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시공원의 생태기능 향상을 위한 토양 이화학적 특성 기준에 대한 연구

        공민재,권태근,김창현,김남춘,신유경,안난희,이상민,손진관,Kong, Minjae,Kwon, Taeguen,Kim, Changhyun,Kim, Namchoon,Shin, Yukyung,Ahn, Nanhee,Lee, Sangmin,Son, Jinkwan 한국환경과학회 2020 한국환경과학회지 Vol.2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oil environment of urban neighborhood parks and to use them as basic data for evaluating the ecological functions of urban parks such as groundwater regeneration, flood control, microclimate regulation, adsorption and purification. The landscape design criteria were generally evaluated as advanced, and further monitoring and studies are needed to evaluate the various ecological functions. It is also necessary to improve the phosphoric acid and nitrogen contents, which tended to be low. In addition, continuous monitoring is needed to assess the proper soil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biological species, and to evaluate the ecological func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evaluate the groundwater recharge of urban parks. In particular, when the land of the neighboring park is used for various purposes, the level of access of the user may be increased. Therefore, factors that may adversely affect the user's health, such as heavy metals and organic matters, should be selected and selected as management criteria. In addition, follow-up studies considering fertilization standards suitable for trees and growth of introduced vegetation, etc. are needed urgently to improve the soil environment.

      • KCI등재

        산림표층토를 활용한 비탈면 생태복원녹화에 관한 연구(I)

        남상준,여환주,최재용,김남춘,Nam, Sang-Jun,Yeo, Hwan-Joo,Choi, Jae Yong,Kim, Namchoon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2004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Vol.7 No.4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develop spraying cultivation method using forest topsoils in order to restore the disturbed slopes. In November the researcher collected a depth of 5 cm of topsoils from a well developed forest, after the fallen leaves were cleared. The essential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In the case of using the forest topsoils, during the early stages of planting, time is necessary for the desired vegetation to reach a similar state to the vegetation being restored. The best possible effect is obtained through a method utilizing forest topsoil(30%)+loam silt soil(70%)+seeding with grasses and native plants including trees, shrubs, and herbs. Several plants such as Pinus densiftora, Potentilla fragarioides, Miscanthus sinensis, Erigeron canadensis seemed to be naturally emerged from the topsoils From this experiment, it was recommended that environment potential within topsoil should be comprehended. Also, topsoil deposit and gathering methods should be experimented properly.

      • KCI등재

        시설원예단지와 논의 지하수 생태계서비스 가치 비교 분석

        손진관,최덕규,이시영,강동현,박민정,윤성욱,김남춘,공민재,Son, Jinkwan,Choi, Deuggyu,Lee, Siyoung,Kang, Donghyun,Park, Minjung,Yun, Sungwook,Kim, Namchoon,Kong, Minjae 한국농촌계획학회 2018 농촌계획 Vol.24 No.2

        Protected horticultural complexes would increase crop productivity but would adversely affect the groundwater recharge function in the area because the impervious area would increase. Further, they would limit the movement of living beings, affecting biodiversity. Therefore, this study evaluated the groundwater ecosystem services provided by protected horticultural complexes in terms of consistent utilization of water. The estimated amounts of groundwater loss obtained through quantitative assessment of groundwater infiltration showed that a higher impervious area results in higher losses. We, therefore, predict a much higher loss if similar changes in land use are realized on a nationwide scale. A plan to promote groundwater recharge in impervious areas is actively being discussed for urban areas; however, this plan is not yet applicable to farming areas. We consider it is essential to develop groundwater infiltration facilities for horticultural complexes, infiltration trenches, permeable pavements, surface water storage facilities, water purification facilities, etc. Further research and development of groundwater infiltration facilities is important for consistent utilization of water and the improvement of ecosystem services.

