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동양화의 공간개념 고찰 I : 동양화의 '여백' 해석을 위한 동양화의 특성 再考 Reconsideration of Characteristics in Oriental Painting for the Interpretation of Marginal -Space

        김기주 동덕여자대학교 예술대학 2004 예술논총 Vol.6 No.-

        동양화와 서양화와 가장 큰 차이점은 아마도 여백일 것이다. 이 논문은 ‘동양화의 공간개념 고찰’이라는 논문 중 제일 부로, ‘동양화의 여백 해석을 위한 동양화의 특성 再考’ 을 통해 극동아시아인이 갖고 있는 역설을 이해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그런데 동양화는 화 畵와 도화 圖畵의 의미를 이해할 때 비로소 그 의미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唐, 장언원(張彦遠)은 『역대명화기 歷代名畵記』 모두 冒頭를 다음과 같은 회화(畵)의 정의 定義로 시작한다. “대저 회화란 것은 교화를 하고, 인간의 윤리를 조장하며, 신비한 변화를 궁구하고, 깊숙한 것과 미세한 것을 헤아림이 여섯 가지 경서 經書와 공 功을 같이하며, 사계절이 도는 것과 그 운행을 함께 하는 것으로, 천연 [自然]에서 나와야지 지어서 만든 것 [述作]에 말미암은 것이 아니다”. 과연 唐代에 이미 회화 [畵]는 인간의 자연적인 발로로 자연이나 ?書에 필적하는 인간문화의 최상에 있었다. 그런데 그는 안연지(顔延之, 384-456)의 도 ?에는 도리 ?理 ㆍ 도식 ?識 ㆍ 도형 ?形이 있다는 말을 인용하면서, 안연지에게 회화는 도형이었다(『역대명화기』「敍畵之源流」)고 언명한다. 중국회화사를 들여다보면, 이 두 가지 의미를 이해하지 않고서는 중국회화를 이해할 수 없다. 중국 회화사는 형상을 그린 ‘도형 ?形’으로 시작되어, 남북조 시대에 왕미 王微에 의해 도리 圖理, 예를 들어, 괘상 卦象의 영역까지 표현할 것이 요청되었고, 도식, 즉 문자학은 문인 사대부들 곁에 항상 곁에 있었다. 최근까지도 우리는 미술시간을 ‘도화 ?畵’시간이라고 말했고, 아직도 그림 그리는 종이를 ‘도화지 ?畵紙’라고 부름으로써 ‘도’와 ‘화’의 합성어, ‘도화’와 ‘회화’를 동일시하고 있다. M. 설리반이 중국의 산수화를 ‘영원의 상징’이라고 말하듯이, 중국회화의 영역은 상징이나 사고의 영역까지 확대되었다. 따라서 동양화를 서양화적인 개념으로 이해할 수는 없다. 그려지지 않은 여백공간이 표현된 형체보다 더 의미를 담고 있는 동양화에서 여백은 동양인의 삶과 사유세계를 들여다보지 않으면 이해할 수 없을 것이다. 그러므로 II장에서는 중국회화 제작 태도를 둘로 나누어, 변하지 않는 항상성으로서 더 많은 요인들이 있겠지만 지면의 한계상 그 중에서 특히 서양과 다른 ㆍ ‘예화 藝畵 정신’을 다루고, 시대마다 가변적인 것으로서 ‘회화의 목표’를 고대에서 시대 순으로 ‘정교 政敎’ ‘사실 寫實’ ‘심회 心懷의 표현’을 추적해 보았다. ‘예화 藝畵 정신’은 예술이 道를 추구하는 과정이요, 그 결과였다. 예술자체가 예술가의 인품의 정도의 반영이었고, 도의 순간이 찰라이므로, 표현방법은 자연히 ‘필은 간단하면서도 형체가 갖추게(筆簡而形具)되지 않을 수 없었다. 그것이 바로 여백이 많은 수묵화였다. 역사적으로 살펴보면, 그림은 도형 圖形에서, 사실 寫實로, 사실의 핵심인 정신, 즉 신 神을 중시한 북송 문인들의 중신사론重神似論을 거쳐 원에 이르면, 외족의 압제아래에서 오히려 예술을 스스로 즐기는 ’자오 自娛‘의 단계에 이르게 되었다. 그러나 흉중일기 胸中逸氣의 표현이라고해도, ’저절로 발현되어야 하는(發於自然)‘, 장언원의 회화의 정의는 역사상 지속되었다. 따라서 외족의 압제아래, 번영했던 唐의 그림을 모방했던 조맹부도, 북송의 동원을 모방했던 원말사대가도, 옛것을 숭상(崇尙)하여 고화 古畵를 臨 ㆍ 모 摹방 ㆍ 방 倣으로 모방한다해도, 그것은 기술을 모방한 것(師手)이 아니라 작가의 마음을 모방(師心)한 것이었고, 그 때의 상태는 ekstasis, 즉 황유(恍游) 체험 상태였다. 元人은 자유 自由는 문자적 의미에서 자연 自然과 같으니, 그들은 모방이라는 제한 속에서 오히려 의식의 자유를 획득했던 것이다. 시대별로 고찰해 보면, 회화의 목표는 정교 政敎(唐까지) ㆍ 사실 寫實(宋) ㆍ 작가의 새로운 조제 調劑(元)로 변화했다. 그러나 문인 사대부나 직업화가이든 궁극목표는 도 道의 실현, 즉 득도 得道였다. 따라서 III장에서는 득도 得道의 방편과 득도의 표출을 살펴보았다. 득도의 과정은 역사적으로, 작가의 의식으로도 중국인의 독특한 變 ㆍ 通 ㆍ 成을 거쳐 이루어졌다. 중국회화의 독창성은 여기에 있고, 조선조 화가 정선의 <금강산도>나 <박연폭포>도 이러한 의미로 이해해야 할 것이다. 그런데, 득도의 마음의 상태를 들여다보면, 천진한 심사(眞思)요, 유회(游) 상태였다. 이것은, 서양미학에서 칸트가 말한 ‘미는 감성과 오성의 유회상태에서 나오고, 숭고미 崇高美는 감성과 이성의 유회상태에서 나오며, 그 마음은 관심 없는 관심 Interesse ohne Interesse인 무관심성을 전제로 한다는 것과 일치한다. 그러나 여백이 이것만으로 이해되는 것은 아니다. 극동아시아인은 고대부터 음과 양의 『주역 周易』에 익숙해, 역설적인 표현인 수묵의 파묵 破墨과 발묵 潑墨을 통해 여백을 창출하였다. 