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 교양수업 발표의 피드백 방안

        김남미 한말연구학회 2010 한말연구 Vol.- No.26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a feedback method for presentations made in the liberal arts class. The feedback method proposed in the paper is divided into two feedbacks: pre-presentation feedback and post-presentation feedback. Pre-presentation feedback is for an overall preparation process where a learner plans and prepares the presentation. Based on the presentation proposal submitted, a professor prepares the feedback in terms of relevance and validity of planned items. In addition, the feedback can be provided whether proposed strategies are properly reflected in the preparation process. Pre-presentation feedback may employ face-to-face feedback or/and online feedback. Post-presentation feedback includes the presentation evaluation and areas to be improved. Post-presentation feedback may utilize written feedback, face-to-face feedback, and online feedback. The source of written feedback is the evaluation prepared by a professor and the audience during presentation. After the presentation, members involved in the presentation have a face-to-face correction session with a professor based on the evaluation sheet. After the feedback, the members post feedback results including self-feedback in cyberspace, sharing post-presentation performance with other learners. These feedback processes can help learners, in the process of objective-oriented speaking practice, identify their ability and improve it.

      • KCI등재

        교양과정 학생의 문법 선수학습 수준 분석

        김남미 한국국어교육학회 2010 새국어교육 Vol.0 No.86

        This study is designed to examine and analyze college students' grammar ability in order to establish a grammar education framework for college liberal arts. To measure students' level, secondary education curriculums and learning goals were adopted as criteria. Based on the criteria, grammar abilities of students enrolled in liberal arts were analyzed by their major and by different grammatical dimension. Key findings are as follows: college freshmen revealed different grammar abilities according to their major, with humanities and business/economics students better than science and engineering ones; and their abilities are better at syntax than morphology and phonology (poorest at phonology). The result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for college liberal arts courses to help student fully understand grammatical concepts and internalize principles of grammar modeling in their grammar education. 대학교양과정을 위한 문법교육 방안에 대해서 구체적인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 되었다. 문법교육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서는 먼저 대학교양과정 학생들의 문법수준을 측정할 필요가 있다. 측정 결과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대학교양과정 학생들에게 필요한 문법교육의 내용이나 방법이 설정될 것이기 때문이다. 이 논문의 목적은 대학생 문법수준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를 마련하고 이를 분석함으로써 대학문법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문법 수준 측정도구는 중등교육과정의 학습목표를 성취기준-평가기준으로 마련하였다. 측정도구를 통해 교양과정 학생들의 문법 수준을 계열별, 학년별로 측정하였다. 이 측정결과를 국어학적 영역별로 측정값이 보이는 의미를 분석하였다. 대학 교양과정 1학년생들의 문법 수준평가 결과는 계열별로 ‘인문계≒경제경영계 > 이공계열’의 순의 성취도를 보였고 영역별로는 ‘통사론 > 형태론 > 음운론’ 순서로 나타났다. 영역별 분석 결과에서 대학교양과정 학생들이 문법 개념에 대한 숙지가 필요하다는 사실과 교수법에 문법 발견 절차를 응용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 KCI등재

        어휘 관계 읽기를 활용한 자기글 수정

        김남미 한말연구학회 2019 한말연구 Vol.- No.5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a revised proposal of a self-revision that utilizes a written teaching method to improve the quality level of thought at universities and learners, using a reading of vocabulary relationship. Therefore, in this paper, we have studied three steps. First, we examined the tendency of typical learner revisions of university students, and compared the revisions of the students who received the level of "upper" on the previous-writing,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One is that it is not possible to access the macroscopic dimension and can not lead to qualitative improvement, and the two represent a negative tendency to rely on the teaching evaluation, such as TA comments. It may be pointed out that learners do not perform effective "revision". Secondly, we examined the "revision" is expected for writing educa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rticle that received the level of 'upper' in the writing task, the professor showed that the learner wants to set up a deep thesis statement and to systemati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hesis statement elements structurally. The learner who tries to revise does not find his/her strength, and therefore, it stops at the passive ‘correction’. Third, the writing teaching method for improving the quality level is to lead the "revision" of macro structure such as 'thesis statement' or 'structure'. The subject matter consists of the relation of key words and the relation is projected into the structure. The quality of the learner writing can be improved by reading the relation of this key words and coordinating the relations among the key words.

