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국내외 자동차 원동기 출력현황 및 성능특성연구

        김남용(Namyong Kim),용원(Yongwon Kim),이종현(Jonghyun Lee),최승환(Seunghwan Choi),박용성(Yongsung Park) 한국자동차공학회 2013 한국자동차공학회 부문종합 학술대회 Vol.2013 No.5

        This Study has explained the performance status and engine characteristic concerning vehicle engine that were sold in domestic from 2004 to 2012. Total 102 engines about passenger and commercial vehicles were experimented. Engine power difference was average -1% comparing with vehicles specifications and especially, compact or small cars have low engine power showed a huge performance tolerance at the test result. Engine power difference was slight as vehicles manufactures. In the case of commercial engines less NOx emissions from the emissions test mode was measured.

      • KCI등재
      • KCI등재

        충격성 잡음 채널의 블라인드 등화를 위한 최대 영-확률 알고리듬에 대한 성능 분석

        김남용 ( Namyong Kim )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10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ol.11 No.5

        이 논문은 충격성 잡음 환경에 대해 상수 모듈러스 오차(CME)와 가우시안 커널에 근거한 블라인드 등화 알고리듬의 성능분석을 보이고 있다. CME와 평균 자승 오차(MSE)에 근거한 상수 모듈러스 알고리듬(CMA)는 충격성 잡음 환경에서 수렴에 실패한다. 이런 충격성 잡음에 대한 내항성을 위해 최근에 소개된 코렌트로피 블라인드 등화 알고리듬도 PAM 변조 방식에서는 만족할 만한 결과를 보이지 못한다. 원래 가우시안 잡음 환경을 위해 제안되었던 최대 영-확률 블라인드 알고리듬(MZEP-CME)이 충격성 잡음 환경에서도 탁월한 성능을 보인다는 것이 이 논문의 이론적, 그리고 시뮬레이션을 통한 분석에 의해 입증된다. MZEP-CME 알고리듬의 가우시안 커널은 충격성 잡음에 의해 발생하는 출력 신호 전력과 CME 사이의 큰 차이에 민감하게 반응하지 못하게 하는 강한 영향력을 발휘한다. This paper presentsthe performance study of blind equalizer algorithms for impulsive-noise environments based on Gaussian kernel and constant modulus error(CME). Constant modulus algorithm(CMA) based on CME and mean squared error(MSE) criterion fails in impulsive noise environment. Correntropy blind method recently introduced for impulsive-noise resistance has shown in PAM system not very satisfying results. It is revealed in theoretical and simulation analysis that the maximization of zero-error probability based on CME(MZEP-CME) originally proposed for Gaussian noise environments produces superior performance in impulsive noise channels as well. Gaussian kernel of MZEP-CME has a strong effect of becoming insensitive to the large differences between the power of impulse-infected outputs and the constant modulus value.

      • KCI등재
      • KCI등재

        블라인드 등화를 위한 정보 포텐셜 분배 방법에 대한 BER 성능 분석

        김남용(Kim, Namyong),권기현(Kwon, Kihyun)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 2009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Vol.2 No.1

        블라인드 등화기법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널리 쓰이고 있는 기술이다. 이 논문에서는, 블라인드 등화를 위한 기준으로서, 두 확률밀도함수의 유클리드 거리를 최소화하는 기준에서 나타나는 정보 포텐셜에 대해 연구하였고 두 정보 포텐셜 사이의 적절한 균형을 활용한 방법의 BER 성능을 평가하였다. 정보 포텐셜에는 두 가지가 있는데 송신 심볼의 확률밀도함수와 맞도록 수신단에서 무작위로 발생시킨 심볼과 등화기 출력 샘플 사이에서 두 입자간 위치에너지처럼 나타나는 정보 포텐셜과 출력 샘플간에 나타나는 정보 포텐셜로 표현된다. 이 두 포텐셜을 적절히 균형 잡아 줄 때, 큰 성능향상을 보이는데 그 성능지표로 BER 성능 평가가 가장 신뢰성이 있으므로 BER 성능 평가를 시행하였다. 그 시뮬레이션 결과에서 정보 포텐셜 균형 방식은 블라인드 등화 환경에서 탁월한 BER 성능을 나타내었다. Blind equalization techniques have been widely use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the information potentials in the criterion of minimizing Euclidian distance between two PDFs criterion for adaptive blind equalizers and evaluate BER performance of the method that has utilized an appropriate balance between the two information potentials, one from output samples and ramdomly generated desired samples at the receiver and another from the interactions among output samples. The balanced information potential method has shown in the BER performance results that it can produce significantly enhanced BER performance in blind equalization applications.