표현 안된, 음화 陰畵와 표현이 된, 양화 陽畵를 자유자재로 볼 수 있고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은 동양인의 이 역설에 기인한다. 동양화에서 여백이 강한 의미를 갖는 것은 이러한 의미들을 이해할 때 비로소 가능하리라고 생각한다. I think that distinction between Oriental painting and Western painting may be marginal space(yue-pai,餘白). This treatise aims at understanding of Far Eastern people's paradox as the first part of "A study on the concept of space in Oriental painting" through reconsideration of characteristics in Oriental painting for the interpretation of marginal space in Oriental painting. However, we can not understand the meaning of Oriental painting until we understand the meaning of 'hua(畵)‘ and 't 'u-hua(圖畵)’. Chang, Yen-YUn (張彦遠) in Tang Dynasty begins his book, 『Li Tai Ming Hua Chi(Some T'ang and Pre-Tang Texts on Chinese Painting)』 which is the first Chinese art history book from the definition of Painting(畵). He says, "Its(that is,) merit is equal to that of (any of )the Six Arts (of Antiquity) and it moves side by side with the Four seasons. It proceeds from the Nature and not from (human invention)" Really, painting was the highst place of human cultures in the T'ang Dynasty. However, he quoted, "Yen(顔延之, 384-456) said that the word t 'u(?) contains three concepts. The first is the representation of principles ?理; the forms of the hexagrams 卦象(of the Book of Changes) are such. The second is the representation of concepts 도식 ?識:the study of written characters has to do with this. The third is the representation of forms, ?形 and this is painting. To Yen, Painting is the representation of forms. In the history of Chinese Painting there were are these three concepts. Without understanding three concepts, we cannot understand the Chinese Painting. It's history began from representation of forms, passed the representation of principles by Wang Wei 王微 in the Six Dynasty and the representation of concepts 도식 ?識:the study of written characters was always written by literati. Until recently we have called a class fine arts a class of Tu Hua ?畵時間 and still painting paper Tu Hua Chi ?畵紙. It says we feel that the two are same. As M. Sullivan called Chinese landscape painting 'symbols of eternity', realm of Chinese painting are enlarged to the realm of symbols or thought. Therefore we must not understand Oriental Painting as the conception of Western Painting. We cannot understand marginal - space not to paint is more meaningful than part to paintwithout understanding of the life and world of the thought of the Orientals. And so in ChapterII, I treated dividing working attitude of Chines painting into two parts, that is. mentality of i-hua 藝畵 which has not changed and aims of painting