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SCOPUS

        글로벌 기업 영어 콘텐츠를 활용한 대학 영어 교육 사례연구

        김나희(Nahee Kim) 한국영어학회 2023 영어학 Vol.23 No.-

        This research aims to design and conduct a case study of application of a global corporation’s English progrmme to college English presentation classes. It also explores how a global corporation’s English curriculum is implemented inside the university language programme. In order to do that, this study adopted Shin et al.’s(2018) storytelling-based curriculum, Kim’s (2019) action research on a global corporation’s English storytelling programme, and Shin and Kim’s (2019) principles of curriculum-based dynamic assessment. Thirty-two students were joined in the research and taught by the researcher during the autumn semester of 2020 language course. This course consisted of three procedures: pre-test, intervention and post-test. According to participants’ various reactions to classroom activities, each lesson was revised and conducted, including the researcher’s reflections on the curriculum and learners’ feedback on teaching. As a result of post-test, learners’ presentation performance was improved in terms of verbal/non-verbal presentation skills and English speaking confidence, compared to the pre-test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use of a global corporation’s English curriculum may be effective in learner-centered teaching and learning. It is suggested that there is a need for investigating more teachable, assessable and manageable procedures and guidelines to apply to university English courses.

      • KCI등재SCOPUS
      • KCI등재

        글로벌 기업의 영어 스토리텔링 교육에서 역동적 평가 활용 : 학습자 내러티브 정체성 중심으로

        김나희(Kim Na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5

        This study aims to explore dynamic assessment of a global corporation’s English storytelling programme, focusing on learner narrative identity development. Five participants employed at the global corporation were joined in the study and taught by the researcher during the spring semester 2018 of the global corporation’s language programme. The dynamic assessment procedure consists of module-based classroom activities including teaching and assessing. The research shows that the dynamic assessment was effective in that learners’ overall narrative identities including narrative level and response were developed as the module learning continued. However, the reflective element of narrative needs to be taught explicitly. The results have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of developing narrative identity-based dynamic assessment applicable to classroom assessment for improving learners’ narrative identity in high stakes language test prepar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글로벌 기업의 영어 스토리텔링 교육 현장에 역동적 평가 절차(Resendiz & Pena, 2015; 신동일, 김나희, 2019)활용 사례로 학습 과정의 한국인 성인 학습자 영어 말하기 변화를 내러티브 정체성(narrative identity)관점으로 탐색하는 것이다. 글로벌 기업 A의 2018년 봄학기 정규 사내 영어 말하기 스토리텔링 프로그램(주 2회, 총 16차시)에서 연구자가 직접 교사로 참여하여 역동적 평가를 적용하였다. 역동적 평가 결과 학습자 내러티브 정체성 변화는 내러티브 발달 및 구술 활동 반응은 향상 되었지만 내러티브 성찰 요소는 개인의 구술 특징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명시적으로 학습될 필요가 있었다. 연구 결과를 통해서 영어 내러티브 구술 교육의 역동적 평가 활용 유용성은 학습 목표에 집중된 교육과 학습자 발달 과정의 진단이다. 교육과 평가 활동이 연계되어 학습자 중심의 교육 평가를 가능하게 하며, 특히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 발화 변화를 내러티브 정체성 관점으로 분석하여 내러티브 구술 교육에서 영어 구술 능숙도 뿐만 아니라 구술 활동 시 학습자 반응과 성찰적 요소 변화를 탐색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연구에서 교실 현장의 교사가 직접 진행 할 수 있는 학습자 내러티브 정체성 기반의 역동적 평가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원어민 중심의 모방, 암기 위주의 표현 학습이 팽배한 언어 교육 및 시험 응시 전략 중심의 획일적인 고부담 언어 시험 준비 현장에 교사 주도의 역동적 평가가 사용되어 현장 개선 사례로 꾸준히 보고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SCOPUS
      • KCI등재

        영어 스토리텔링의 순환적 구조 연구

        신동일(Shin Dongil),김나희(Kim Nahee),김금선(Kim Kumsun),신혜정(Shin HyeJeong) 한국외국어교육학회 2007 Foreign languages education Vol.14 No.2

          This article focuses on analysis of 11 storytelling samples produced by Korean adult test-takers of an English speaking proficiency test. The process of telling stories, hearing the stories, and retelling them is a commonly used way of communication with others not only in a classroom but also in everyday life, and moreover storytelling is a task often used in English speaking proficiency tests. Although it is surely an important part of our lives as mentioned above, there has not been much research on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storytelling and its value in English language education. It should be discussed in public that what storytelling can do for English education in Korea, more specifically in teaching English speaking. This study provides what cyclical structure of storytelling is and what it means to English language education in Korea. It is illustrated that storytelling task samples of advanced learners of English can be well understood from the framework of storytelling components (Bidell, Hubbard, & Weaver, 1997).

