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pH Sensitive Soft Contact Lens for Selective Drug-Delivery

        김근희,김혁정,노혜란 한국고분자학회 2018 Macromolecular Research Vol.26 No.3

        In this study, we evaluated contact lenses as drug delivery media and the effect of tear physiological pH on drug release behavior. Anionic or cationic hydroxyethyl methacrylate (HEMA) lenses were polymerized with either vinylpyrrolidone (VP) or N-isopropylacrylamide (NIPAAm). The pH of artificial tears was prepared as between 5.8 and 8.35. One of common treatments,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HPMC), to dry eye disease was used as a test drug. As a result, drug releases from anionic 100% p-HEMA and p-HEMA-VP lens were both increased with increasing tear pH. However, released drug amounts from cationic the p-HEMA-NIPAAm lens were decreased with increasing pH. In weak basicity (pH 8.03), the p-HEMA-VP (20 wt%) lens swelled resulting releasing drugs 3.5 times more compared to in weak acidity (pH 5.80). On the other hand, the p-HEMA-NIPAAm (20 wt%) lens de-swelled in basic solution resulting decreased drug release compared to in acidic solution. The hydrogel contact lenses showed various physical properties and drug releasing properties including diffusion coefficients in response to ionization reactions between ionic groups in the lens and pH of solution. It suggests that hydrogel contact lens has potential as selective drug delivery media.

      • KCI등재

        안구돌출도와 시기능의 상관관계 분석

        김근희,노혜란 한국안광학회 2015 한국안광학회지 Vol.20 No.3

        Purpose: This study was to find the correlation between exophthalmetry and visual functions. Methods: Exophthalmetry and visual functions of 200 adults without ophthalmophathy and general disease were examined. Exophthalmetry were measured with Hertel's exophthalmometer. Visual functions (myopia, distance exophoria, near exophoria, near point of convergence, near point of accommodation) were measured for three times. Results: The exophthalmetry was 13.59±1.10 mm. Myopia, distance exophoria, near exophoria, near point convergence, and near point accommodation were measured as −2.48±1.91 D, 3.51±1.78 Δ, 5.73±2.44 Δ, 9.63±2.82 cm, and 21.73±10.28 cm. With increasing exophthalmetry, the unaided visual acuity, myopia and astigmatism were decreased. On the other hand, distance exophoria, distance esophoria, near exophoria, near point of convergence and near point of accommodation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while exophthalmetry was increased. Conclusions: The relationship between visual functions and exophthalmetry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It could be used as the clinical criteria for prescription of binocular inspections. 목적: 안구돌출도와 시기능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안질환과 전신질환이 없는 성인 남녀 200명(20~50대 각 50명)을 대상으로 안구돌출도와 시기능을 검사하였다. 허텔 안구돌출계로 안구돌출도를 측정하였고, 근시, 외사위, 내사위, 폭주 근점, 조절 근점 등 시기능 요소에 대한 검사를 3회 반복하여 실시하였다. 결과: 안구돌출도는 13.59±1.10 mm, 근시, 원거리 외사위, 근거리 외사위, 폭주 근점 그리고 조절 근점은 −2.48±1.91 D, 3.51±1.78 Δ, 5.73±2.44 Δ, 9.63±2.82 cm, 21.73±10.28 cm로 나타났다. 안구돌출도가 증가할수록 나안시력, 근시 그리고 난시도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반면 원거리 외사위, 원거리 내사위, 근거리 외사위, 폭주 근점 그리고 조절 근점은 안구돌출도가 증가할수록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결론: 시기능과 안구돌출도의 유의한 관계는 양안시 처방과 검사를 위한 임상적 기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외국인 소비자 국적에 따른 한국 안경 제품 구매에 대한 만족도 조사

        김근희,안효조,전지은,노혜란 한국안광학회 2015 한국안광학회지 Vol.20 No.4

        Purpose: To investigate consumer satisfaction of foreigners with eye-wear products in Korea. Methods: Foreigners (n=106, United State/Canada, Japan, China, or other Asia) who have purchased the products at optical shops in Korea, were volunteered. Satisfaction factors were categorized into 6 divisions (products, price, vision correction, facilities, kindless, description). Results: The most frequently purchased products were eye-glasses (62%) and sunglasses (25%) by foreigners at Korea's optical shops. Quality satisfaction of the products was higher to Chinese and other Asians than to American, Canadian and Japanese. Price satisfaction was higher to Japanese, American, and Canadian than to Chinese and other Asians. Vision correction and facilities satisfaction were appeared relatively low from American and Canadian. Product descriptions and kindness were, in general, lower than other categories to all nationalities. Conclusions: Satisfaction about eyewear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nationality of the foreigner. Based on the various categories of the consumer satisfaction, ethnically customized marketing strategy would be possible to foreigners who stays in Korea. 목적: 한국 안경원 제품에 대한 외국인의 만족도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법: 한국 안경원의 이용 경험이 있는 외국인 106명(미국/캐나다, 일본, 중국, 그 외 아시아 등)을 대상으로 안경원에서 판매 되는 제품, 가격, 시력교정, 시설 그리고 친절도 등을 설문 조사하였다. 결과: 한국 안경원에서 외국인은 안경(62%)과 선글라스(25%)를 주로 구입하였고, 구입 제품의 품질 만족도의 경우 그 외 아시아 국가와 중국이 미국/캐나다와 일본에 비해 높았고, 가격만족도는 일본과 미국/캐나다가 중국과 아시아 국가보다 높았다. 시력 교정과 안경원 시설 만족도는 미국/캐나다인에게서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고 제품 설명 등 친절도는 모든 국적 외국인에게서 대체로 낮게 나타났다. 결론: 한국 안경원에 대한 만족도는 외국인의 국적에 따라 유의하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소비 만족도의 다양한 항목을 바탕으로 국내 거주하는 외국인의 국적별 맞춤 마케팅 전략을 세우는데 기초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클라우드 환경에서 주식 체결 시스템의 저지연 극복에 관한 연구

