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주국가의 부상 -네팔의 국제 이주노동 제도화의 특징과 잠재적 문제점-

        김경학 ( Kyunghak Kim ),신지원 ( Julia Jiwon Shin ),이기연 ( Kiyoun Lee ),신난딩 ( Nanding Shin ),박경환 ( Kyonghwan Park ) 한국사진지리학회 2020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3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and institutionalization of Nepal’s overseas migration labor policy and to investigate potential problems resided in such government-led institutionalization. For this purpose, this paper is composed of three main sections. The first section examines the ways in which Nepal has risen up as an emigration state in terms of natural environment, ethnicity, industrial structure, and politics. The second investigates how the government of Nepal has promoted overseas migration labor by way of institutionalizing overseas migration process. The third critically reviews the Nepalese government’s migration policy and discusses the ways in which it generates potential problems in the civil society. Although the Nepalese government accomplished a large amount of remittance inflow accounting for about 30 percent of the country’s GDP, such sucess is not without counter-effects and problems. They include overdependence on international remittance, generation of country’s negative self-imagery, domination of unskilled labor in overseas employment, and limits of and discrimination over lower class and women.

      • KCI등재

        감염병과 ‘이슬람 포비아’: 인도 힌두 민족주의 세력의 COVID-19의 정치화

        김경학(Kim, Kyunghak) 한국외국어대학교 인도연구소 2020 남아시아연구 Vol.26 No.3

        이 연구의 목적은 COVID-19 확산으로 야기된 국가적 불안과 공포를 파키스탄과 이슬람에 충성하는 내부의 적 무슬림의 ‘코로나지하드’와 연결하여 무슬림 일반을 혐오하고 두려워하는 ‘이슬람 포비아’가 조성되는 양상을 분석하는 데에 있다. 이 연구는 힌두 우익 민족주의 세력이 COVID-19라는 감염병의 공중보건 위기의 원인을 무슬림으로 돌림으로써, 무슬림을 타자화하고 차별하는 이슬람 포비아를 통해 국가의 힌두화라는 정치적 행위를 하는 ‘감염병의 정치화’과정을 분석하고 있다. 이 연구는 혁신적인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에 따라 COVID-19 관련 무슬림에 대한 가짜 뉴스와 허위 정보가 소셜미디어와 뉴스 미디어를 통해 급속히 유포되어 이슬람 포비아의 조성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인도에서 COVID-19는 단순히 국가의 보건 의료 체계가 다루어야 할 감염병이 아니라, 종교에 기반한 정치적 이념을 토대로 인도 우익 정부와 우익세력들이 수행하는 ‘국가의 힌두화’를 위한 정치적 사안이 되었다. COVID-19 대유행 시기에 힌두 정권과 힌두 민족주의 세력에 의해 이처럼 감염병이 정치화되고 있는 것은 힌두 우익의 아이콘 모디가 정권 창출한 이래 인도 사회와 정치가 힌두 우경화로 대전환되는 국면을 극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This study aims at exploring how the ‘Islamophobia’ is formed by linking the national anxiety and fear caused by COVID-19 with the so-called ‘CoronaJihad’ of the internal enemy Muslims being loyal to Pakistan and Islam. This study analyzes the process of ‘politicalization of infectious diseases’ in which the Hindu right-wing nationalist forces attribute the cause of the public health crisis of COVID-19 pandemic to Muslims, and act as Hinduization of the country through ‘Islamophobia’ that otherizes and discriminates Muslims. The study shows that with the innovativ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fake news and false information about Muslims related to COVID-19 can rapidly spread through social media and news media, leading to the creation of Islamic phobias. In India, COVID-19 is not just an infectious disease to be dealt with by the state’s health care system, but has become a political issue for the “Hinduization of the State” carried out by the Indian right-wing government and right-wing forces based on a political ideology based on religion. The fact that the pandemic is being politicized by the Hindu regime and Hindu nationalist forc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dramatically shows the transition of Indian society and politics to the Hindu fundamental trend since the creation of the regime by the right-wing icon Modi.