      • KCI등재

        기업교육에서 역동적 평가모형의 적용: 영어 스토리텔링 교육과정 중심으로

        신동일(Dongil Shin),김나희(Nahee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3

        본 연구는 기업교육과 스토리텔링 교육과정 개발의 맥락으로부터 역동적 평가(dynamic assessment, DA) 모형이 학습자의 영어능숙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구체적으로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 하나의 사례를 제시하고자 한다. 국내 기업교육, (구 술) 스토리텔링 학습, DA 평가활동이 모두 국내에서 관련 연구물이 제대로 축적되어 있지 않고 있으며 기업교육 현장에서 영어 스토리텔링을 DA 모형으로부터 가르치고 평가한 사례는 더욱 찾아보기 힘들다. 삼성전자 내부 기업교육 프로그램 안에 서 본 연구는 DA 기반으로 교사와 연구자가 협력하여 2017년 봄학기 3월부터 6월까지 4개월 동안 매주 2회 영어 스토리텔링 수업으로 기획되어 영어 스토리텔링에 관한 교육목표와 학습 내용을 사전에 수립하고, 사전-사후, 형성/진단적 평가결과를 수 집하면서, 학습자들에게 투입시킬 교육(mediated learning experience, MLE)을 유연하게 수정하고, 학습의 산출 효과를 실질적으로 향상시킨, 구체적인 절차를 기술하기로 한다. 학습자들은 스토리텔링 역량 중에서 스토리의 구성 요소를 시간 순서와인과 관계로 결속시키는 학습을 DA 모형으로부터 의식적으로 학습하고 평가받았고, 사전-사후 검증의 결과 관련 MLE의 효과성이 선명하게 발견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수업계획, 교수요목, 진단표, 평가결과 등이 제시되었고 이러한 자료들로부터 추후에 관련 연구를 어떻게 추가적으로 기획할 수 있을지도 논의하였다. 무엇보다 국내 언어교육현장 중에서 다문화교육 분야는 DA 기반의 교육모형로부터 표준적인 외부시험이 검증하지 못하던 교수/학습의 쟁점들이 새롭게 부각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reports how principles of dynamic assessment (DA) are implemented in a global corporation’s storytelling-based curriculum for improving English proficiency. DA is expected to well conceptualize both teaching and assessing as an integrated activity by providing appropriate support to English learners in needs. Little research, however, has been devoted to the DA in English storytelling education, or in corporation education in Korea. This article demonstrates specific procedures about how mediated learning experience in DA can be applied to a storytelling-focused English curriculum of Samsung Electronics’s educational program. The DA team, including teachers, curriculum and testing designers, planned, collected the results of pre-, post-test, and formative assessment, discussed, and revised the trajectory of the DA-embedded teaching and assessing activities. It was found that DA method was effective in improving event- and structure-focused criteria of storytelling proficiency in a single semester. Examples of course plans, assessment results, participants’ interaction are listed and elaborated with regard to the revision process for appropriate support. The findings have implication for future discussion of DA in the related research contexts, including assessment of immigrants’ or multilingual’ deficiency in communicative effectiveness.

      • KCI등재

        기업교육과정에서 스토리텔링 진단평가도구의 활용에 관한 탐색 연구

        신동일(Dongil Shin),김금선(Keumsun Kim),박수현(Soohyeon Park),김나희(Nahee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6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학술문헌으로부터 수집된 스토리텔링 진단평가도구들의 차별적인 특성을 기업교육의 맥락과 실제적 채점 활동으로부터 이해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팀은 특수교육, 유초등교육, 언어치료, 영어교육 등 다 양한 학술 분야로부터 관련 선행문헌을 검토했고, 삼성전자 직원 대상의 2017년 봄학기 스토리텔링 교육과정에 참여한 3명의 학습자들이 사전-중간-사후 평가도구 문항에 응답한 자료를 각기 다른 진단평가 모형에 적용해보았다. 스토리텔링 진단평가 의 대표적인 모형 8개(Bliss, McCabe, & Miranda, 1998, Gilllam & Person, 2008; Hedberg & Stoel-Gammon, 1986; Heilmann, Miller, & Nockerts, 2010; Justice etal., 2010; Labov & Waletzky, 1967; Stein & Glenn, 1979)로부터 연구팀은 학습자들의 구술 자료를 채점하고 개별적으로 작성한 채점자 일지를 공유하면서 각 평가도구의 특성을 탐색했다. 채점자들의 관점과 채점 결과는 2018년 1-2월 총 5회에 걸친 전체 회의로부터 공개적으로 논의되고 조정되었다. 본 연구는 채점자들이 공유한 진단평가 과업의 적절성, 평가등급과 채점절차의 명시성, 평가영역의 채점 수행성에 관한 논점을 요약했고 추후 기업교육, 스토리텔링 교육, 구술 진단평가에서 고려되어야 할 사안을 제시해 두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diagnostic assessment of storytelling proficiency in business education. Over the decades, oral narrative skills have been deemed as a key component of language learning process, and the related diagnostic information has been significant interest to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in speech pathology, children language learning, or first/second language acquisition. Few studies, however, have been devoted to storytelling assessment in EFL (English as Foreign Language) business education. In this study, eight diagnostic assessment models of storytelling were collected, revised, and evaluated by five experienced researchers and teachers in a business education program, where students enrolled on the course titled ‘English Storytelling Practice’ within Samsung Electronics. Oral narrative samples were analyzed by micro, macro, mixed narrative scoring schemes. It was found that as micro narrative scoring scheme had low practicality to raters, especially for time-consuming and ambiguous rubric, so did mixed narrative scoring scheme. Macro scoring scheme had relatively high practicality to raters, but it provided insufficient diagnostic information to upper intermediate level storytellers. Theses finding have implication for future development of diagnostic assessment instruments in localized and business contex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