      • 나비온실 식물분석을 통한 나비정원 도입 식물 선정

        손진관 ( Son Jinkwan ),이시영 ( Lee Siyoung ),강동현 ( Kang Donghyeon ),공민재 ( Kong Minjae ),김남춘 ( Kim Namchoon ),김창현 ( Kim Changhyun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6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6 No.2

        최근 다양한 공원 및 정원이 조성되어 생물다양성, 기후 완화, 경관증진, 체험, 교육 등에 유익한 공간으로 제공되고 있다. 주제와 목적에 맞는 현황조사 및 조사 자료에 대한 분석, 평가, 목표 설정, 복원 계획수립 등 다양한 과정이 필요하지만 자료 및 예산 부족 등으로 현실적으로 어려운 실정이다. 나비는 우리나라에 약 200여종이 서식하는 환경변화에 민감한 지표종이며, 생물다양성 및 먹이사슬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체험학습, 감성교육, 심리치료 등에 이용되는 중요한 분류군이다. 이러한 나비를 중심으로 한 공원, 정원조성에도 마찬가지로 앞서 밝힌바와 같이 목표설정 및 복원계획 수립이 필요하다. 나비는 정해진 식물만 먹고 흡밀하는 기주식물과 흡밀식물이 있어 해당지역의 나비를 유인하기 위한 목표식물 식재가 정원 조성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나비온실 8곳의 식재식물을 분석하였다. 정리 된 자료를 활용하여 흡밀, 기주의 관계를 문헌, 전문가 자문을 통해 분석하였다. 추가로 귀화식물, 특산식물, 희귀식물 등을 분류하여 추후 나비정원 조성 및 계획 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조사된 8곳 나비정원에서 식재하고 서식중인 식물은 총82과 186속 224종 23변종 2품종으로 총 249종으로 국내에서 서식이 확인된 246종과 미확인된 3종으로 구분되었다. 나비애벌레의 먹이가 되는 기주식물은 총 53종류로 산형과8종(15.1%), 운향과 8종(15.1%), 콩과 5종(9.4%), 십자화과4종(7.5%), 느릅나무과 3종(5.7%), 장미과 3종(5.7%), 제비꽃과 3종(5.7%), 쥐방울덩굴과 3종(5.7%), 돌나무과 2종(3.8%) 등의 순으로 확인되었다. 나비성충의 먹이원인 흡밀식물은 국화과 24종(13.1%), 백합과 11종(6.0%), 장미과 11종(6.0%), 산형과 8종(4.4%), 돌나물과 8종(4.4%), 꿀풀과6종(3.3%)등으로 총 183종이 확인되었다. 흡밀식물의 식재는 개화시기를 고려해서 식재하고 연중 정원에서 꽃이 보일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 할 것으로 판단된다. 대표적인 목본의 기주식물은 초피나무, 산초나무, 황벽나무, 탱자나무, 유자나무 귤, 운향 등이며, 목본의 흡밀식물은 조팝나무, 공조팝나무, 일본조팝나무, 꼬리조팝나무, 삼색일본조팝, 만병초, 철쭉, 영산홍, 산철쭉, 진달래 등으로 설계시 적절히반영해야 할 것이다. 귀화식물은 총 11종으로 특정나비의 기주, 흡밀에 탁월한 역할을 하므로 적절한 관리를 병행한 사용을 제안하고 특산실물은 벌개미취, 한라구절초 등 5종, 희귀식물은 쥐방울덩굴, 등칡 등 17종이 나비가 이용하는 식물로 조사되었으므로 나비서식처 조성과 더불어 희귀, 특산식물의 서식처 확보차원에서 해당 식물을 조성 할 필요가 있다. 본 자료를 활용하여 나비정원 조성 및 계획에 활용하고 이러한 나비정원이 확대되어 도시생물다양성 확보, 생태교육, 심리치료 등 다양한 시민의 공익장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 50% 과산화수소-에탄올 혼합연료의 점화 및 연소연구

        길현용(Hyunyong Gil),윤현걸(Hyungull Yoon),김동환(Dongwhan Kim),우희석(Heesok Woo),김남춘(Namchoon Kim) 한국추진공학회 2013 한국추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3 No.12

