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연극과 영화의 매체 차이에 대한 고찰 : 카잔의 영화 <욕망이라는 이름의 전차(A Streetcar Named Desire)>를 중심으로

        김공숙 문화예술콘텐츠학회 2016 콘텐츠 문화 Vol.8 No.-

        이 글의 목적은 서양에서 희곡의 영화화 과정의 초기에 해당되는 테네시 윌리엄스의 연극 <욕망이라는 이름의 전차>의 영화화의 특 성을 연극과 영화의 매체 비교의 관점에서 고찰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극과 비교 대상은 엘리아 카잔 감독의 동명의 영화이다. 카잔은 윌 리엄스의 <욕망이라는 이름의 전차>를 연출한 인연으로 연극을 스 크린에서 되살렸다. 그는 원작의 희곡에 충실하게 영화화했으나 중요 한 몇 장면에서 영화 매체의 특성을 살려 변형을 가했다. 그것은 작품 의 도입부, 신문 구독료 수금 소년의 등장, 멕시코인 노파의 등장, 스 탠리의 블랑쉬 강간 장면과 결말부 등이다. 연극을 영화화했을 때 매 체 특성상 생략 또는 시각적 이미지로의 변형, 시각적 효과의 극대화 가 필요한 부분이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a playwriter, Tennessee Williams’ play, <A Streetcar Named Desire>, becoming a movie in terms of differences between a play and movie as media. In fact, it is one of the earliest plays becoming a movie in the West. What is compared with the play here is the movie with the same title directed by Elia Kazan. He was also a producer of the play, <A Streetcar Named Desire>. Although he was trying to make it into a movie faithfully to the original, he changed some of the crucial scen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movies as media. The scenes include the lead-in, where the boy collecting newspaper subscriptions appears, where the Mexican old lady appears, where Stanley rapes Blanche, and the ending.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s of media, when a play is turned into a movie, there are some parts needing modifications, for instance, omissions, transformations into visual images, or maximized visual effects.

      • KCI등재

        멜로드라마 모성 캐릭터의 신화원형과 개성화 – <공항 가는 길> 여주인공을 중심으로

        김공숙 고려대학교세종캠퍼스 한국학연구소 2019 한국학연구 Vol.71 No.-

        멜로드라마 모성 캐릭터의 신화원형과 개성화를 융의 원형론과 볼린의 그리스 신화 여신 원형론의 관점에서 탐색했다. 연구 대상인 <공항 가는 길>의 여주인공은 모성의 여신 데메테르 원형을 재현한다. 과도한 보살핌과 돌봄 노동으로 탈진한 워킹 맘, 딸에게 강하게 밀착된 엄마, 부성애가 없는 이기적인 남편, 성숙하고 너그러운 새로운 남성과 교감 하는 것이 특징이다. 그녀는 가부장적 원리에 순응적인 페르소나로 살아오다가, 긍정적 아니무스 원형의 남성과 교류하며 자신의 그림자를 인식하게 되고, 그 남성을 사랑하게 되면서 윤리도덕과 진정한 양심 사이에서 방황한다. 결국 페르소나를 분별하고 그림자를 수용하여 이혼을 결단하지만, 데메테르의 약점인 딸과의 유착에 머무르며 개성화를 유보한다. 하지만 딸과 상징적 재회 후 개성화를 완성하고 성숙한 모성으로 거듭난다. 멜로드라마 캐릭터의 신화원형을 분석한 본 연구가 창작 시 캐릭터 구축에 효과적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the mythological archetype and individuation process of maternal characters in television melodrama. The subject of the study is the heroine of the TV series The Way to the Airport. The method of research is Jung's archetype theory and Bolen's archetype theory, the goddess of Greek mythology. The heroine shows a archetype of Demeter, the goddess of the motherhood of Greek mythology. The figure appears to be communicating with a working mother who has fled with excessive care and care, a mother who is strongly adhered to her daughter, a self-serving, selfish husband, and a mature and generous new opponent man. The heroine lived as a conformist Persona who practiced patriarchal principles. But she recognizes her own Shadow archetype by interacting with a new man. Then she falls in love with a new man, the archetype of the positive Animus, and wanders between the ethics of society and her true conscience. In the end, she decides to divorce by taking off her Persona, accepting Shadows. But she delays individuation by staying in collusion with her daughter, a weakness of Demeter. However, she is symbolically reunited with her daughter, completing her individuation and becoming a mature mother. This study could be used as a basis for the archetype character types needed for creators to build effective characters.