which have changed from, reality, through official admonition政敎, hsieh-shih寫實, to expression of painter's mind'. Mentality of i-hua is the process which arts search for Tao and the result. Art itself is a reflection of artist's pesonality. As moments of Tao are momentary, methods of it was naturally not able to be 'brush strokes simple and forms satisfy requirements. It is just a painting in Chinese Ink which has many marginal space. Historically, painting proceeded from the representation of forms, ?形 through hsieh-shih寫實, chung-shen-shih-lun 重神似論 which laid stress on spiritual likeness by literati in Nothern Sung Dynasty to tzu-y 自娛which painter pleased himself. Expression of going go to excess in his mind 胸中逸氣 may be eventually Ghang, yen-yuean's proceeding from the Nature(發於自然) and we cany say that definition of painting continues. Though they imitated ancient paintings, they did not imitate their technique but their mind and the situation of the time was ekstasis. Under compression the different race, Yuan, they obtained freedom of consciousness rather in limitation of imitation. Freedom, 自由 is same with the Nature, 自然 in the literal meaning. When we consider periodically, purpose of the painting is changed from official admonition政敎(until T'ang), hsieh-shih寫實(Sung), to expression of painter's mind', that is, new making of the artist. However, all painter's ultimate purpose whether are literati or professional was the realization of Tao 得道. Therefore in chapter III I inquired the methods of the realization of Tao 得道 and expression of it. The process of it was accomplished through Chinese unique pien(change), t 'ung(to be well informed),accomplishment. It is the originality of the chinese painting. We must understand 'Diamomd Mountain' or 'Waterfall Bak -Yun' by Jung Sun in this meaning. By the way, mental situation of realization is genuine thought and the situation of play. This agree with the fact which beauty and the sublime come from the situation of play between knowledge abilities and it's mind is based on 'interest without interest' which Kant said in Western aesthetics. However, we cannot understand marginal space in Original painting as such. Chinese became accustomed with the Book of Changes 周易 of Yin and Yang from the ancient. Because they became accustomed with paradox, they created paradoxical marginal space through paradoxical expression of p 'o-mo 破墨 and p'o-mo 潑墨. We can see Yin-hua which there is not expression and Yang-hua which there are expressions. It originated from an Oriental's paradox. When we understand these meanings, I think, we can understand what marginal spaces have the important meaning in Oriental painting.

