam area was reviewed. A comparison with the previous research results was conducted for the river terrace and the paleosol, and proposed a new period. According to this, if river terrace was formed at the similar time, it is not necessarily the same time period. Also, the time zone of the paleosol formed on the river terrace cannot be the same. In the lower2 terraces, a similar layered structure was viewed, and it seems to have experienced a similar time period. The cause of this is that the lower2 terraces have not undergone significant deformation after formation, it is considered to be due to the continuous influence of erosion and sedimentation in the low1 and middle terraces. The periods of the cultural layer could be suggested through the absolute age value measured at the sites and the change of magnetic susceptibility, but It was hard to say that it was consistent with MIS. It is expected that the layered structure can be varied depending on the geographical and environmental variables where the sites are located. 구석기시대 연구에 있어서 층위에 대한 연구는 가장 기초적인 작업이면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구석기 유물에 대한 분석뿐만 아니라 퇴적층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한국의 초기 구석기시대의 조사에 있어서 형성된 패러다임은 퇴적층의 형성과정을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을 주었다. 하지만 이후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한 구석기시대 유적에 비해, 이러한 해석은 더 이상 진전되지 않고 있다. 이 글은 하안단구의 형성시기에 대한 최근의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영남지역을 중심으로 기존의 하안단구에 입지한 구석기유적의 형성시기를 재검토하였다. 하안단구와 고토양층에 대해 기존의 연구성과와 비교를 진행하였고, 새로운 연대폭을 제시하였다. 이에 따르면 하안단구가 비슷한 시기에 형성되었다 하더라도 꼭 동일한 시간대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라고 볼 수 있다. 또한 단구층 위에 형성된 고토양층의 시간대 역시 동일할 수 없다. 저위2면에서는 유사한 층위구조가 확인되었고 비슷한 시간대를 경험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저위1면과 중위면에서는 보다 복잡한 층위구조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원인은 저위2면은 형성 이후 커다란 변형을 겪지 않았지만, 저위1면과 중위면에서는 침식과 퇴적작용에 영향을 지속적으로 받은 것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유적에서 측정된 절대연대값과 대자율변화를 통해 볼 때 문화층의 시간대를 제시할 수 있었다. 유적에서 확인되는 층위구조는 유적이 입지한 지형적 환경변수에 따라 다양해 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