      • KCI등재

        영화 <늑대소년>의 환상성 재현 양상과 의미

        김공숙,김명현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2017 글로벌문화콘텐츠 Vol.0 No.2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fantasy found in a movie, A Werewolf Boy, which was one of the hugest box office hits among romance movies released in 2012 and mobilized the most audience out of romantic movies screened in the film history of Korea. Although the movie reproduced the conventions of the romantic movie genre in the similar way, it gained magnificent commercial success with the monster boy, a human wolf, appearing in it that had been hardly dealt with in the film history of Korea. This movie adopted fairy tale fantasy in literature of fantasy and wonder and is classified into the fantasy, horror, and romance genre. Unlike Frankenstein that is ugly and hideous, the monsteriness of ‘Cheolsu’ in A Werewolf Boy is accepted to people readily as he looks beautiful. The characteristics of fantasy found in A Werewolf Boy can be summed as follows: first, audience accepts ambiguous as well as ambivalent 'fear from strangeness (uncanny)' which the frightening monster delivers as fairly tale fantasy granting the feeling of wonder. Second, the movie establishes fantasy 'beyond reality' to satisfy the desire of agent, that is, the naked face of fantasy. Third, employing the frame story, the movie solidifies fantasy even further through organic connection between the present, past, and the present. Fourth, through nostalgia, the movie realizes fantasy that allows the agent to forget the burdensome present remembering the past as some kind of fantas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has analyzed fantasy found in A Werewolf Boy setting force fantasy that had hardly gained any great success in the film history of Korea before the movie and explored how fairy tale-like fantasy movies contain, reveal, and also relieve the desire of the public, particularly female audience. 본 연구는 2012년 한국의 로맨스 영화 가운데 최고의 흥행작이자 역대 멜로영화 중 최다 관객을 동원한 <늑대소년>의 환상성 재현 양상과 의미를 탐구하였다. <늑대소년>은 멜로영화의 장르 관습을 비껴나가지 않으면서도 그동안 한국 영화에서는 거의 다룬 적이 없는 늑대인간을 등장시켜 상업적으로 성공했다. <늑대소년>은 환상 경이문학의 동화적 환상성을 수용하고 있으며 판타지 호러 로맨스 영화로 분류할 수 있다. 늑대소년 철수는 서양의 괴물인 늑대인간과 프랑켄슈타인의 한국적 변용으로 볼 수 있다. 경계에 선 중간적 존재인 철수의 괴물성은 추악한 외모의 프랑켄슈타인과는 달리 아름다운 소년의 외모로 상쇄되어 공동체에 무리 없이 수용된다. <늑대소년>에 나타난 환상성의 특징은 첫째, 판타지 호러의 섬뜩한 괴물이 전달하는 ‘낯선 두려움’을 경이로운 동화적 환상으로 수용하고 있다. 둘째, 여성 주체의 욕망 충족을 위해 ‘탈현실’의 환상성을 구축하고 있다. 셋째, 액자구조를 활용해 현재-과거-현재를 유기적으로 교차하고 연결함으로써 환상성을 강화하고 있다. 넷째, 노스탤지어를 통해 과거를 환상적으로 기억하게 함으로써 고단한 현재를 망각하게 하는 이데올로기적 환상성을 구현하고 있다.

