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교육부 1-6차 교육정보화 종합발전방안과 유아교육의 연계

        박은혜(Park, Eunhye),김교령(Kim, Kyoryoung)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어린이연구원 2021 영유아교육: 이론과 실천 Vol.6 No.1

        본 연구는 1996년에 시작된 교육부 교육정보화 계획의 수립 시기와 특징, 추진 목표와 과제를 살펴보고, 제시된 과제 중 유아교육과 직·간접적으로 관련된 과제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1차부터 6차까지 이어진 교육부 교육정보화 종합발전방안을 유아교육이 명시된 직접 과제와 간접 관련 과제로 분석하였다. 간접 관련 과제는 유아, 교사, 사업, 인프라, 행·재정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각 차시별교육부 교육정보화 종합발전방안과 유아교육 관련 과제를 살펴본 결과 평균 52.4%로 과제중 절반 이상이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교육정보화 종합발전방안에 유아교육이 포함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유아교육발전 5개년 계획을 수립할 때도 정보화 영역에 대한 비중이 높아져야 한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둘째, 각 차시별교육부 교육정보화 종합발전방안을 살펴본 결과 직접 과제는 5차와 6차에서 3개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모두 행·재정 영역에 해당되는 것이었다. 반면 간접 관련 과제는 사업과 가장 관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유아교육정보화는 교수·학습방법, 자료개발, 플랫폼 구축과같은 사업 영역에 대한 비중을 높일 필요가 있음을 시사 받을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goals, and tasks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s Master Plan for ICT in Education, which started in 1996, and to reveal the connection between the tasks presented in the Master plan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the 1st-6th plan, the analysis was divided into direct and indirect related tasks. Indirect related tasks were analyzed by dividing into child, teacher, business, infrastructure, and administration and financ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more than half of the tasks were related with an average of 52.4%. Second, the 5th and 6th plans were the highest, with 3 each, but all of them were in the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areas. But indirect related tasks were found to be the most relevant to business. This implies that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proportion of business areas such a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development of learning materials, and platform establishment when implementing ICT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ies.

      • KCI등재

        인구교육 및 유아인구교육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조사

        장민영(Minyoung Jang),김교령(Kyoryoung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1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population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in ECEC teacher education by analyzing perception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Methods For this purpose,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249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t 3 and 4 year universit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td deviation, and performing an independent sample t-test. Results First, 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ook the low birth rate and aging society seriously and thought that population education targeting young children was needed whereas their understanding on population education was rather low. Second, as for the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n the contents of the middle area of population education showed that equality, human rights and the family were found to be high. Third, in the area of human right respect-children’s rights, in the area of family area-various forms of family, in the area of population area-low birth rate, in the area of welfare-support for single parents and grandparents family were found to be the most important contents. Conclus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proposing a direction for early childhood population education by providing basic data. 목적 본 연구는 인구교육 및 유아인구교육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을 분석함으로써 예비유아교사 대상 인구교육 및 유아인구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눈덩이 표집법을 사용하여 3-4년제 대학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 249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들은 저출산·고령사회 문제를 심각하게 보고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인구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한 반면, 유아인구교육에 대한 이해도는 낮게 나타났다. 둘째, 인구교육 중영역 내용의 중요도에 대한 인식을 살펴본 결과, 평등, 인권, 가족의 의미와 변화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인구교육 대영역별 내용요소의 중요도에 대한 인식을 살펴본 결과, 인간존중 영역에서는 아동의 인권 존중, 가족 영역에서는 가족의 다양한 형태, 인구영역에서는 저출산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복지 영역에서는 한부모 및 조손가정 지원 내용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유아인구교육에 대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저출산·고령사회 대비를 위한 유아인구교육 방향을 제안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유아교육기관 원장의 STEAM 교육에 대한 인식 및 요구

        강새아(Saea Kang),김교령(Kyoryoung Kim)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어린이연구원 2024 영유아교육: 이론과 실천 Vol.9 No.1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 원장을 대상으로 STEAM 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알아보고 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 경기, 인천 지역의 유아교육기관 원장 204명을 대상으로 설 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다수의 유아교육기관 원장은 STEAM 교육에 대한 정보를 접한 경험이 있었으나 실제 운영 경험은 절반도 되지 않았다. 또한 유아교육기관 원장들은 STEAM 교육에 대해 전반적으로 이해하고, 유아를 대상으로 STEAM 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효과 또한 높게 평가하고 있었다. 둘째, 유 아교육기관 원장은 STEAM 교육내용으로는 인성교육과 실생활과의 연계를 중시하며, 교육 환경 측면에서는 활동시간의 융통성을 확보하는 것을 요구하였다. 또한 현장 지원을 위해 서는 유아교육기관 원장의 의지가 중요하며, 교사의 전문성 및 참여도 향상을 위한 교사 간 교류의 장을 마련할 것을 요구하였다. 이상의 결과들은 유아 STEAM 교육 현장 적용을 활 성화하기 위해서 유아교육기관 원장의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and demand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directors regarding STEAM education. To achieve this,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204 director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a majorit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directors had encountered information about STEAM education, but actual operational experience was found to be lacking for nearly half of them. Despite this, the directors generally demonstrated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perceived the necessity of STEAM education, and highly evaluated its effectiveness. Secondly, director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integrating character education and real-life connections in the content of STEAM education, suggesting flexible activity schedules to accommodate these aspects.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willingness of directors to apply STEAM education in the field and to facilitate exchange among teachers to enhance their expertise and participation.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necessity of sustained interest and support from directors to activate the implementation of STEAM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settings.

      • KCI등재

        유아교사의 디지털 역량 및 디지털 역량 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

        김교령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22 교육과학연구 Vol.53 No.2

        본 연구는 디지털 역량 및 디지털 역량 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요구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수도권 소재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만3-5세 학급의 유아교사 42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유아교사는 디지털 역량 용어를 인식하고 있었으며, 사회의 디지털화 수준을 비교적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유아교사 자신의 디지털 역량은 보통 수준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디지털 역량 교육 경험은 매우 적었으나, 유아교사들은 교사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디지털 역량 교육이 매우 필요하다고 하였다. 디지털 역량 교육 내용 측면에서는 미래 유아교육의 방향성을 이해하는 동시에 실제적으로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디지털 기술을 다루는 것을 요구하였다. 본 연구는 디지털 역량교육에 대한 현장 교사들의 높은 요구를 확인하고, 디지털 역량 교육을 위한 목표, 내용, 방법, 운영 측면에 대한 유아교사의 요구를 종합적으로 살펴보았다는 데 의의가 있다. 결론적으로 디지털 기반 유아교사의 전문성 강화를 위하여 유아교사의 요구를 반영한 디지털 역량 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and need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digital competence and digital competence education. For this purpose,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424 teachers of 3 to 5 year olds in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located in a metropolitan area in Korea.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early childhood teachers' awareness of digital competence terms and social digitization levels was high. However,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ived their digital competence levels to be average. Second, early childhood teachers had little experience in digital competence education, but said that digital competence education was very necessary to strengthen teachers' professionalism. In terms of digital competence education content, teachers believed such education was required to understand the future direc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o use digital technology in the fiel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onfirmed early childhood teachers’high levels of demand for digital competence education, and comprehensively examined their needs in terms of goals, contents, methods, and operational aspects for digital competence education.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digital competency education based on the need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digital-based professionalism of early childhood teac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