      • KCI등재

        실시간 원격강의 환경에서의 대학글쓰기 교육

        김남미 한국사고와표현학회 2020 사고와표현 Vol.13 No.3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look for the strengths of real-time distance learning and to find ways to actively utilize it so that the learner’s sense of reality can be expanded. By utilizing such methods, it is part of an effort to ensure the qualitative superiority of university writing classes. For this reason, we analyzed the actual real-time distance lecture materials in operation and tried to draw out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the real-time distance lecture itself based on the results. First, we confirmed the time and physical limitations of face-to-face lectures, and investigated whether real-time distance lectures could act in place of such limitations. After that, we confirmed through the learner’s voice how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tance lecture affect the learner’s sense of reality and satisfaction. Real-time distance lectures have an environment that can overcome time and physical restrictions. The real-time learner’s production activities performed through the chat window show the time-separated activities as text. In addition, the shared screen between teachers and learners expands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ers’ production activities and teaching guidance. It has the effect of maximizing the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learners through the interaction of these two. The professor will be able to perform operations that target the expansion of the blank, the expansion of the thinking, and the consequences of the expansion, and at the same time, will be able to go through the process of re-discussing the results. It can be described that such a process can enhance the immersiveness and expand the result by being the learner’s guides in the virtual space. 이 논문의 목적은 실시간 원격강의의 강점을 찾아 학습자 실재감을 확장시키는 방안으로 적극 활용함으로써 대학글쓰기 수업의 질적 우수성에 기여하려는 데있다. 먼저 대면강의가 갖는 시간적, 물리적 제한점을 확인하고 실시간 원격강의가 그러한 제한점에 대한 대안으로 작용할 수 있는지를 살폈다. 이후 학습자 후기를 통해 원격강의의 특성이 학습자의 실재감, 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를 확인하였다. 실시간 원격강의는 시간적, 물리적 제한점을 극복할 수 있는 환경을 갖추고있다. 채팅창을 통해 이루어지는 실시간 학습자 생산활동은 시간적으로 분리된활동을 텍스트화하여 보여준다. 또 교수-학습자 간의 공유 화면은 학습자 생산활동과 교수지도 간의 관계를 확장시켜 준다. 이 두 가지의 상호작용을 통해 교수- 학습자 간의 상호작용을 극대화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교수는 공백의 확장과 사고의 확장, 확장 결과를 대상화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동시에 그 결과를대상으로 다시 이를 논의하는 과정을 거칠 수 있게 된다. 이런 과정은 학습자를가상공간 안으로 이끌어들임으로써 몰입을 강화하고 성취도를 확대할 수 있는 기제가 될 수 있다.

      • 대학 학습자를 위한 요약문 쓰기 교수 방안

        김남미 시학과언어학회 2012 시학과 언어학 Vol.0 No.22

        이 논문의 1차적 목적은 대학의 학습자들의 요약적 글쓰기 결과가 어떻게 나타나는가를 유형화하는 것이다. 이를 기반으로 대학 학습자를 위한 요약문 쓰기 교수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 이 논문의 두 번째 목적이다. 대학 학습자의 요약문 분석을 통해 대학요약문 쓰기 교육에 필요한 항목은 크게 세 가지였다. 첫째는 원문의 의도와 목적을 읽는 전략에 대한 교육이 필요했다. 이는 논의대상과 범주를 확정하는 연습과 연계된다. 둘째는 거시 구조의 틀을 이해하는 방식의 요약 훈련이 필요했다. 대학 학습자가 전체 글을 구성하는 부분과 부분과의 연계를 읽을 있는 전략을 요약 훈련을 통해 배울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는 객관적 거리 훈련이 필요한 것으로 드러났다. 자신의 생각과 다른 사람의 생각을 엄격히 구분하고 객관적 시선으로 정보를 바라보고 이를 이는 요약해 내는 연습과 관련된다. 앞서 보인 세 항목은 요약하기 수업의 목표가 되어야 한다. 이에 대한 세부 목표를 선정하고 각각의 목표에 대해 학습자와 공유하는 시간이 필요하다. 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제시되는 과제는 각 목표에 따라 요약의 유형이나 목적 방식이 달라질 수 있다. 학습자들이 다양한 방식으로 요약 훈련에 임할 수 있도록 과제 구성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각각의 목표들은 개별적으로 주어지는 지면피드백이나 전체 강평을 통해 확인되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 KCI등재

        ICT 기술을 활용한 협력 활동 적용의 효과 -이공계 학습자 대상 사고와 표현 수업 사례 분석-

        김남미 한국사고와표현학회 2021 사고와표현 Vol.14 No.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a way to provide an educational experience for science and engineering learners to improve their thinking through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cooperative activities. To this end, we first analyzed the aspects of using ICT cooperation activities in the real class, extracted the educational effect of each activity, and devised a plan to further expand it.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The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the ICT cooperative activities of science and engineering learners show the correlation between speaking and writing in formal situations. In cooperative activities, learners’ discussions are recorded and objectified in various media, and again, as an object of objective thinking, they have the status of a discussion subject for qualitative improvement. It was found that science and engineering learners advance their thinking by using various methods of technical operation in cooperative activities. The activities of these learners were found to contribute to the deepening process of thinking organization topics necessary for speaking and writing activities. It was confirmed that learners recognized the significance of this collaborative activity process and recognized it as applicable to other areas. 이 논문의 목적은 이공계 학습자들이 ICT를 활용한 협력 활동을 통해 스스로사고를 개선하는 교육적 경험을 제공하는 방안을 구체화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먼저 실제 수업에서 ICT 협력 활동 양상을 분석하고 각 활동의 교육적 효과를추출하여 이를 더 확대할 수 있는 방안을 구체화하였다. 이 논문에서 보인 ICT 활용 협력 활동은 4주에서 8주 정도의 시간 동안 수업 밖에서 수행되는 조활동이다. 학습자들이 협력 활동 안에서 공식적인 말하기와 글쓰기 영역에서 어떤 성과물을 산출하고 어떤 사고를 수행하는가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를 보이면 다음과 같다. 이공계 학습자들은 ICT 협력 활동에서 다양한 기술적 장치를 활용하여 자신의 사고를 진전시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러한활동은 말하기와 글쓰기 활동에 필요한 사고의 조직화 주제의 심화 과정에 기여하며 고차원적 사고를 수행하는 데 도움을 준다. 학습자들은 협력 활동 과정에나타나는 사고의 유의미성을 인지하고 이를 여타 영역에 적용 가능하도록 일반화하여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하려 노력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