        본 연구에서는 50% 과산화수소와 에탄올을 이용해 소형 연소기를 제작하여 점화 및 연소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많은 양의 물을 포함하는 관계로 점화가 용이하지는 않지만 8~12% 에탄올과 혼합한 50% 과산화수소를 과망간산칼륨(KMnO2)으로 분해하고, 에너지가 높은 파이로 점화기를 사용하여 점화가 가능하였다. 점화는 연료공급 후 1초 이내에 점화되었으나 점화에너지 공급이 중단되는 시점에서 연소가 중단되어, 향후 화염유지를 위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An experimental study has been conducted to find the ignition and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50% hydrogen peroxide/ethanol premixed fuel using small combustor. Due to the 50% of water, the premixed fuel was not easy to ignite, however we found it can be possible using catalyst(KMnO2) and pyro igniter. Though ignition was successfully completed in a second, the flame was sustained while the igniter was working. Further study on the flame holding is necessary

      • 한국, 일본, 네델란드 시설원예단지의 경관 선호도 비교분석 연구

        공민재 ( Kong Minjae ),이시영 ( Lee Siyoung ),강동현 ( Kang Donghyeon ),손진관 ( Shin Yukung ),신유경 ( Son Jinkwan ),김남춘 ( Kim Namchoon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6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6 No.2

        농업생태계는 인간에게 다양한 공익적 기능을 제공한다. 하지만 시설원예 단지 조성은 불투수면적 확장과 생물서식처 단절로 인해 생태계서비스 기능 손실이 야기된다. 경관창출은 농업생태계의 생태계서비스 기능 중 높은 중요도로 평가된 항목으로 우리나라 고유의 논, 밭, 과수원 등의 농업경관이 갖는 순기능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시설원예단지 조성이 경관에 다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1차 연구(2016 춘계학술발표, 130명 학생조사) 결과가 있어 국내 일반인의 의식조사를 실시해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는 시설원예단지의 경관창출기능을 제고하기 위한 방안으로 비닐하우스 경관은 한국:일본, 유리온실경관은 한국:네델란드를 비교하였다. 연구방법은 슬라이드 쌍대비교(AHP)와 형용사(10개)를 활용한 리커트 척도 질문으로 구성하였으며, 웹페이지를 제작해 국내 일반인 581명의 의견을 분석하였다. 형용사이미지 평가 결과는 넓은, 자연적인, 시원한, 정돈된, 아름다운, 조화로운, 쾌적한. 개방된, 밝은, 좋은으로 총 10개를 1차 연구(15개) 결과를 바탕으로 추출하였다. 형용사 이미지 평가 결과 한국 비닐하우스 경관은 10개모든 형용사가 부정적인 이미지로 분석되었으며, 가장 부정적인 형용사는 자연적인(-)으로 인공적인 이미지로 평가 되었다. 다음으로는 시원한(-갑갑한), 조화로운, 아름다운 등의 순으로 우리나라 비닐하우스 일반 국민들에 있어 경관은 좁고, 인공적이며, 갑갑하고 아름답지않으며, 어둡고 나쁜 경관으로 인식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반면 일본 비닐하우스경관은 넓고, 시원하고 정돈되고, 아름다우며, 조화롭고 쾌적한 등 대부분 긍정적인 이미지로 분석되었다. 자연적인 이미지는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부정이미지인 인공적인 이미지로 분석되었지만 큰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한국과 네델란드의 유리온실경관에 대한 이미지평가 결과는 자연적인 이미지가 한국은 평균 -0.59/-3.00 이지만 네델란드는 -0.02/-3.00으로 가장 큰 차이로 확인되었다. 나머지 모든 형용사 또한 한국 유리온실이 네델란드 유리온실보다 낮게 평가 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AHP 쌍대비교 또한 한국이 일본과 네델란드 경관 보다 선호도가 낮게 분석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해 한국 비닐하우스 경관을 일본을, 유리온실 경관은 네델란드를 지향할 필요성이 확인되었다고 할수 있다. 따라서 경관 내 녹지, 가변요소, 이격거리 등 요소분석을 통해 어떤 차이가 있는지 우리나라 시설원예단지의 경관을 위해 개선방안을 알아볼 필요가 있다. 농촌지역 경관을 아름답게 유지, 개선하고 대규모 시설원예단지 조성시 기존 농업생태계와 조화로운 경관이 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연구를 수행 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 KCI등재

