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터넷 “본인확인제” 조항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위헌결정 연구: 2010헌마47, 252(병합) 결정을 중심으로

        김경호 ( Gyong Ho Kim ),이서현 ( Seo Hyeon Lee ),현성미 ( Sung Mi Hyun ) 제주대학교 법과정책연구소 2013 法과 政策 Vol.19 No.1

        인터넷 실명제가 게시판 이용자의 표현의 자유를 사전에 제한하여 의사표현을 위축시키고 그 결과 헌법으로 보호되는 표현까지도 억제함으로써 민주주의의 근간을 이루는 자유로운 여론 형성을 방해하여 청구인의 표현의 자유, 개인정보자기결정권, 언론의 자유 등 기본권을 침해한다는 것이 헌재 결정의 요지이다. 본 연구는 인터넷 ``본인확인제``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위헌결정이 갖는 온라인 표현의 자유 측면에서의 함의를 분석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인터넷 실명제에 대한 헌재의 결정을 포함하여 헌재가 어떠한 기준을 적용하여 위헌결정에 이르렀는지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온라인상에서의 표현의 자유에 미치게 될 영향을 연구한다. 익명표현은 국가권력이나 다수의 의견에 대한 비판적 사상이나 의견을 보복의 두려움 없이 표현할 수 있게 하는 표현의 자유의 핵심이다. 실명제가 온라인상의 익명표현으로 인한 폐해를 줄이고자 하는 정당한 목적을 갖고 있다 하더라도 익명표현의 기회를 제한하는 것은, 헌재의 결정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과잉금지 원칙을 위반하여 헌법상 용인될 수 없다. Korean Constitutional Court ruled that the real-name policy severely chills users` constitutional rights of freedom of expression by forcing them to give up their right to speech anonymously. The Court further said that anonymous expression is guaranteed under the constitutional right of freedom of expression. The policy not only hinders the building of public opinions but also infringes individual`s right to control their personal information, the Court added. The article analyzes the Constitutional Court`s decision and draws a meaning of the ruling with the perspective of online freedom of expression. Particularly, it studies the rationale behind the ruling by examining the standards the Court applied. The study finally attempts to measure the influence of the decision to online freedom of expression in general. As the essence of freedom of expression, anonymous expression allows individuals, especially political minorities, to express critical opinions or thoughts against state power or majority opinions. Even though the real-name policy has a legitimate purpose to reduce harmful consequences in cyberspace steamed from anonymity, the restriction to express anonymously is substantially overbroad and therefore is unconstitutional.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범죄보도로 인한 인격권으로서의 초상권 침해에 관한 연구: 언론과 수사기관의 책임을 중심으로

        김경호(Gyong Ho Kim)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04 언론과 사회 Vol.12 No.2

