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AC를 통해 알아본 발달장애인의 지역사회 자립생활 의사

        김남숙,박주홍,김보름,Kim, Nam-Sook,Park, Ju-Hong,Kim, Bo-Reum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21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9 No.10

        본 연구는 보완대체의사소통(AAC)를 통해 지역사회 자립생활 지원에 기초자료가 될 발달장애인 당사자의 욕구와 의사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으며 나아가 발달장애인에 포용적인 지역사회를 구현하는데 기여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2020년 8월 7일부터 9월 11일까지, 훈련된 조사원이, AAC 설문지를 활용하여 발달장애인 전문기관에서 추천받은 당사자 74명을 대상으로 1:1 면접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으로 빈도분석, 교차분석, T검정 분석했다. 그 결과 발달장애인의 지역사회 자립생활에는 주거와 취업 등 지역사회 차원의 여건 조성, 적성과 기호를 고려한 일자리 등이 중요하며 시민으로서의 권리행사 등 사회참여에 대한 기대와 욕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존 대리인을 통한 연구결과와 다른 것으로, 향후 발달장애인 지원정책이 의사결정 지원에 의한 당사자의 욕구에 기초하고 '지역사회의 일원으로 지역사회 안에서 살아가는 일상적 삶'을 지향해야 함을 보여준다. This paper aimed to reveal the needs and intentions of the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rough AAC for supporting their independent living in the community and furthermore to contribute to realizing an inclusive community. From August 7 to September 11, 2020, trained researchers conducted 1to1 interviews(AAC) with 74 people recommended by specialized institutions.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analysis, Chi-square-analysis and T-test using SPSS 25.0. As a result, the creation of community-level conditions(ex. housing and employment) and job aptitudes and preferences are important for the independent living and expectations and desires for social participation were high. It is different from the previous survey results through agents. It means the policy for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should be based on their needs and aim for 'living in the community as a community member'.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of supporting decision-making for the ordinary lives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suggested.

      • KCI등재후보

        어린이집 교사의 수업 분석을 통한 자기장학 경험에 대한 이해

        김남숙,조운주 육아정책연구소 2012 육아정책연구 Vol.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집 교사들의 수업녹화 및 분석 과정을 통한 자기장학 경험의 의미를 이해하여 효과적인 자기장학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대상은 충북 D어린이집 교사 8명이다. 참여교사들을 대상으로 1회 사전면담을 실시하였고, 자기장학 과정에서 3회의 수업녹화와 수업분석, 저널쓰기, 개별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어린이집 교사들은 처음에 자기장학을 모르거나 수동적으로 평가받는 것으로 오해하였으나 자기장학을 수행하면서 스스로 진단하고 보완하는 것으로 이해하게 되었다. 둘째, 어린이집 교사들은 처음에는 자기장학에 대해서 부담을 가졌고, 수업분석에서 자책하고, 어려워하는 등 불편한 정서를 보였으나 점차 편안해지고 자신감과 수업개선에 대한 각오를 나타냈다. 셋째, 어린이집 교사들은 자기장학에서 교사 자신의 언어와 말투, 유아의 흥미와 반응 행동, 그리고 수업계획 및 수업의 도입-전개-마무리 과정에 초점을 두었다. 넷째, 어린이집 교사들은 자기장학을 통해서 고정관념에서 벗어나고 유아들을 수용하는 등 유연해졌고, 문제해결을 통해서 새로운 지식을 알게 되었으며, 동료수업 참관이나 수업동영상 공유 등 동료와 협력하는 자기장학을 실천하려고 하였다.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about teachers' self-supervision experience through their own teaching analysis in a child-care center.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eight teachers working at D private child care center. Five types of data were collected; classroom video recordings, lesson plans, teacher self-evaluations and journals, and four times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Qualitative analysis was done on the collected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had no idea of what self-supervision is, and thinking that they are evaluated through self-supervision. By having experienced self- supervision, they came to realize that self-supervision is an evaluation on their own performance, which helps improve their teaching skills. Second, the teachers gradually became confident, comfortable and satisfied with self-supervision. Third, the teachers focused on their own discourse, ways of talking and tone, children's interests and reactions, and lesson plan and introduction-unfolding- wrapping up of a teaching process while self-supervision. Finally, self-supervision helped the teachers do away with stereotypes, be flexible in responding to children, and acquire new knowledge through problem solving. Furthermore, they attempted to collaborate with their peers by participating in other class or sharing video recordings in self-supervision.