        김근희,문석재,윤창표,이대성,Kim, Keun-Heui,Moon, Seok-Jae,Yoon, Chang-Pyo,Lee, Dae-Sung 한국정보통신학회 2014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8 No.11

        증권 시스템의 저지연(Low Latency)을 최소화하고 처리 속도 향상을 위해 다양한 기술(Socket Direct Protocol, TCP/IP Offload Engine)이 도입되고 있다. 그러나 고가의 네트워크 장비 지원으로는 속도 개선에 한계가 있으며, 도입 효과 또한 낮은 것이 현실이다. 본 논문에서는 클라우드 환경에서 주식 체결 시스템의 저지연 극복을 위한 SPT(Safe Proper Time) 전송 방식을 제안한다. 이 제안 기법은 커널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CPU 오버헤드를 줄이기 위해 CPI(Cycle Per Instruction)를 최소화하고, 데이터 전송의 적시성을 만족하는 전송 방식이다. To minimize low latency and improve the processing speed of the stock trading system, various technologies have been introduced. However, expensive network equipment has limitation for improving speed of trading system. Also, it is true that there is not much advantage by introducing those kind of systems. In this paper, we propose a low-Latency SPT(Safe Proper Time) scheme for overcoming the stock trading system in a cloud. The proposed method minimizes the CPI in order to reduce the CPU overhead that is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kernel. and this approach satisfies the data timeliness.

      • KCI등재

        정부의 벤처기업 R&D 지원에서의 역선택 가능성에관한 연구 : 정부 R&D 수혜기업과 비수혜기업 간경영효율성 비교를 중심으로

        김근희,곽기호 한국기술혁신학회 2018 기술혁신학회지 Vol.21 No.4

        Recently, government policy focuses on R&D subsidies for venture firms in the early and medium stage. However, due to the ‘asymmetric information’ on those firms, a concern about the possibility of adverse selection of government policy, that is, whether the R&D subsidies are offered to the less-growth potential venture firms is on the rise. Therefore, based on the 「2015 venture firm's survey」 data in Korea, we compared the managerial efficiency of venture firms in manufacturing sectors by dividing them into beneficiary and non-beneficiary groups at government R&D subsidies. We found that the beneficiary groups showed lower managerial efficiency than non-beneficiary groups, even if they are superior to non-beneficiary groups in technological performance. We also observed that the phenomenon involve ‘low managerial efficiency in the beneficiary groups’ is more relevant in mid-high tech. manufacturing sectors. Our findings provide an exploratory empirical evidence of the concern about adverse selection in the selection of R&D subsidies beneficiary groups. Therefore, the government should consider managerial performance as the key criteria for selecting R&D subsidies beneficiary groups, rather than depending on technological performance solely. Furthermore, the government should develop other complementary policies to support financial performance of the groups. Lastly, the government should make those policies attract venture firms with potential to achieve financial performance. 최근 정부의 벤처기업 정책 지원은 창업 초기・중기의 벤처기업에 대한 R&D 지원에 초점을 두고 있다. 그러나 정보의 비대칭성 문제로 인한 역선택 가능성, 즉, 정부 R&D가 과연 성장 잠재력이 높은창업 초기・중기 기업에게 지원되고 있는가에 대한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특히 창업 중기는 죽음의 계곡으로 인해 벤처기업의 생존율이 크게 낮아지는 구간이기 때문에, 정책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되는 우수 벤처기업을 선정하여 지원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2015년 벤처기업정밀실태조사 결과를 활용, 기술집약적 제조업 내 중기 벤처기업을 정부 R&D 지원 수혜기업(이하 수혜기업)과비수혜 기업으로 나누고, 이들의 경영효율성 및 기술・재무성과를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기술집약적 제조업 내 수혜기업은 비수혜 기업에 비해 경영효율성이 낮았으며, 이러한 경향은 중고위기술 제조업에서 더욱 크게 나타났다. 한편, 기술 및 재무성과 분석 결과, 수혜기업은 기술성은 우수하였으나, 성장성, 수익성, 안정성은 열위에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이러한 경향은 중고위기술 제조업 내 세부산업전반에서 발견되었다. 이는 벤처기업에 대한 정부 R&D 지원 시, 역선택 문제가 우려됨을 시사한다. 따라서 향후 정부는 수혜기업 선정 시 경영효율성 및 재무성과를 중요 평가 기준으로 고려해야할 것이다. 또한 기술성이 뛰어난 기업의 경영효율성 및 재무성과를 제고하기 위한 정책과 함께, 경영효율성이뛰어난 벤처기업을 정부 R&D 지원에 유인하기 위한 방법도 마련해야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