        범죄보도가 사회적 일탈행위에 대한 경계심을 일깨우고 이에 대한 대책을 제시하며, 더 나아가 이러한 범법행위를 예방하는 기능을 수행하지만, 이것이 범죄협의자의 보호받아야 할 인격적 권리에 대한 침해를 정당화될 수 없다. 범죄보도로 인한 초상권 침해의 위법성이 조각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사유를 충족시켜야 할 것이다. 첫째, 초상권을 침해하는 언론보도의 내용이 공익과 관련된 것으로 오로지 공익을 위한 것이어야 한다. 둘째, 초상보도의 초점을 범죄 자체에 두어야 한다. 셋째, 초상보도의 내용이 진실해야 한다. 만약 진실의 증명이 없는 경우에는 진실이라고 믿을 만한 상당한 이유가 있어야 한다. 이 밖에 취재와 보도과정의 적절성, 취재대상의 신분 등도 위법성 조각사유의 주요한 기준으로 포함되어야 한다. While media coverage of crimes, without any doubt, has contributed to promote public awareness about the seriousness of crimes, and to proposing resolutions to the problems, it does not necessarily justify media infringements of the likeness right in the course of newsgathering. There has been a controversy over to what extent the media's right to justify the infringements of privacy and likeness right. To be entitled to constitutional protection, the coverage should not only deal with matters of legitimate public concerns, but also focus on crime itself. Furthermore, the coverage should have convincing evidence of truth, or at least strong believability of the crime.<br/> The police publicity of suspects' personal information should take into account a number of facets including: ① the public interest of the content, ② the purpose and need of the publicity, ③ the objectivity and accuracy of the publicity, and ④ the method of publicizing. In short, the media coverage of crime needs to comply with the standards of newsgathering and reporting in order to avoid potential damages. As well, when using press release of the police, the media ought to follow thorough fact-finding procedures in verifying the truth of the story.<br/> Crime coverage should not be merely restricted to legal judgments, but consider ethical or moral responsibilities. The undermined credibility caused by unethical newsgathering and reporting practices could be even more fatal than civil and criminal liability. Respect for human rights of suspects is, therefore, critical to enhancing media credibility. Codes of ethics require the media not to disclose suspects' private information until the court reaches its final decision. The codes also mandate to take a cautious approach in publicizing the personal information of related families. Moreover, the ethical standards stipulate that the media should not take photos or air pictures and images of private figures without consent. Such codes of conduct are believed to conform with the legal judgments. Media practices in compliance with the ethical codes preclude both legal threats and ethical breaches.

      • KCI등재

        후보자 검증을 위한 의혹제기와 후보자비방죄의 위법성조각 판단 기준에 관한 연구: 대법원 판결을 중심으로

        김경호 ( Gyong Ho Kim ) 한국지역언론학회 2013 언론과학연구 Vol.13 No.3

        본 연구는 대법원이 ‘후보자비방’과 ‘합법적인 검증’의 차이를 어떻게 판단하는지에 대해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대법원이 어떠한 기준을 적용하여 후보자비방죄의 성립 여부를 판단하는지, 법원이 제시한 후보자비방죄의 위법성조각 기준에는 어떠한 특성이 있는지 등을 분석한다. 공공의 관심사에 해당하는 사안에 대해 진실한 사실을 적시하는 행위를 후보자비방죄로 처벌하는 것은 후보자에 관한 유권자의 알 권리와 표현의 자유를 근본적으로 제한하는 것이다. 선거과정에서 후보자 검증을 위한 표현의 자유와 유권자 알 권리를 보장하기 위해서는 대법원의 입장의 변화가 요구된다. 진실한 사실을 적시한 경우를 처벌하는 외국의 입법례를 찾아볼 수 없다는 점, 후보자비방죄를 폐지해야 한다는 주장이 타당성을 얻고 있다는 점, 허위의 사실도 표현의 자유의 보장에 포함시켜야 한다는 헌재의 판결이 있다는 점 등도 후보자비방죄의 위법성조각과 관련하여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은만큼 대법원은 이러한 사정을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 선거문화의 성숙도를 참작하여 후보자비방죄의 폐지까지는 아니더라도 위법성조각을 규정하고 있는 단서조항에 대한 해석을 보다 넓게 함으로써 후보자의 공직수행 적격을 합법적인 테두리에서 보다 적극적으로 검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It is extremely difficult to find out, in a short election campaign period, whether a candidate is fit to be an officer. The only means to test the candidate`s fitness is the candidate verification process. Raising allegations may constitute a slander under the Sec. 251, Election Law. How far the verification be allowed becomes a crucial element in the discussion of freedom of expression. This study analyzes how the Supreme Court determines lawful verification and illegal slander. Especially, it studies what reasonings the Court has applied to the cases and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asonings. The results reveal that the biggest difference between common libel cases and slander cases is the purpose of an allegation to be considered as the upmost important standard in determining illegality of statement of facts. The research further found that matters of public interests and truthfulness of facts still function as determinative factors in both areas. Expressions of allegations to verify the fitness of a candidate for office entitles less scope of expression than that of libel cases. It is because of the Court`s position in balancing the two public interests; protection of freedom of political expression and guarantee of fairness of election. In addition, the Court`s judgment that mere recognition of the purpose of slander is enough to prove the purpose of slander. If freedom of expression to verify candidates is to be enhanced, the Court ought to change its position towards raising allegations.