      • 낭만적 사랑(Romantic Love) 신화의 현대적 해석 : 『트리스탄과 이졸데(Tristan und Isolde)』를 중심으로

        김공숙 문화예술콘텐츠학회 2012 콘텐츠 문화 Vol.1 No.-

        우리가 흔히 대하는 영화, 드라마, 대중가요 등 많은 대중문화의 매 체들은 로맨스 없이는 존재하기 어렵다. 낭만적 사랑은 사랑의 한 형 태이지만, 누군가를 사랑한다는 것을 넘어서‘사랑에 빠져 있는’아주 특별한 심리적 현상이다. 본 논문은 오늘날 남녀의 모든 사랑하는 관계에서 가장 강력한 영향 을 발휘하는 낭만적 사랑의 본질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낭만 적 사랑 신화의 원형적 요소를 가진 중세의『트리스탄과 이졸데』를 융 (Carl Jung)의 심리학의 관점에서 분석했다. 낭만적 사랑은 중세 기사와 귀부인의‘궁정연애’에서 유래했다. 낭 만적 사랑은 남성(또는 여성)이 지닌 내면의 반대 성인 아니마(또는 아 니무스)의 투사 때문에 발생한다. 아니마의 투사를 통해서 일어나는 낭만적 사랑은 종교적 체험과 흡사하다. 낭만적 사랑은 항상 자신이 투사하는 것, 자신의 기대와 환상을 향해 있기 때문에 결국 다른 사람 을 향한 사랑이 아니라 자신을 향한 사랑이다. 낭만적 사랑 신화는 오늘날 현대인의 연애와 결혼에 매우 강력한 영 향력을 미치고 있다. 그러나 투사가 거두어졌을 때 발생하는 부작용- 높은 이혼율- 또한 만만치 않다. 이는 낭만적 사랑의 특성을 알지 못 해서 일어나는 불행이다. 우리가 낭만적 사랑의 실체를 안다면 낭만적 사랑을 보다 차원 높은 인간적인 사랑으로 진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낭만적 사랑은 상대방에 대한 사랑이 아닌 자신의 내면에 대한 사랑이 라는 한계를 분명히 알아야 한다. 개개인이 가지고 태어난 원형적 잠 재력을 온전히 성취하기 위해서 진정으로 자신이 누군가를 발견하는 자기실현, 즉 그 과정으로써‘개성화’가 필요하다. 낭만적 사랑에 빠져 있다면 그것이 끝나는 순간이 바로 상대를 진정으로 사랑하기 시작할 수 있는 때임을 깨달아야 한다. Popular culture that involves films, dramas and pop songs to which the public is usually exposed is hardly appealing to them without having romance in it. Romantic love is a sort of love and a quite special psychological phenomenon that is‘falling in love,’not merely loving someon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nature of romantic love that had the most powerful impact among different kinds of love between man and woman. It’s specifically meant to analyze the work of the Middle Ages titled‘Tristan und Isolde’from the perspective of Carl Jung’s psychology. This work includes the archetype of a myth of romantic love. Romantic love originated from courtly love between knights and noble women in the Middle Ages. That is generated by the projection of anima(or animus) that is the internal opposite sex of man or woman. Romantic love that stems from the projection of anima is very similar to religious experience. Romantic love is toward someone whom one projects, and is built on his or her own expectation and fantasy. So that is love for oneself, not for someone else. Nowadays, myths of romantic love exert a very strong influence on modern people’s love and marriage, but it produces great side effects - a high rate of divorce - when the projection is withdrawn. That is unhappiness that happens due to ignorance of the characteristics of romantic love. If modern people know the substance of romantic love, they will be able to sublime it into lofty, humanistic love. They must clearly be aware of the limitation of romantic love, which is that it is love for their own inside, not for those whom they think they love. They should achieve self-realization to exert their native archetypal potentials, and they are in need of‘individuation’to make it happen. If one is in romantic love, he or she should realize that he or she cannot truly love the object of his or her love until the romantic love comes to an end.