      • KCI등재

        국내 고려인 아동의 국제 이주 경험과 초국적 정체성

        김경학(Kim, kyunghak) 서울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8 비교문화연구 Vol.24 No.2

        이 연구는 광주광역시 광산구 월곡동 소위 ‘고려인마을’에 거주하는 일부 고려인 아동을 연구대상으로 삼아 초국적 이주자로서의 아동이 인식하는 ‘집’(home)’에 대한 생각을 분석하고, 더 나아가 가정, 학교, 고려인마을 주변에서의 일상생활 속에서 이주 아동의 언어 사용을 둘러싸고 드러나는 고려인 아동의 소속감과 초국적 정체성을 규명하고 있다. 초국적 이주자로서의 고려인 아동의 ‘집’에 대한 개념이나, 가정과 학교 안팎에서의 러시아어 사용을 둘러싼 소속감과 정체성은 이들이 초국적 맥락에 놓여 있다는 사실과 밀접하게 관련된다. 고려인 아동의 정체성과 소속감 형성은 한국과 본국의 고려인 가족과 친척과 초국적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점과 관련된다. 한편 고려인 아동에게 러시아어는 자신의 정체성을 구성하는 데에 매우 핵심적인 요인으로 작용한다. 러시아어 사용은 한국과 본국의 고려인 공동체와 연결시켜 주는 한편 아동들을 한국의 일상생활 모든 부분에서 한국인으로부터 분리시키고 있다. 러시아어를 토대로 고려인 아동이 표출하는 문화적 차이와 정체성 형성은 이들이 이민 생활의 발을 딛고 있는 현지뿐만 아니라 초국적 맥락에 동시에 놓여 있는 사실과 관련된다. In this Koryein children–centered research, children move from being treated as passive members of families to being recognized as active agents, dynamic in creating identity and cultural meaning. This research examines the experiences that Koryein children coming from post–soviet countries have gone through due to their migration to Korea. This research explores the following questions: How do Koryein children understand the notion of home? How do Koryein children express their identities around the complexity of homeland, ethnic group, and language in the contexts of daily lives and school? This research argues that the children firstly identify Gwangju as home and introduce the country of family origin as almost equally important. They are likely to talk of home with primarily related to presence of close family and kin members in two countries(Korea and country of origin). After migrating to Korea, most of the children have experienced some emotional distress closely related to finding new friends and learning new language like Korean language. This article finds that language like Russian language has played main role in connecting the children to both Koryein community in Korea and their relatives in countries of origin. At the same time, Russian language seems to disconnect them from Korean people and every conner of their daily lives in Korea. This research also looks at the key role of Russian language in articulating Koryein children’s cultural differences and shaping identities in local and transnational contexts.