      • KCI등재

        SNS상에서의 표현의 자유와 관련 판결에 나타난 특성 연구

        김경호(Gyong Ho Kim) 한국언론법학회 2014 언론과 법 Vol.13 No.2

        본 연구는 SNS상에서의 표현의 자유와 관련 판결에 나타난 특성을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SNS상에서 표현의 허용범위를 어디까지 허용하고 있는지, SNS의 매체적 특성을 재판부가 어떠한 시각으로 보고 있는지 연구한다. 나아가 인터넷과 SNS의 매체적 특성을 구분하여 판결을 달리하고 있는지 분석한다. 연구결과 SNS의 매체적 특성과 SNS상에서의 표현의 자유를 다루고 있는 판결은 소수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는 첫째, 법원이 SNS의 매체적 특성을 인터넷의 매체적 특성과 구분하지 않아 SNS 판례가 인터넷 판례에 포섭되었고, 둘째, SNS를 통한 상시 선거운동을 허용한 헌재결정 이후, SNS상에서의 표현에 대해 폭 넓게 표현의 자유를 인정해줌으로써 기소의 가능성이 낮아졌으며, 셋째, SNS상에서 자신의 신분을 명확하게 밝히고 친구 맺기나 팔로워가 되는 등의 행위를 하기 때문에, 자신의 신분이 노출될 것을 두려워한 나머지 인격권 침해의 가능성이 있는 표현을 자제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SNS의 매체적 특성이라 할 수 있는 ‘전파성’과 ‘공개성’은 인터넷 매체의 ‘의사표현의 신속성’과 ‘확산성’과 교집합을 이룬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교집합 영역 밖에 SNS의 사적 구술 공간적 성격이 있다는 점도 감안해야 한다. SNS의 영향력에 대한 규제는 행정 권력에 의한 표현의 자유에 대한 직접적인 내용규제가 될 뿐만 아니라, 규제를 두려워한 나머지 이용자 스스로 조심할 수밖에 없는 상시적인 자체검열로 이어질 수 있다. 표현촉진 매체가 아니라 표현위축 매체로 변질될 가능성도 전혀 배제할 수 없다. 참여와 소통을 가능케 하는 SNS는 사상의 자유시장에 가장 근접한 매체적 특성을 갖고 있다. 그럼에도 SNS상에서의 ‘표현의 자유의 보장’과 ‘규제’라는 이상과 현실 사이의 간극을 줄이는 것은 여전히 난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court decisions on freedom of expression on Social Networking Services(SNS). The paper aims to study the line drawn by the court between freedom of expression and regulation. It not only examines the perspectives of the court 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of SNS but also study whether the court has adopted a different standard in determining the illegality of an expression on SN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show that there are few court cases on freedom of expression on SNS. The reasons are as follows. First, SNS cases are included in Internet cases due to the fact that the court does not differentiate SNS cases from Internet cases. Second, the possibility of prosecution has been lowered since the Constitutional Court allowed the election campaign on SNS at ordinary times. Third, users refrain from expressions, which may cause infringement of others" rights, because they fear the disclosure of their identities. Normally, SNS users make their names public. The characteristics of SNS, ‘expandability’ and ‘openness’, form an intersection with ‘the immediacy of expression’ and ‘expansibility’ of the Interent. Yet, it should be remembered that there private speech-nature space exists outside the intersection. The check on the influence of SNS is surely a content-based regulation and would chill SNS speech. In addition, such censorship may transubstantiate the expression promotion nature of SNS into the expression suppression nature. SNS is deemed to have medium characteristics most approximal nature to the market of freedom of expression. Nevertheless, reducing the gap between ‘the guarantee of freedom of expression’ and ‘regulation’ still remains a brainteaser.

