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내산 여주의 이화학적 특성 및 생리활성

        강재란(Jae-Ran Kang ),강민정(Min-Jung Kang),김경화(Gyeong-Wha Kim),신정혜(Jung-Hye Shi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8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7 No.3

        국내산 여주에 대한 기초자료 확보를 위하여 함양산, 정읍산, 강진산 건여주의 영양성분 및 생리활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산지별 건여주 3종의 일반성분을 분석한 결과 수분함량은 강진(6.60%)> 정읍(5.81%)> 함양(4.35%) 순으로 유의하게 높았고, 회분은 산지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반면 조단백 함량은 강진(17.88%)> 함양(16.25%)> 정읍(13.66%) 순으로 높았고 무기물의 총량은 함양산> 정읍산> 강진산 순으로 높았다. 무기물은 산지별 여주 3종 모두 K이 가장 많고 두 번째로 P이 많았으며, Mg, Ca, Na이 다량 함유되어 있었다. 산지별 건여주 3종에 물, 50% 에탄올 및 에탄올을 각각 가하여 추출한 추출물의 주요 성분과 생리활성을 비교하였다. 환원당 함량은 정읍산에서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모든 산지별 여주에서 물> 50% 에탄올> 에탄올 순으로 높은 함량이었다. 총 폴리페놀, 항산화 활성 및 xanthine oxidase(XO) 저해 활성은 공통적으로 함양산이 정읍산 및 강진산 추출물들보다 유의적으로 높았으나 추출 용매에 따른 활성 차는 실험 항목별로 상이하였다. α-Glucosidase 저해 활성은 정읍산> 강진산> 함양산 순이었고, 추출용매 중의 에탄올 비율에 비례하여 저해 활성 또한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해보면 산지별 여주의 총 폴리페놀, 항산화 활성 및 XO 저해 활성은 함양산이, 환원당 함량과 α-glucosidase 저해 활성은 정읍산이 여타의 산지별 여주보다 높으며, 이들 유효성분의 활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시료의 추출 용매는 항목별로 상이하여 이와 관련하여 더욱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dry bitter melons (Momordica charantia L.) harvested from different regions (Hamyang, Jungeup, and Gangjin). The moisture content in the dry bitter melons occurred in the order Gangjin (6.60%)> Jungeup (5.81%)> Hamyang (4.35%), and the ash content in all three regions ranged between 8.55∼9.31%. The crude protein content in dry bitter melons occurred in the order Gangjin (17.88%)> Hamyang (16.25%)> Jungeup (13.66%), while the total minerals content occurred in the order Hamyang> Jungeup> Gangjin. Among the minerals, K content was the highest in all three regions, and P, Mg, Ca, Na content were higher than other minerals in bitter melons from different regions. The level of reducing sugar was significantly higher in dry bitter melons from Jungeup than from other regions. In addition, the reducing sugar content of extracts of bitter melon from different regions differed significantly as follows: water> 50% ethanol> 100% ethanol.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antioxidant activities, and xanthine oxidase (XO) inhibition activity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dry bitter melons from Hamyang than other regions, and these activities were not dependent on the nature of the extraction solvent. The α-glucosidase inhibition activity occurred in the order Jungeup> Gangjin> Hamyang, and increased in direct proportion to the ethanol ratio of the extraction solvent. Based on the results, distinct tendency were not found in the major components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bitter melon according to the origin and extraction solvent. However,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XO inhibition activity were well correlated with total polyphenol content, while the reducing sugar and 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had a low correlation with total polyphenol content.

      • KCI등재SCOP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