      • KCI등재

        인도 ‘요가’(Yoga)의 정치화와 국가 정체성

        김경학(Kim, Kyunghak) 한국외국어대학교 인도연구소 2021 남아시아연구 Vol.27 No.2

        2014년 모디(Modi)가 인도 수상이 되면서 요가는 전 세계를 대상으로 인도의 대표적 문화적 상징이 되는 과정에 들어선다. 유엔 총회에서 ‘국제요가의 날’(International Day of Yoga) 지정을 위한 성공적 로비로 모디 수상은 요가를 세계무대에 본격 등장시켰다. 인도 정부가 2014년에 국제요가의 날을 제정하고 2016년에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에 요가를 등재하고자 한 노력은 요가가 경제와 외교 및 정치적 맥락에서 놓칠 수 없는 매력적인 전략 자원이었기 때문이었다. 인도의 요가는 힌두 우익세력의 ‘요가 정치화’를 통해 무슬림과 같은 종교적 소수집단을 국가 범주 밖에 위치 지우면서 인도를 힌두화하고자 하는 프로젝트 진행에 이용되고 있다. 이 글은 요가를 둘러싼 인도 국내외적인 일련의 성과와 이에 맞물린 정치적 양상을 ‘소프트 힌두뜨와 문화 민족주의’ 담론 내에 ‘맥락화하고’ 이를 분석하고 있다. 이 글은 2014년 힌두 우익 정치인 모디의 인도 수상 등극 이후 진행되어 온 일련의 반무슬림적 힌두 우경화라는 정치적 맥락에서, 요가가 힌두 민족주의 의제를 위해 전유되는 사회·정치적 과정과 국가정체성 강화에 동원되는 요가의 정치화를 분석하고 있다. 특히 이 글은 철저한 기획과 연출 하에 수행된 2015년 ‘제1회 국제요가의 날’처럼 요가가 동원된 일련의 문화 정치적 이벤트들과 요가 수행과 관련된 정치적 담론들 그리고 요가와 힌두뜨와 부흥 간의 밀접한 관계에 주목하고 있다. 이를 통해 힌두 민족주의 정치 세력에 의한 요가의 정치적 전유가 반무슬림적이고 국가의 힌두화를 위한 문화 민족주의적 정치 행위임을 밝히고 있다. After being elected as Prime Minister of Inida in 2014, the first official and diplomatic act of Narendra Modi was to urge the United Nations member states to declare June 21st ‘International Day of Yoga’. The Modi government"s efforts to establish International Yoga Day in 2014 and inscribe yoga on the Representative List of UNESCO"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2016 were due to the fact that yoga has been an attractive strategic resource that cannot be missed in economic, diplomatic and political contexts. Since the early days of the Modi regime, yoga has been used in India to solidify the supreme ideology of Hindu culture called ‘Hindutva’. In India, yoga is being used in a project to make India a Hindu State by locating religious minorities such as Muslims outside the national boundary through the ‘politicization of yoga’ by the Hindu right wing. This article attempts to ‘contextualize’ and analyze the series of achievements in India and abroad surrounding yoga and the political aspects associated with yoga within the discourse of ‘soft Hindutva cultural nationalism’.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politicization of yoga in the socio-political process and reinforcement process for national identity in which yoga is appropriated for the Hindu nationalist agenda in the political context of a series of anti-Muslim right-wing movements that have been mobilized since Modi, a right-wing Hindu politician, became Prime Minister of India in 2014. To be specific, this article pays attention to the relationship between a series of cultural and political events in which yoga was mobilized, such as the 1st International Yoga Day in 2015, conducted under thorough planning and directing, and the political discourse related to yoga practice. This study is also interested in elucidating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yoga and Hinduism and revival. This study explores that the political appropriation of yoga by Hindu nationalist political forces is characterized as anti-Muslim and cultural nationalist political act for the Hinduization of the country.

      • KCI등재

        코로나-19에 대한 경험 -차별과 배제 및 사회·경제적 영향을 중심으로-

        김경학(Kyunghak Kim),Md Golam Rabbani 전남대학교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2020 디아스포라 연구 Vol.14 No.2

        이 글은 한국과 방글라데시에 체류하는 일부 이주노동자와의 인터뷰 자료를 토대로 코로나-19 대유행 시대에 한국에서 이주노동자 생활을 하는 방글라데시 이주자가 경험한 차별과 배제의 양상뿐만 아니라, 코로나-19가 국내 방글라데시 이주자와 본국에 남아 있는 이들 가족에게 사회·경제적으로 어떤 영향을 주고 있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코로나-19 상황에서 방글라데시 이주노동자들은 사업장 내부로 이동 제한, 공적 마스크 접근성 제한, 문자 알림 정보에 대한 접근성 제한, 재난지원금 대상에서 배제 등의 차별적 경험을 하였다. 방글라데시 이주노동자들은 코로나-19의 위기가 국적과 인종과 관계없이 모든 사람에게 평등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생산 주문이 줄고 작업시간이 단축되거나 실업으로 방글라데시 이주노동자의 고용과 수입의 안전성이 크게 위협받고 있다. 한국에서의 이런 위기는 방글라데시의 가족들에게까지 그 영향이 미친다. 코로나-19시기에 방글라데시로 귀국한 이주노동자들은 한국의 노동 현장으로 입국 길이 막히면서, 가족의 생계를 책임졌던 수입원이 끊겨 사회·경제적인 심각한 위기에 처할 수 있다. 방글라데시에서의 이러한 위기는 계약기간이 만료될 한국 내 방글라데시 이주노동자들에게 본국 귀국보다 한국에서 미등록이주자가 되는 길을 선택하게 할 것으로 예상된다. This study aims at exploring Bangladeshi migrant workers’ experiences of discrimination and exclusion during the COVID-19 pandemic in Korea and Bangladesh. This research also intends to investigate the socio-economic impacts of the COVID-19 on migrant workers and their left-behind families. During the COVID-19, Bangladeshi migrant workers have experienced discrimination regarding control of movement at workplaces, limited accessibility of ‘public mask’ and precaution text notification, and exclusion of emergency relief grant. Bangladeshi migrant workers in this study strongly argue that the preventive measures and welfare system in a crisis of COVID-19 pandemic should be equally applied to all people regardless of nationality or race. Actually, the COVID-19 pandemic has already led to the shortage of order and production at manufacturing factories, which profoundly affected migrant workers’ monthly income. More than two and half hundreds of workers, who visited their homeland during the COVID-19, are very likely to be dismissed from their workplaces due to visa expiration and delay of re-entry visa. The family members of migrant workers in Bangladesh would face financial crisis if migrant workers as only earning person in their families would not be allowed to back to the workplaces in Korea. Given the difficulty of re-entry visa issue in Bangladesh, it is anticipated that most of migrant workers on the verge of visa expiration in Korea are likely to become undocumented workers rather than returning to their homeland.