      • KCI우수등재

        몰래카메라를 이용한 취재와 인격권의 침해에 관한 연구

        김경호(Gyong-Ho Kim) 한국언론학회 2003 한국언론학보 Vol.47 No.4

        The use of hidden cameras as means of newsgathering should receive constitutional protection for freedom of the press and the right to know. If information were cut off at its source, news cannot exist and press freedom could be severely chilled. However, the right to gather news does not include illegal and ethically questionable media exercises. The study proposes a rule for balancing the two conflict interests by comparing Korean and US courts reasonings. Balancing must take into consideration the issue of public interests involved, the availability of alternative newsgathering methods, and the practice of journalistic standards.

      • KCI등재

        명예훼손 관련 보도 특성에 관한 연구

        김경호(Gyong Ho Kim) 한국언론법학회 2011 언론과 법 Vol.10 No.1

        본 연구는 2001년도부터 2010년도까지 동아일보, 한국일보, 한겨레신문의 명예훼손 관련 보도의 추이와 특성을 분석했다. 구체적으로 지난 10년간 명예훼손 관련 보도에 있어서 연도별 추이는 어떠한지, 각 신문사간 보도 특성에 차이는 없는지, 언론보도에 나타난 명예훼손 양태는 어떠한지 등에 대해 초점을 맞추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전체 분석기간 동안 세 신문이 4300건의 명예훼손 관련 기사를 보도했는데, 이는 10년 동안 매일 1.2 건의 기사를 게재한 것과 같으며, 개별 신문마다 2~3일에 한 번꼴로 명예훼손과 관련된 보도를 한 것으로 해석된다. 같은 기간 세 신문이 1300건의 사생활 침해, 450건의 초상권 침해 관련 기사를 보도한 것에 비하면 명예훼손 관련 보도가 다른 인격권침해 관련 보도보다 수 배 많았음을 알 수 있다. 비중 있는 빈도/프레임으로 명예훼손 관련 보도를 했다고 할 수 있다. 정치적 이슈와 관련된 명예훼손 내용들을 스트레이트 기사로 전달하는 프레임을 신문들이 선호했던 것으로 분석된다. 분석대상 기간 전체를 관통하는 지속적이고 일관된 보도 패턴은 찾아보기 어려웠으나 초반 높았던 보도 빈도가 중반에 낮아졌다가 후반에 들어서면서부터 다시 높아지는 마치 “W”자 형에 가까운 흐름을 보였다. 명예훼손 관련 기사는 세 신문사 모두 주로 사회면과 종합면에 집중 배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출도가 가장 높은 1면에도 7% 정도의 관련 기사를 게재하고 있으며, 기사의 유형은 스트레이트 뉴스가 주류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기사의 길이는 700자에서부터 1500자 사이에서 작성되는 비율이 높았고, 칼럼이나 해설, 기획기사 등 장문으로 간주되는 2000자 이상의 기사도 전체기사의 약 5.7%에 이르고 있다. 기사의 내용별 분류를 보면, 명예훼손 행위에 대한 고소, 고발 등의 실제 법적대응과 관련된 기사 건 수가 가장 많았고, 법적대응을 강구하겠다는 내용을 보도하는 기사가 뒤를 이었다. 명예훼손의 유형과 관련해서는 언론보도 등 출판물에 의한 명예훼손 빈도가 가장 높았고, 정치인들의 상호비방이나 의혹 제기 등과 관련한 명예훼손 보도 건 수가 뒤를 이었다. 명예훼손의 원인으로는 허위사실 유포나 추론에 의한 언론보도 혹은 의혹제기 건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명예훼손 당사자의 신분을 살펴보면, 정치인/정당, 언론인, 일반인, 연예인 등 거의 모든 직업군의 사람들이 포함되어 있다. 특히 정치인/정당은 피해자이면서 동시에 가해자로 묘사되고 있는데 이는 정치인들 간의 공개 비난과 의혹제기 등이 많은데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The research analyzed news articles about defamation, especially articles from Korea"s daily newspapers including Dong-a Ilbo, Hankook Ilbo, and Hankyoreh published from 2001 to 2010. The study aimed to find if any unique reporting pattern exists both as a whole and among the papers. The papers have been found to publish a total of 4300 defamation articles over the whole 10-year period of time. On average, 1.2 stories had been published on a daily basis and each paper reported at least one story in every 2~3 days. Meanwhile, the papers published 1300 articles regarding infringement of privacy and 450 articles infringement of likeness during the same period of time. These figures show that the papers put more emphasis on defamation issues than other human right issues. The study found no overall pattern exists in regards to reporting over the whole period time. Yet, it found that the frequency of reporting was high in the early years, then, decreased in mid years, and re-increased in the last year, shaping the letter "W". Most articles appeared in the sections of "Society" and "General". 7% of the articles were published in the "Cover Page", which gets the highest exposure. The majority of the articles were written as straight news, and the length was around 700 to 1500 words. Articles with over 2000 words comprised 5.7% of the entire stories, and they were classified as "Column", "Opinion", or "Special Report". The most frequently-cited causes of defamation described in the articles were the distribution of false defamatory information and the allegation of corruption or dishonest. The status of the people in the articles either defaming others or defamed by others included politicians/parties, journalists, entertainers, and private figures. Especially, politicians were described as both assailants and victims of defamation due to the criticism and allegation against each other among politicians. The papers favored the frame of straight news about political issues.