      • KCI등재

        랜덤 심볼열에 기반한 확률분포의 반복적 유클리드 거리 추정법

        김남용 ( Namyong Kim )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14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ol.15 No.4

        송신 심볼점과 동일한 확률분포 모양을 갖도록 수신단에서 무작위로 발생시킨 N개의 랜덤 샘플에 대한 확률밀도함수와, 시스템 출력샘플들에 대한 확률밀도함수 사이의 ED 를 기반으로 설계된 블라인드 적응 시스템은 수렴에 이르렀는지 평가하거나 최소 ED 평가를 위해 매 샘플시간 마다 ED 값을 계산한다. 그런데 이 ED 값 추정은 블록 데이터 계산방식으로서 계산량이 많다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과도한 계산량을 줄일 수 있는 방법으로서 현재 샘플 시간의 ED 값과 다음 샘플 시간의 ED 값 사이의 관계와 다음 샘플시간의 ED 값 계산에 현재 계산된 ED 값을 활용할 수 있는 반복적 ED 추정방법을 제안하였다. 기존의 블록 처리 ED 방법은 계산량 O(N<sup>2</sup>)을 가지는데 반해 반복적 ED 방법은 계산량 O(N)을 가지며, 시뮬레이션 결과에서 두 방식이 정확히 일치하는 추정결과를 산출하였다. Blind adaptive systems based on the Euclidean distance (ED) between the distribution function of the output samples and that of a set of random symbols generated at the receiver matching with the distribution function of the transmitted symbol points estimate the ED at each iteration time to examine its convergence state or its minimum ED value. The problem is that this ED estimation obtained by block-data processing requires a heavy calculation burden. In this paper, a recursive ED estimation method is proposed that reduces the computational complexity by way of utili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urrent and previous states of the datablock. The relationship provides a ground that the currently estimated ED value can be used for the estimation of the next ED without the need for processing the whole new data block. From the simulation results the proposed recursive ED estimation shows the same estimation values as that of the conventional method, and in the aspect of computational burden, the proposed method requires only O(N) at each iteration time while the conventional block-processing method does O(N<sup>2</sup>) .

      • KCI등재

        Balanced Information Potentials for PDF-Distance Algorithms with Constant Modulus Error

        Kim, Namyong(김남용)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 2011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Vol.4 No.4

        Blind equalization techniques have been widely use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In this paper, we propose to apply the balanced information potentials to the criterion of minimum Euclidian distance between two PDFs with constant modulus errors for adaptive blind equalizers. One of the two PDFs is constructed with constant modulus error samples and another does with Dirac delta functions. Two information potentials derived from the criterion are balanced in order to have better performance by putting a weighting factor to each information potentials. The proposed blind algorithm has shown in the MSE convergence performance that it can produce enhanced performance by over 3 dB of steady state MSE.

      • KCI등재

        A New Gradient Estimation of Euclidean Distance between Error Distributions

        Namyong Kim(김남용) 대한전자공학회 2014 전자공학회논문지 Vol.51 No.8

        오차 신호의 확률분포 사이의 유클리드 거리 (Euclidean distance between error probability density functions, EDEP)는 충격성 잡음 환경의 적응 신호 처리를 위한 성능 지수로 사용되었다. 이 EDEP 알고리듬의 단점 중의 하나로 각 반복 시간마다 수행하는 이중적분에 의해 과다한 계산상의 복잡성이 있다. 이 논문에서는 EDEP 와 그 기울기 계산에서 계산상의 부담을 줄일 수 있는 반복적 추정 방법을 제안하였다. 데이터 블록 크기 N에 대하여, 기존의 추정 방식에 의한 EDEP와 그 기울기 계산량은 O(N<SUP>2</SUP>) 인 반면, 제안한 방식의 계산량은 O(N)이다. 성능 시험에서 제안한 방식의 EDEP와 그 기울기는 정상상태에서 기존의 블록 처리 방식과 동일한 추정결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시뮬레이션 결과로부터, 제안한 방식이 실제 적응신호처리 분야에서 효과적인 방식임을 알 수 있다. The Euclidean distance between error probability density functions (EDEP) has been used as a performance criterion for supervised adaptive signal processing in impulsive noise environments. One of the drawbacks of the EDEP algorithm is a heavy computational complexity due to the double summation operations at each iteration time. In this paper, a recursive method to reduce its computational burden in the estimation of the EDEP and its gradient is proposed. For the data block size N , the computational complexity for the estimation of the EDEP and its gradient can be reduced to O(N) by the proposed method, while the conventional estimation method has (N<SUP>2</SUP>) O. In the performance test, the proposed EDEP and its gradient estimation yield the same estimation results in the steady state as the conventional block-processing method. The simulation results indicates that the proposed method can be effective in practical adaptive signal processing.

      • KCI등재

        영확률 최대화에 근거한 효율적인 적응 알고리듬

        김남용(Namyong Kim) 한국통신학회 2014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39 No.5(통신이론)

        이 논문에서는, 영확률을 최대화 (maximum zero-error probability, MZEP) 하도록 설계된 알고리듬에서 가중치 갱신에 쓰이는 기존의 블록 처리 방식의 합산 연산을 대신하여, 다음 기울기 계산에 현재 계산된 기울기를 활용할 수 있는 효율적인 가중치 갱신 계산 방식을 제안하였다. 실험 결과로부터, 제안한 방식은 원래의 MZEP 와 동일한 성능을 나타내면서도 오차 버퍼가 불필요하여 시스템의 복잡도를 감소시키며 연산 시간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또한 제안한 알고리듬은 오차 엔트로피 (error-entropy)를 최소화하도록 설계된 알고리듬보다 우수한 수렴 속도를 지닌다. In this paper, a calculation-efficient method for weight update in the algorithm based on maximization of the zero-error probability (MZEP) is proposed. This method is to utilize the current slope value in calculation of the next slope value, replacing the block processing that requires a summation operation in a sample time period. The simulation results shows that the proposed method yields the same performance as the original MZEP algorithm while significantly reducing the computational time and complexity with no need for a buffer for error samples. Also the proposed algorithm produces faster convergence speed than the algorithm that is based on the error-entropy minim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