      • KCI등재

        고속전철 내·외장재용 알루미늄 6xxx 계열 압출재의 특성 평가

        김기주,원시태 한국기계기술학회 2018 한국기계기술학회지 Vol.20 No.5

        In this study, the whole process of 6xxx series aluminum extruded alloy for high speed train interior and exterior parts are characterized. The mechanical properties, and chemical composition of the case materials were evaluated for the 6063, 6061 and 6N01 alloy profiles and compared to the commercial materials and the evaluation results satisfied the standard. The cast product was extruded using the air slip(AS) casting method and the direct casting(DC) method and these were again heat-treated conditions with T5 or T6. The remarkable point is that the extrusion temperature and pressure of 6061 alloy were somewhat higher than those of other alloys. The reason is that 6061 alloy exhibited brittle fracture due to grain boundary segregation even at the tensile fracture surface and the fact that the product used a billet by the direct casting method instead of air slip one. The mechanical properties were evaluated for the 6063, 6061, 6N01 extruded alloys and the evaluation results were analyzed and satisfied the standard properties.

      • 開明派文紳의 啓導와 民族運動

        金基周 서울敎育大學校 1983 論文集 Vol.16 No.-

        이상에서 반주정과 반패주를 중심으로 Viet-Nam 개명파 문신들의 민족운동을 개관해 보았거니와 여기서 그들의 민족운동의 성격을 검토하는 것으로 결어에 대할까 한다. 반주정과 반패주의 운동 노선의 차이는 이미 졸교에서 밝힌바 있다. 즉 반주정은 불식민지정권의 협력을 얻어 왕정을 타도하고 근대적 개혁을 추진하여 민권을 신장하고 자주의식을 심어 주어 궁극적으로 조국의 해방을 이룩하자는 것이었으나 반패주는 무력투쟁에 의한 불세력의 구축만이 Viet-Nam혁명의 기본임을 주창한 것이다. 특히 반패주의 민족혁명운동의 성격에 대한 논의는 학자들의 관심의 대상이 되어 왔던 것이다. 일견 모순에 찬 운동으로 이해되기 쉽기 때문이다. 그가 일본에서 재야정객이 회(유신회)의 주의가 군주에 있는가 민주에 있는가를 물었을때 우리 회의 목적은 무엇보다도 불인을 구축하여 독립을 회복하는 것이다. 군주인가 민주인가는 아직 생각해 보지 못했으나 이는 별개의 문제이다. 다만 우리나라의 고래의 역사와 오늘날의 민지의 수준으로보아 군주제가 좋다고 본다. 우리 회가 기외후 강저를 회주로 모시는 것도 이 이유때문이다 라고 하고 있다. 그는 그때까지만 해도 독립후의정체에 대해서는 아직 확실한 계획은 없었던 것이며 다만 일본의 외원에 고대하고 있는 그로서는 천황제를 존중하는 일본의 단체를 모방하는 것이 유이하다는 것과 Viet-Nam 각층의 중망을 끌어 모으기 위해서라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다. 그가 일본에서 퇴거당하고 뒤이어 때마침 중국 혁명파들이 신핵혁명의 성공을 거두자 혁명당의 손문 일파와 접촉하여 그들의 지원을 받게 되면서 그의 자세는 군주비판^33)으로 기울어지고 공화주의 정책로선을 취하게 된다. 그의 정책노선의 전환은 상술한 바와 같이 중국혁맹회파와의 교류와 지원이 그 배경이 되었다 하겠으나 그의 생애를 통하여 일관되어 온 목표는 불인을 몰아내고 독립을 회복하는 것이기 때문에 불란서와 대립할 수 있는 세력이라면 어떠한 나라이건 불사하였던 것이다. 그리하여 처음 출양외원의 희망을 일본에 걸고 백인에 대한 황인종의 단결을 호소하는 한편 제국일본의 지원을 얻기 위해서 개몽군주제를 표접하였던 것이며 다음으로 중국공화혁명차에 대해서는 그들의 노선에 쫒아 무력혁명과 민주공화주의로의정책적 전환을 서슴치 않았던 것인데 이것은 당시 시국의 추이와 관련하에 이해되어야 할 것이며 이는 또한 그의 주의 사상의 발전으로 보아야 할 것 같다. 그리고 제1차 대전중 Russia혁명 이후 소련이 반제투쟁을 선언하고 중국 국민당이 공산당과 합작하여 반제반봉건운동이 진전되어 가는 정세속에서 일시 사회주의에도 관심을 갖게 된다. 이러한 그의 활동 노선의 변절은 정책이나 사상적 Ideology의 분별에 앞서 국권회복을 위해서는 외원에 의존할 수 밖에 없었던 약소민족의 전략적인 외교적 방편이었던 것이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그의 이러한 혁명로선을 과도기적인 성격으로서의 한계를 지적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외원과 함께 절박했던 것은 대중의 지대였던 바 그것은 항불운동의 선구인 근왕운동의 실패가 외원과 대중의 적극적인 참여 의식의 결여에 있다고 판단되었기 때문이었다. 그들은 대중의 계몽을 통하여 민지를 개발하고 민기를 진작시켜 대중의 적극적인 지대를 얻기 위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대중의 의지를 결집ㆍ조직화시키지 못하였다. 그들 스스로 대중속에 파고 들어 정치적 조직을 통한 세력의 결집을 위한 전략 수립에 소홀했던 것이다. 즉 개명문신계급이라는 위치에 서서 우매한 대중으로 하여금 자기들의 의식 수준까지올라 오기를 기다렸던 것이다. 그들의 혁명운동의 사상적 기반을 대중속에 뿌리 박지 못하였다는 것이다. 그리하여 개명파문신들에 의한 민족운동은 1920년대 후반에 이르러 공산주의의 침투와 그 세력의 성장을 배경으로 하여 분화되는 반면 공산주의세력이 급속히 신장되는 가운데 1930년대에와서 Viet-Nam 민족운동의 주도권은 공산주의로 옮겨가게 되는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心學, 退溪心學 그리고 『心經附註』

