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金南賢 弘益大學校 科學技術硏究所 2000 科學技術硏究論文集 Vol.11 No.-
Shapiro and Wilk (1972) developed a test for exponentiality with origin and scale unknown. The procedure consists of comparing the generalized least squares estimate of scale with the estimate of scale given by the sample variance. However the test statistic is inconsistent ; that is, the power of the test will not approach 1 as the sample size increases. Hence we give a test based on the ratio of two asymptotically efficient estimates of scale. We also have conducted a power study to compare the test procedures, using Monte Carlo samples from a wide range of alternatives. It is found that the suggested statistics have higher power for the alternatives with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greater than or equal to 1.
정규성 검정을 위한 다변량 왜도와 첨도의 이용에 대한 고찰
김남현 한국통계학회 2004 응용통계연구 Vol.17 No.3
Malkovich & Afifi (1973) generalized the univariate skewness and kurtosis to test a hypothesis of multivariate normality by use of the union-intersection principle. However these statistics are hard to compute for high dimensions. We propose the approximate statistics to them, which are practical for a high dimensional data set. We also compare the proposed statistics to Mardia(1970)'s multivariate skewness and kurtosis by a Monte Carlo study.
이동통신 기지국을 위한 적층된 원형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 설계
김남현,노광현,강영진,Kim, Nam-Hyeon,No, Gwang-Hyeon,Gang, Yeong-Jin 대한전자공학회 2000 전자공학회논문지TC (Telecommunications) Vol.37 No.2
In this paper, a stacked circular-disk microstrip 1${\times}$4 array antenna was designed and manufactured and tested to apply in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on IMT-2000 system(up-link: 1.885 GHz∼2.025 GHz, down-link: 2.11 GHz∼2.2 GHz) base station which has dual frequency, broadband and high-gain characteristics. The experimental results are as follows : resonant frequency of 1.885 GHz and 2.178 GHz VSWR (1.064 , 1.432), return loss (-30.19 dB , -24.99 dB), band width (VSWR<2) are 402 MHz, -3dB beam width at radiation pattern are ${\alpha}$E-16.8$^{\circ}$, ${\alpha}$H-69$^{\circ}$(1.885 GHz) and ${\alpha}$E-l5.2$^{\circ}$, ${\alpha}$H-51.5$^{\circ}$(2.178 GHz), gain(13.7 dBi∼15.21 dBi).
다변량 정규성검정을 위한 근사 SHAPIRO-WILK 통계량의 일반화
김남현 한국통계학회 2004 응용통계연구 Vol.17 No.1
In this paper, we generalizes Kim and Bickel(2003)'s statistic for bivariate normality to that of multinormality, applying Fattorini(1986)'s method. Fattorini(1986) generalized Shapiro-Wilk's statistic for univariate normality to multivariate cases. The proposed statistic could be considered as an approximate statistic to Fattorini(1986)'s. It can be used even for a big sample size. Power performance of the proposed test is assessed in a Monte Carlo study.
김남현,김종우,이지우 한국산업경영학회 2003 經營硏究 Vol.18 No.2
본 연구는 조직의 유연성과 효과적인 인적자원 활용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조직시민행동이 리더-구성원 교환관계와 조직몰입과 어떤 관계를 갖고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이루어졌다. 다양한 이유로 조직에 몰입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조직몰입을 단일차원으로 파악하여 리더-구성원 교환관계 또는 조직시민행동과의 관계를 다룬 기존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조직몰입을 감정적 유형과 유지적 유형으로 구분하여 리더-구성원 교환관계와 조직시민행동과의 관계를 동시에 살펴보는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였다. 이를 검정하기 위해 필요한 자료는 한 광역시의 공무원 370명으로부터 자기응답식 설문지를 통해 수집되었으며, 공분산구조분석이 모형과 가설 감정에 활용되었다. 실증분석 결과 리더-구성원 교환관계는 감정적 몰입과는 정(+)적 관계를 갖지만 유지적 몰입과는 무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직시민행동과는 정(+)적 관계를 갖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리고 감정적 몰입은 조직시민행동과 정(+)적 관계를 갖지만 유지적 몰입은 조직시민행동과 유의한 관계를 갖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리더와 구성원이 얼마나 양질의 교환관계를 형성하고 있는지에 따라 조직에 대한 구성원의 감정적 몰입은 달라지며 그 결과 자발적이며 건설적인 역할외 행동 경향도 높아진다는 사실을 입증하고 있다. 반면에 리더-구성원 교환관계와 유지적 조직몰입, 그리고 유지적 조직몰입과 조직시민행동사이에는 의미 있는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연구결과를 통해 호혜적인 교환관계를 통한 리더와의 원만한 과업수행관계와 조직과의 일체감을 통해 형성되는 조직에 대한 심리적 애착이 구성원의 조직시민행동과 맺고 있는 강한 연결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