      • KCI등재

        국내 네팔 결혼이주여성의 본국 가족에 대한 초국적 돌봄 연구

        김경학(Kim, Kyunghak),윤밀알(Yoon, Miral) 한국지역지리학회 2017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3 No.3

        이 연구는 광주광역시에 거주하는 네팔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하여 이들의 본국 가족원에 대한 초국적 돌봄의 양상을 규명하고 있다. 네팔 결혼이주여성은 물질적이고 정서적인 지지와 지원, 네팔방문과 직접적 돌봄, 가족의 한국 초청을 통한 노동기회 제공 등 다양한 형식으로 본국 가족에 대한 돌봄을 초국적으로 실천하고 있다. 이러한 초국적 돌봄 실천 양상에 대한 적절한 이해를 위해서 이주여성을 한국 사회와 네팔 사회 사이에 "끼여 있는 존재"(being in-between)로 인식하는 초국적 시각이 요구된다. 네팔 결혼이주여성의 초국적 돌봄은 이주여성의 형제자매 서열에 따른 역할기대, 자녀의 여부, 경제활동 여부, 친정가족원의 국내 체류 여부 등에 따라 그 강도와 내용에 차이가 있다. 또한 이주여성의 본국 가족에 대한 다양한 형식의 초국적 돌봄, 특히 정서적 지지와 출산 및 육아지원은 ‘일방적’인 것이 아닌 ‘돌봄의 호혜적 교환’(reciprocal exchange of care)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is study aims at exploring the transnational care for family members back home among the Nepalese marriage immigrant women in Korea on the bases of some transnational care practices like remittances, virtual intimacy through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visit to Nepal, and invitation of family members to Korea. This study argues that in order to understand migrant women’s care practices properly, Nepalese marriage immigrant women should be considered as ‘being in-between’ the societies and cultures of Nepal and Korea. This study identifies the characteristics of transnational care practices of Nepalese women are closely related to the role expectation for the eldest daughter as well as whether or not migrant women have children, jobs, and original family member in Korea. Furthermore, this study highlights that migrant women’s transnational care practices should be considered as ‘reciprocal exchange of cares’ between marriage women and their family members rather than one-way benefits going to the latter.

      • KCI등재

        우즈베키스탄 고려인 이주자의 노부모에 대한 ‘초국적 돌봄’

        김경학(Kim, Kyunghak) 서울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6 비교문화연구 Vol.22 No.1

