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 타투 소유 유무에 따른 부정적 건강행동, 정신건강 및 자아존중감의 차이

        김규랑,명광주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2020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ol.37 No.5

        본 연구는 대학생의 타투 소유자와 비소유자를 대상으로 부정적 건강행동, 정신건강 그리고 자아존중감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서울·경기소재 4년제 대학생 214명으로 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통계패키지 25.0 version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요인분석, Cronbach’s α를 산출하여 분석하였고, 교차분석, t-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타투 유무에 따른 두 집단간의 부정적 건강행동, 정신건강 및 자아존중감에 대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타투의 부정적 속성을 보고 하는 선행연구들과 상반되는 긍정적인 측면의 연구로서의 의미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앞으로 타투를 문화현상으로서 타투를 반영하고 활성화 시켜 시대에 맞는 문신문화를 확립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negative health behavior, mental health, and self-esteem between tattooed and non-tattooed college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14 four-year college student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factor analysis, Cronbach's α, crossover analysis, and t-test were conducted using the 25.0 version of the SPSS statistical package. As a result of the stud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negative health behavior, mental health, and self-esteem between the two groups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tattoos.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it has a meaning as a positive aspect of research contrary to previous studies that report negative properties of tattoo.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in establishing tattoo culture suitable for the times by reflecting and activating tattoos as a cultural phenomenon in the future.

      • KCI등재

        유연근무제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미취학 자녀를 둔 맞벌이 부부 중심으로

        김규랑,Kim, Kyurang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021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Vol.25 No.4

        본 연구는 일-가정양립을 위한 대표 정책 중 유연근무제가 실제 이용자인 맞벌이 부부들에게 미치는 실질적인 효과와 영향에 대한 검토를 바탕으로 유연근무제의 현실적인 문제점을 살펴보고자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미취학 자녀를 둔 맞벌이 부부 3쌍을 대상으로 총 6명의 맞벌이 부모의 유연근무제 경험에 대한 심층 면담이 진행되었으며, 그들이 경험한 긍정적인 효과성과 제도사용의 어려움에 대한 문제점을 파악하고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데이터 분석은 면담을 통해 도출된 자료 속에서 구조화된 틀을 기준으로 자료 전체를 검토하고 영역별 주제를 범주화하여 3개의 상위범주와 9개의 하위범주로 정리하였다. 분석 결과는 '가정에서의 변화', '사회·문화적 시선', '정책 및 사회경제적 변화요구'로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유연근무제 실사용자들의 관점과 목소리를 연구에 직접 반영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향후 유연근무제 제도개선에 당위성과 설득력을 부여하고, 정책 방향 및 지원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 KCI등재

        A Case of Full Mouth Rehabilitation with Immediate Placement and Bilateral Sinus Graft in a Patient with End-stage Renal Disease and Diabetes

        김규랑,주상현,박관수 대한구강악안면임플란트학회 2022 대한구강악안면임프란트학회지 Vol.26 No.1

        Patients with end-stage renal disease (ESRD) and diabetes mellitus (DM) may have difficulties in the rehabilitation of multiple missing teeth with implants owing to high risks of complications such as infection, alveolar bone loss, and bleeding. We report a case of full-mouth rehabilitation with immediate placement of dental implants and bilateral sinus graft in a 50-year-old man with ESRD and DM. The patient received dental implants supporting fixed segmented zirconia bridges with an appropriate occlusal scheme, including immediate dentures. A sinus bone graft was performed using a lateral approach to rehabilitate the pneumatized maxillary posterior edentulous area. Some implants were placed immediately after extraction of the mandibular teeth. Thus, full-mouth rehabilitation was successfully achieved with the timely use of well-supervised treatment protocols.

      • KCI등재

        피부미용 종사자의 그릿이 자기효능과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자기관리의 매개효과 분석

        김규랑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2023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ol.40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manage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rit of skin care workers and its impact on self-efficacy and job performance. Research participants were 344 workers at skin care shop and hospital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CFA), correlation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mediation effect analysis using bootstrapping method using SPSS, AMOS 26.0 Statistical programs. The conclusions drawn through a series of research procedures are as follows. First, the grit of skin care worker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self-management, self-efficacy, and job performance. Second, Self-management of skin care worker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self-efficacy and job performance. Third, self-management of skin care workers was found to have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job performance. Therefore, it is judged that there is an urgent need to apply human resources management and education programs that can increase self-management, self-efficacy, and job performance through cultivating the grit of beauty industry workers.

      • KCI등재

        보육교사가 경험하는 지식·기술 역량 전문성 발달의 어려움에 관한 현상학 연구

        김규랑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3

        This study aims to capture the voice of the actual settings in depth with regard to difficulties of specialty development that are experienced by child care teachers, thereby creating and providing the improvement measures. To this end, th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6 teachers who have 10 ~ 14 years of experience in working at child care settings. As for the analysis strategy in this study, phenomenological study method of Giorgi (1985) was employed.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e conclusion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hild care teachers experienced difficulties in the process of expression of knowledge and technical capabilities for their own specialty development. In this study, for instance, the child care teachers appealed the difficulties that are shown in physical environment,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children, understanding of children, or in the course of planning, executing and evaluating the educational curriculum. Second, the child care teachers are exerting in various aspects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in their specialty development. Third, in order to secure the significance and preparing the alternative measures of the knowledge and technical capabilities for specialty development for solving the difficulties, the child care teachers exhibited an expectation to take a systematic supplement education and to strengthen the qualification standards for being a child care teacher. Moreover, they anticipated that child care teachers would take a better position in society by implementing the specific policies that can protect and support them as a professional workforce. Based on the study findings discussed above, the suggestions and theoretical implication were discussed further for a follow-up study. 본 연구는 보육교사가 경험하는 지식·기술 역량 전문성 발달 어려움에 대한 현장의 목소리를 심층적으로 담아내고, 이를 바탕으로 보육교사의 전문성 발달 어려움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보육현장에서 근무하고 있는 10년 차에서 14년 차의 경력교사 6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분석방법으로는 Giorgi(1985)의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진행되었으며, 본 연구의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들은 물리적 환경이나 교사-유아-유아와의 상호작용, 유아에 대한 이해, 교육과정 계획-실행-평가과정에서 발생하는 어려움을 나타냈다. 둘째, 보육교사들은 전문성 발달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경험하고 있다. 셋째, 보육교사들이 전문성 발달에 대한 지식·기술 역량의 대안적 방안과 의미획득으로 어려움 해결을 위한 기대사항으로 체계적인 보수교육과 보육교사 자격 기준의 강화에 대한 기대를 드러냈다. 본 연구는 보육교사가 경험하는 지식·기술 역량 전문성 발달에 대한 인식에 관한 연구로서 보육교사들이 전문 인력으로 지지받고 보호받는 제도들이 구체적으로 시행되어 앞으로 보육교사에 대한 발전이 있기를 기대하며, 향후 보육교사 전문성을 위한 지원과 보육정책을 설정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