      • KCI등재

        <덴동어미화전가>의 문화콘텐츠적 가치와 문학관광 콘텐츠화 방안

        김공숙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9 嶺南學 Vol.0 No.68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ulture content values and possible uses of “Song of the Mother of a Burned Boy at the Flower Festival”(Dendong Eomi Hwajeon’ga), which is a woman's story in Bibong Mountain, Seunheung, Yeongju, Gyeongbuk, towards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First of all, the narrative structure and character images of Dendong Eomi Hwajeon’ga are examined with its modern implications emphasized. 'Dendong Eomi Hwajeon Noli' is a traditional ground play and a major performance content of Yeongju based on the source material of Dendong Eomi Hwajeon’ga. Its structure and features are analyzed in this study with the culture content values of Dendong Eomi Hwajeon’ga investigated accordingly. In the following sections, prerequisites of utilizing Dendong Eomi Hwajeon’ga for literary and tourism contents are presented along with the spatial organization and program of ‘Dendong Eomi Hwajeon’ga Literary Museum.’ 'Hwajeon Noli,' which is, a traditional flower-pancake folk game, depicted in Dendong Eomi Hwajeon’ga was held around Bibong Mountain in Sunheung, Yeongju. A permanent concert hall is soon to be established in Sunheung solely for 'Dendong Eomi Hwajeon Nnoli.' Tourism contents will be more diversified if the folk game performance is presented along with a tour in ‘Dendong Eomi Hwajeon’ga Literary Museum.’ Implications of this study include the following: First, this study contributes to raising awareness of the culture content values of Dendong Eomi Hwajeon’ga from Yeongju which is the highest level 'naebang gasa.' Second, this study proposes ways to enhance economic values Dendong Eomi Hwajeon’ga particularly regarding how to utilize it as a local cultural resource. Third, this study contributes to values of 'naebang gasa,' particularly those of traditional flower-pancake songs as well as the pride among local residents. 이 연구는 경북 영주 순흥 비봉산을 배경으로 한 조선 후기의 내방가사 <덴동어미화전가>의 문화콘텐츠적 가치와 문학관광 콘텐츠화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덴동어미화전가>의 문화콘텐츠적 가치를 살펴보고, <덴동어미화전가>를 원천소재로 한 경북 영주의 대표 공연콘텐츠인 마당놀이 <덴동어미 화전놀이>를 분석했다. 그리고 <덴동어미화전가>의 새로운 문화콘텐츠화 방향으로 ‘덴동어미화전가 문학관’의 공간 구성과 프로그램을 제안해보았다. 덴동어미는 거친 운명에 휘둘리더라도 끝까지 굴하지 않는 하층민의 끈질긴 생명력을 지니며 미래의 희망을 잃지 않는 낙천성을 지닌 인간상이다. 덴동어미의 이야기는 우리에게도 충분한 공감과 감동을 전달한다. 영주 순흥면에 조성되는 한국문화테마파크에 마당놀이 <덴동어미 화전놀이> 상설공연장이 건립될 예정이다. <덴동어미화전가>를 단순히 마당놀이 콘텐츠 관람으로만 끝낼 것이 아니라, ‘덴동어미화전가 문학관’을 만들어 공연과 문학관 체험을 병행하게 한다면 관광의 내용이 더욱 풍부해질 수 있을 것이며, 지역의 문화적 정체성 확립에도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드라마 <나의 아저씨> 서사에 나타난 연민의 감정: 마사 누스바움의 연민 이론의 관점에서

        김공숙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23 다문화콘텐츠연구 Vol.- No.45

        드라마 <나의 아저씨> 서사에 나타난 연민의 감정을 마사 누스바움의 연민 이론으로 분석했다. 이를 위해 주인공 박동훈과 이지안이 처한 고통의현실과 원인을 파악하고, 이들이 수치심과 자기혐오를 넘어 자기연민에 도달하는 과정, 이웃을 통한 연민 감정의 확장과 실천의 과정을 살펴보았다. 박동훈은 인간의 본질적인 취약성을 이해하는 ‘분별 있는 관찰자’로서 이지안에게 공감하고, 이지안의 고통의 ‘심각성과 부당함’을 판단해 연민의 감정을 느낀다. 그리고 그녀의 ‘핵심역량’의 부재를 파악해 ‘역량접근법’으로 연민의 윤리를 보여준다. ‘상호의존성과 평등성’의 가치에 기반한 ‘행복주의적판단’으로 연민을 실천에 옮기는 것이다. 이지안 또한 관찰자로서 박동훈의인간적 취약성과 고통에 대해 심각성과 부당함을 판단하고, 연민의 감정으로 박동훈을 위기에서 구한다. 이들은 서로에게 공감하며 위안을 얻고, 수치심과 자기혐오에서 벗어나 자기연민에 도달한다. 이들의 연민은 후계동 선후배 이웃들을 통해 확장된 모습으로 나타난다. 연민은 <나의 아저씨> 서사의 핵심적 감정으로 작용하며, 인간존재의 불완전성과 유한성을 극복하고자 한 이 작품의 궁극적 지향점이라 할 수 있다. <나의 아저씨>는 연민의서사를 상상력으로 탁월하게 구현한 결과, 한국은 물론 뒤늦게 이를 접한글로벌 시청자에게까지 커다란 호응과 지지를 얻었다고 할 수 있다. The emotion of “compassion” in the narrative of the TV series My Misterwas analyzed with Martha ussbaum's theory of compassion. To this end, thereality and cause of the suffering of the main characters Park Dong-hun andLee Ji-an were identified, the process of reaching self-compassion beyond shameand self-hatred, and the process of expanding and practice of compassionthrough neighbors were examined. Park Dong-hoon sympathizes with Ji-an as a ‘judicious spectator’ whounderstands the essential vulnerability of humans, and feels compassion by‘judgement of seriousness’ and ‘judgment of nondesert’ of Ji-an's pain. Andby grasping the absence of her ‘core capabilities’, she practices the ethics of compassion through the ‘capabilities approach’. This is the result of puttingcompassion into practice with a ‘eudaimonistic judgment’ based on the valuesof ‘interdependence and equality’. Lee Ji-an, as a spectator, judge the seriousnessand nondesert of Dong-hun's human vulnerability and suffering, and savesDong-hoon from danger with a feeling of compassion. They sympathize witheach other, find comfort, and reach self-compassion, escaping from shameand self-hatred. Their compassion appears in an expanded form through theirsenior and junior neighbors in Hugye-dong. Compassion acts as a key emotion in the narrative of My Mister, and canbe said to be the ultimate goal of this work to overcome the imperfectionand finitude of human existence. As a result of excellently embodying thenarrative of compassion with imagination, My Mister received great responseand support from not only Korea but also global audiences who came acrossit belatedly.