        국내 나비온실의 식물 식재현황 분석과 적용방안 연구

        손진관 ( Son J Inkwan ),강동현 ( Kang Donghyeon ),이시영 ( Lee Siyoung ),윤성욱 ( Yun Sungwook ),김남춘 ( Kim Namchoon ),김창현 ( Kim Changhyun ),공민재 ( Kong Minjae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구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 2017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Vol.20 No.1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butterflies and plants. We examined 8 butterfly greenhouse. Butterflies are 5 families, 22 species found in 8 locations. Papilio xuthus, Pieris rapae, Papilio bianor etc. was expected to be introduced in the garden. Plants were identified in the 8 greenhouse with a total 249 taxa to 82 families 186 gunus 224 species 23 variety 2 forma. The main planting species were Compositae, Liliaceae, Rosaceae, Umbelliferae, Crassulaceae, Rutaceae and Etc. A main life forms are Hemicryptophytes. The naturalized plants have been identified 7 families 11 species. And planting in the garden, we propose appropriate management. Host plant is confirmed Rutaceae, Umbelliferae Leguminosae, Cruciferae, Ulmaceae, Aristolochiaceae Etc.. Main nectar plant is Compositae, Liliaceae, Rosaceae, Crassulaceae, Labiatae. Nectar plant is proposed to be planted in consideration of the flowering period. Zanthoxylum piperitum, Zanthoxylum schinifolium, Phellodendron amurense, Poncirus trifoliata, Citrus junos, Ruta graveolens proposed design reflects the woody. Spiraea(Rosaceae) and Rhododendron(Ericaceae) proposed by Nectar plants of woody. We hope to be utilized in the planning and construction of a butterfly garden.

      • KCI등재

        포장 재료에 따른 지하수 침투량 측정 및 물수지 분석

        손진관(Jinkwan Son),권태근(Taekeun Kwon),공민재(Minjae Kong),강태경(Taegyeong Kang),임류갑(Ryugap Lim),김남춘(Namchoon Kim),박민정(Minjung Park) 한국산학기술학회 202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2 No.8

        포장재료에 따른 물수지를 평가하는 것은 제안된 유출계수를 동일하게 적용하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포장재료 별 지하수 침투량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이를 개선 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 보았다. 식생지반의 유출계수는 0.245로 설정할 수 있으며, 투수포장은 0.583로 설정할 수 있다. 반투수포장의 유출계수는 0.963로 설정할 수 있고 불투수포장의 유출계수는 1.000로 설정할 수 있다. 수로 및 습지와 자갈포장을 적용, 침투량과 증발산량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습지와 자갈포장의 유출계수는 0이다. 침투량 회귀식을 바탕으로 연구대상지의 평균 강우자료에 대입해 보면 강우량 1094.4mm 때 습지는 329.9mm 침투, 864.5mm 증발이 이루어지며, 자갈포장은 578.8mm침투 615.6mm 증발로 계산할 수 있다. 이 자료는 도시 및 농촌지역 지하수함양 개선사항 제시에 활용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농업생태계의 다양한 생태계서비스 가치가 저하되지 않고 보전, 향상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In this study, the degree of impact on groundwater charging of land-use materials in urban and rural areas was analyzed to identify avenues of improvement. The outflow coefficient of vegetation ground can be set to 0.245, and that of the pitcher"s block can be set to 0.583. The outflow coefficient of the half pitcher block can be set to 0.963, and the outflow coefficient of non-pitch asphalt can be set to 1.000. Waterways, wetlands, and gravel trunks were studied to determine penetration and evaporation. The outflow coefficient for wetlands and gravel is zero. Based on the penetration regression formula, the average rainfall data at the study site can be calculated as 329.9mm penetration and 864.5mm, evaporation of wetlands at 1094.4mm of rainfall, and gravel can be calculated as 578.8mm penetration, 615.6mm evaporation. This data was intended to be used to present matters to improve the cultivation of groundwater in urban and rural areas. Through these studies, we want to contribute to the preservation and improvement of the value of various ecosystem services in agricultural ecosystems while halting deterio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