      • KCI등재

        장애인 탈시설 지역사회 자립지원을 위한 지방자치단체 조례 분석: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김남숙 대구과학대학교 국방안보연구소 2022 사회융합연구 Vol.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tatus of appropriate community supporting systems through analysis of local government ordinances after deinstitutionalization of the disabled in the facility. To achieve this, Pusan government ordinance analysis was conducted. Since there is no deinstitutionalization support law, the existing ordinances related to deinstitutionalization of local governments are the basis. This is because macro-practice has a great influence on mezzo- and micro-practice. In this study, ordinances related to housing, lifelong education, communication support and human rights were analyzed as in the local independent living. Content analysis was used as the research method. As a framework for analysis, the composition of ordinances, rights and accountability, validity of the target scope, type and degree of benefits, financial responsibility, and securing of delivery system were used. In order to make a more active and persuasive argument, a compa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with the ordinances related to deinstitutionalization in Seoul. Conclusions and recommendations are presente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본 연구의 목적은 시설 장애인의 탈시설 후 적절한 지역사회 자립지원이 가능한지를 지방자치 조례 분석을 통해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지방자치단체, 부산광역시 조례 분석이라는 거시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탈시설지원법이 제정되지 않은 현실에서 지원 근거가 될 수 있는 규정은 지방자치단체의 탈시설 관련 기존 조례들이며 거시적 실천은 중시·미시적 실천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 자립지원으로 주거, 평생교육, 의사소통지원, 인권지원 관련 조례를 분석 대상으로 삼았으며 연구방법으로는 해당 조례에 포함된 각 조항의 내용을 분석틀에 맞춰 검토하는 내용분석)의 기술적 연구방법을 실시하였다. 분석틀로서 조례구성, 권리성 및 책무성, 대상자 범위의 타당성, 급여의 종류와 정도, 재정의 책임성, 전달체계의 확보를 활용하였다. 보다 적극적이며 설득력 있는 주장을 위해 서울특별시의 탈시설 관련 조례들과 비교분석하였으며 그 분석 결과를 토대로 결론과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홍국쌀 에탄올 추출물과 Diacylglycerol Oil을 이용하여 제조한 기능성 유지의 이화학적 특성 연구

        김남숙,이기택,Kim, Nam-Sook,Lee, Ki-Teak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7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6 No.2

        홍국쌀을 $35^{\circ}C$, 175 rpm에서 80% ethanol을 이용하여 0.5, 1, 2, 4, 8, 24시간 단위로 개별적으로 에탄올 추출한 결과, 1시간(yield, 1.203%) 이후의 추출 시간 증가는 추출율의 증가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1시간 추출한 홍국쌀 에탄올 추출물을 각각 600(A), 1200(B), 1800(C), 2280(D) ppm 함유하는 기능성 유지를 제조하였다. 기능성 유지의 색도는 추출물의 함유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L^*$ 값이 유의적으로 감소되며, $a^*$ 값 및 $b^*$ 값은 유의적으로 증가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p<0.05). 기능성 유지의 monacolin K 및 총 페놀 함량은 추출물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p<0.05). Rancimat$(98^{\circ}C)$ 분석을 실시한 결과, 기능성 유지의 induction time이 각각 control(4.3 hr), A(3.2 hr), B(2.6 hr), C(2.4 hr), D(2.2 hr)로 추출물 첨가 농도의 증가에 따라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어 산화 안정성의 보강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전자코에 의해 얻어진 각 시료의 센서의 감응도$({\Delta}R/R_0)$를 이용한 주성분분석 및 MANOVA 분석 결과, 제1주성분 기여율은 99.66%로 분석되었으며 함유된 추출물의 함량 증가에 따라 각각 차별적인 향 패턴(odor difference)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SPME-GC/MS에 의한 휘발성분 분석 결과, 기능성 유지에서 홍국쌀 에탄올 추출물로부터 기인되는 특유의 휘발성분은 관찰되지 않았으나, RT=12.1 min인 hexanal의 함량이 control에 비하여 유의적인 감소 경향을 나타내는 것이 확인되었다(p<0.05). Functional oils (FOs) were produced from commercial diacylglycerol oil and red yeast rice extracts from 80% ethanol for 1 hr in a shaking water bath at $35^{\circ}C$ and 175 rpm. FOs contained (A) 600, (B) 1200, (C) 1800, and (D) 2280 ppm of red yeast-rice extracts, respectively. The Hunter a value and b value were risen whereas L value was reduced along with the increase of extract concentration. Content of monacolin K and total phenolic compounds in FOs significantly increased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extract concentration. The oxidation stability of FOs was observed by Rancimat at $98^{\circ}C$. Induction time decreased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extract concentration. The major volatile compounds of FOs were compared using the electronic nose (EN) system and solid phase microextraction (SPME) method combined with gas chromatograph/mass spectrometry (GC/MS). EN was composed of 12 different metal oxide sensors. Sensitivities (Rgas/Rair) of sensors from EN were analyzed by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whose proportion was 99.66%. For qualitative or quantitative analysis of volatile compounds by SPME-GC/MS, the divinylbenzene/carboxene/polydimethyl-siloxane fiber and sampling temperature of $50^{\circ}C$ were applied.