        金基柱 동양철학연구회 2005 東洋哲學硏究 Vol.41 No.-

        본 논문은 퇴계심학과 『심경부주』의 관련성에 대한 해명을 목표로 하고 있다. 퇴계심학을 연구대상으로 설정하고 있는 대부분의 연구자들에게 있어서 퇴계심학에 대한 『심경부주』의 영향은 의심의 여지가 없는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그러나 막상 그 영향은 어떤 것인가를 되물었을 때 그것이 무엇인지를 분명하게 제시하고 있는 연구논문은 사실상 흔치 않다. 퇴계심학과 『심경부주』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에서 무엇보다 먼저 선행되어야 하는 것은 퇴계학과 『심경부주』의 내용에 대한 비교분석이 아니라, '심학'이 '심학'으로 규정되는 '심학'의 본질적 특성이 무엇인지를 확인하는 일이다. 왜냐하면 심학의 본질적 특성이 규명되어야만 퇴계심학 역시 규명될 수 있고, 여기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퇴계심학과 『심경부주』의 관련성 역시 온전히 파악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심학'의 본질적 특성을 '마음으로부터 직접적으로 능동적인 도덕실천 능력을 확인하는가의 여부'(心卽利)에서 찾는다. 이황은 주희의 '마음은 기이다'라는 명제를 '마음은 리와 기의 합이다'라는 명제로 변형시킴으로써, 마음으로부터 주희가 확보하지 못하였던 도덕의 필연성과 능동성을 확보할 수 있었다. 이러한 퇴계심학은 육왕학이나 주륙화회론의 영향에 의해 형성되었다고 하기보다는 ㄴ주자학의 자기 반성으로부터 성립한 것으로 보는 것이 보다 타당할 것이다. 『심경부주』가 퇴계심학의 형성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가라는 물음에 대해서 『심경부주』로부터 확인할 수 있는 것은 한정적이었지만, 최소한 『심경부주』로부터 마음의 주체적 측면, 혹은 육체적 활동에 대한 주재성이 강조되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심경부주』가 심성문제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는 것과 도문학보다는 존덕성의 공부를 강조하고 있다는 사실 역시 충분히 확인되고 있다. 이렇듯 전체적으로 마음과 그 마음의 주재적 역할을 강조하는 『심경부주』의 기본적 경향은 퇴계심학의 형성에 일정부분 역할을 담당했던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explicate the relation between Toegye's Simhak and Xin-Jing-Fu-Zhu. This relation is accepted without any doubt to the investigators who think of Simhak as the objective of their study. But in fact, asked what the influence is, no one suggests what it obviously is, or presents an acceptable evidence data. In the study of the relation between Tcegye's Simhak and Xin-Jing-Fu-Zhu, what is first carried out above all is not the analysis of Xin-Jing-Fu-Zhu but the essential characteristic that defines Simhak as Simhak. It is because Simhak can be defined if the essential characteristic is looked into. Moreover, the relation between Toegye Simhak and Xin-Jing-Fu-Zhu can be also grasped completely. This essay searches for the essential characteristic of Simhak in the respect of 'whether the mind and nature has the active moral ability of practice directly from it (Sim(Mind) is Li) or not.' Toegye assured the necessity and activeness of morality which Chuhee had not guaranteed by transforming the proposition from 'Mind is Ki' to 'Mind is the combination of Li and Ki.' This Simhak of Toegye's is formed through the self reflection of Chuhee's Learning rather than through Yukguyun's and Yangyangming's. On the other hand, the influence of Xin-Jing-Fu-Zhu in the establishment of Toegye's Simhak system does not seem to be absolute and direct, as many investigators has asserted. It is because the effort to ensure the moral necessity and activeness cannot be easily found anywhere from it. Of course what can be identified evidently and easily is that it focuses on the problem of the mind and its nature, but the assertion that Toegye's Simhak is the result of Xin-Jing-Fu-Zhu. is also not fully persuasive. It is because human beings and their mind and its nature cannot help being focused on, so long as the essence of Confucianism lies in the inner accomplishment of morality.

      • KCI등재

        연구논문초록(’81-’90) : 전주 상수도 용수의 유속에 따른 아연 도금강판의 온도 용해에 관한 연구 ( 개방계에서 시편의 회전을 중심으로 )

        김기주,윤정모 한국부식학회 1991 Corrosion Science and Technology Vol.20 No.1

        In an open system, the dissolution of commercially Galvanized steel in flowing Chon-Ju Water Supply at temperature range of 40-90℃ was studied. The results showed that : the dissolution was mainly due to corrosion and erosion attacks of the fluid. In case of comparatively low temperatures (40-50℃) and low flow velocities (below 1,000rpm), the influence of corrosion on it was stronger than that of erosion. But at high temperatures(80-90℃) and flow velocities(1,500-2,500rpm), the results was opposi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