      • KCI우수등재

        도청된 자료의 보도와 언론의 책임에 관한 연구

        김경호(Gyong-Ho Kim) 한국언론학회 2006 한국언론학보 Vol.50 No.1

        The main purpose of the study is to balance freedom of the press with the privacy of wire communication and to analyze other legal issues involved in the media publication of illegally intercepted materials. If the media did not engage in the illegal interception, but lawfully obtained the tapes from the unknown person or persons, the media should not be responsible for the infringement of the privacy of wire communications. Without overriding importance, debates on a matter of public concern should be wide-open, robust and uninhibited. Imposing sanction on the media would not deter unknown persons from illegally intercepting private communications. The person who engages in the illegal interception must be responsible for such activities rather than the media that merely receive and broadcast the content of the intercepted communications. In other words, the application of the wiretap statute to an innocent disclosure of public information is plainly insufficient to justify the violation of the constitutional guarantee for the freedom of the press. The sanction will not only chill the freedom of the press but also result in self-regulation.

      • KCI등재

        ‘공익을 해할 목적의 허위통신’ 조항에 대한 위헌결정의 함의와 온라인 표현의 자유에 관한 연구

        김경호(Gyong Ho Kim) 충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3 사회과학연구 Vol.24 No.1

        The Korean Constitutional Court recently decided a case regarding the Article of ‘false communication aiming to harm public interests’, Electric Fundamental Law. The court ruled the Article unconstitutional saying that the Article is so vague and unclear that it failed to meet the constitutional test, ‘void for vagueness doctrine’ and ‘overly broad doctrine’. The ruling is considered as an influential case in determining the scope of online freedom of expression. It is expected not only to chill the governments temptation to regulate freedom of expression in cyberspace but also foster discussions and expressions about public matters. Expressions posted on Social Network Services such as blog, facebook, skype, tweeter are also the subjects to the scope drawn by the ruling. The ruling has three key constitutional implications. First, it curtails governments temptation to regulate online expressions. Second, it fosters expressions online about public issues. Third, the characteristics of online media becomes a standard in determining the scope of online freedom of expres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