      • KCI등재

        도시재생사업활성화를 위한 주민대학 사례연구: 강점모델을 기반으로 한 융합적 접근

        김남숙 한국융합학회 2019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0 No.10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ways to promote residents' participation as an important key for urban regeneration and enhancing urban competition.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The case of the design and operation of the community academy as part of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the New Ddeul Village Project) in the S district of Busan Metropolitan City was analyzed based on the strength model. Based on the job, this study presented some empirical discussions for a successful community engagement program. First, move away from the pathological model based on regional problems and approach it as a positive and potential-oriented strength model. Second, it is co-prosperity by utilizing the resources of local universities around the village. Third, to meet the diverse needs of local residents, they should seek regional support and exchanges through the convergence of college majors. 쇠퇴하고 노후되는 도시재개발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다. 글로컬 시대는 국가단위보다는 주민의 실질적 삶에 근거를 둔 지역, 즉 마을 중심의 도시재생에 무게를 둔다. 본 연구의 목적은 쇠퇴하는 도시의 재활성화와 도시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핵심축으로써 주민참여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부산광역시 S구 일대를 대상지로 한 도시재생사업(새뜰마을사업) 일환의 주민대학을 강점모델 기반으로 설계하고 운영한 사례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성공적인 주민참여프로그램을 위해 몇 가지 경험적 논의를 제시하였다. 첫째, 지역의 문제에 기반을 둔 병리적 모델에서 벗어나 지역과 주민이 지니고 있는 긍정적이고 가능성을 지향하는 강점모델로 접근한다. 이러한 접근은 주민들이 마을에 대한 자긍심과 소속감을 갖고 강점을 활용함으로써 주민의 주체적 태도와 주민역량강화를 증진한다. 둘째, 마을 주변의 지역대학 자원을 활용한 지역과 대학의 상생이다. 셋째, 지역주민의 다각적인 욕구에 부응하기 위해서는 대학전공의 융합을 통한 지역 지원과 교류를 모색한다.

      • 일부 여성 근로자들의 산업보건 지식 및 태도에 관한 연구

        김남숙,이병국 순천향 대학교 산업의학연구소 1995 순천향산업의학 Vol.1 No.1

        For the purpose of obtaining basic information for the implementation of occupational Health service for woman workers, the knowledge and attitude questionnaire study was carried out on 587 woman workers who were working in textile, machinery, chemical and other industries in Chunan a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While more than 50% of woman workers in textile machinery and chemical industries worked 44 hours per week, higher proportion woman workers in other industries worked more than 48 hours per week. 2. The joining rate of trade union of workers was 68.5%, but the active participation rate was low regardless of type of industries. 3. While 48% of workers in textile industries thought their health as good condition only 29.3% of workers in chemical industries thought their health as good one. The rate of women in good health was higher in workers whose age were under 30 than those over 30. 4. While 55.2% of total workers answered their working conditions as normal, only 17.9% of workers did that their working condition were in good and bad condition. 5. Television was the most important source of information for occupational disease and hearing from colleague was next important source. On the other hand, 20.6% of workers answered that they never hear the word “occupational disease”. 6. While 53.7% of workers thought that improvement of working condition is the most important method for the prevention of occupational disease and 13.4% or workers thought that annual health examination is the most. On the other hand on 2.4% of workers thought that there was no method to prevent occupational disea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