      • KCI등재

        K-드라마 팜 파탈 캐릭터의 원형성 - <미스티> 여주인공을 중심으로 -

        김공숙 한국문화융합학회 2023 문화와 융합 Vol.45 No.4

        The archetype of the femme fatale character of Go Hye-ran, the heroine of the K-drama Misty, was analyzed by applying the Greek mythology archetype theory of the Jungian School of Bolen and the discussion of the femme fatale character in literature. A femme fatale is a female type that maximizes the negative aspects of the archetype of the goddess Aphrodite. Misty shows the tragedy that can happen when an goddess Aphrodite-archetypal woman rushes for her desire through the modern success-oriented femme fatale Go Hye-ran. She reproduces the archetype of femme fatale as a beautiful and menacing villainess, an unknown woman wrapped in a veil, and the incarnation of narcissistic desire. The femme fatale's counterpart is an immature and weak male type. Lee Jae-young is analyzed as the archetype of Ares, the goddess Aphrodite's lover, Myung-woo Ha as the archetype of Hephaestus, the husband chosen by Aphrodite, and Tae-wook Kang as the archetype of Apollo. Go Hye-ran can be said to be a true femme fatale in K-drama, which completed Misty as an archetypal drama by embodying femme fatale characters in myths and classics in a modern way.

      • KCI등재

        드라마 <별에서 온 그대>의 『시학』적 플롯과 특징

        김공숙 한국디지털영상학회 2022 디지털영상학술지 Vol.19 No.2

        The narrative of the TV series My Love from the Star was analyzed through a plot discussion of Aristotle's Poetics to find out its characteristics. The elements of the plot of Poetics in this narrative are as follows. ‘Beginning’ is based on past coincidences as the cause of the current fateful event. In other words, it is starting with a focus on now/here rather than a story by temporal order. ‘Middle’ mimics the unity of the action of achieving eternal love as the main plot and sub plot are arranged in organically connected events. As the conflict amplifies, there is a reversal of situation and recognition. In the process, pity and fear arise, which gives us catharsis. In ‘End’, the twist of fate combined with enlightenment seems to resolve the conflict and stop the narrative. This is the process of ending the cause and effect with an inevitable ending, from conflict to resolution, and from unhappiness to happiness. The creative plot elements of this narrative are as follows. First, plot events are constructed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fantasy protagonist, and happy ‘endings’ according to genre customs are transformed. Second, prologue, epilogue, and chorus are used as elements of plot, and the interview format is plotted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eaker of the epic poem. As a result, the reality effect of fantasy fictional narratives is enhanced. Controversy still persists over whether TV series meet artistic values and aesthetic standards. However, the universal principle of ‘Drama’ creation as Poetics refers to applies equally to popular TV series dramas. The creative transformation of the plot in the narrative of My Love from the Star can also be said to be the result of ‘familiar but unfamiliar novelty’ exerted under the influence of Poet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