        우즈베키스탄 독립 이후 심각한 실업과 자녀를 위한 미래의 불투명 및 우즈벡 중심의 민족주의 정책 등의 배출요인과 한국의 고임금과 재외동포에게 개방된 이민정책과 같은 흡인요인의 상호작용으로, 한국으로 국제이주 하는 고려인의 수가 급증하고 있다. 한국 이주 후 고려인 성인자녀의 우즈베키스탄에 남겨진 부모에 대한 돌봄은 초국적 성격을 띠고 있다. 이 연구는 초국적으로 이산된 우즈베키스탄 고려인 확대 가족 네트워크내에서 한국에 체류하는 고려인 성인자녀의 본국에 남아 있는 노부모에 대한 초국적 돌봄 실천 양상을 규명하고 있다. 이 연구는 또한 한국의 성인 자녀의 노부모에 대한 초국적 돌봄 실천에 개입하는 다양한 분석 수준의 요인들이 타협되는 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국제이주와 초국적 가족의 논의를 정착지 중심으로 함으로써 본국에 남아 있는 노부모의 시각이 간과된 기존 연구와는 달리, 이 연구는 자녀의 국제이주가 노부모에게 미치는 정서적 영향, 자녀의 초국적 삶과 돌봄 실천, 자녀와의 재결합의 전망 등을 ‘노부모의 시각’에서도 이해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한국과 우즈베키스탄에서 ‘다중 지역적(multi-sited)’ 현지조사가 수행되었다. This study aims at exploring transnational care for left-behind aged parents living in Uzbekistan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Uzbek Koryein’ (Korean ethnic group in Uzbekistan) migrants in Korea. The post-Soviet Union mass emigration of ‘Uzbek Koryein’ takes place mainly due to harsh conditions like economic hardship and Uzbek ethno-religious nationalism. The aged parents of members of transnational ‘Uzbek Koryein’ families can remain in need of help and care when their adult children migrate to Korea. Most ‘Uzbek Koryein’ migrants in Korea maintain their transnational family ties with their left behind older family members on the bases of some transnational care practices like remittances, virtual intimacy through ICTs (information and telecommunications technologies), and visit to homeland. This research also tries to listen to the later lives, experience, and feelings of aged parents left-behind after their adult children"s emigration since many research tend to overlook the perspectives of elderly generations on international migration and exchange of care among the transnational family members. Because of the Uzbekistan"s longstanding economic deterioration, migration has become an essential livelihood strategy among many ‘Uzbek Koryein" families. The monetary remittances of ‘Uzbek Koryein" in Korea highly contribute to the wellbeing of their family members, especially older members in terms of medical treatment and promotion of living standard. This study clearly shows that because relying on Uzbekistan state aged-care services is perceived by most ‘Uzbek Koryein" as not being adequately, the aforementioned transnational cares practiced by adult children of ‘Uzbek Koryein" in Korea become pivotal for main avenue of care-giving activities for their aged parents in homeland.

      • KCI등재
      • KCI등재

        국제이주의 맥락에서 노년 보내기

        김경학(Kim, Kyunghak) 서울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7 비교문화연구 Vol.23 No.1

        이 연구는 국내에서 손자녀 돌봄과 가사를 전담하며 ‘조부모 노릇’을 하고 있는 우즈베키스탄 출신 고려인 노년세대가 한국에서 경험하는 단조로운 일상의 반복, 사회 · 경제적 독립성 상실, 정체성 등에 관한 서사를 분석함으로써, 이들의 복지, 초국적 이주자로서의 정체성, 한국 이주생활의 전망 등을 규명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삼고 있다. 한국생활에서 고려인 노년층은 손자녀 돌봄과 가사 전담이라는 과중하고 단조로운 일상생활과 제한된 사회적 네트워크로 인한 사회적 고립감 및 경제적 독립성의 상실로 육체적 · 정서적 복지와 관련된 부정적 경험을 하고 있다. 이들은 본국에 남아있는 가족 돌봄과 주택 및 연금 관리 등을 위해 주기적으로 국경을 넘나드는 ‘초국적 노년’을 보내고 있다. 고려인 노년세대는 한국에서 경험하는 이질성과 차별로 인해 맥락에 따라 우즈벡인, 소비에트인, 한민족이라는 다중적 민족 정체성을 표출한다. 이 연구는 국제이주의 맥락에서 노년의 삶이 이미 전지구화와 이주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고 있으며, 초국가주의와 이주에 대한 추후 연구가 노년 세대의 초국적 이주 경험에 관한 서사에 특별한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This study aims at exploring the later lives of Koryein elderly generation who raise grandchildren and perform the domestic labour, which permits their adult children to pursue Korean immigration dreams. It is quite true to say that transnational older people and their contributions to roles of care-givers for adult children and grandchildren in the context of migrations have been largely ignored by researchers on international migrations. This study finds that Koryein elderly generation in Korea suffer from social isolation and economic dependent during their everyday’s working extensive hours. By analysing data on Koryein elderly generation’s narratives of adjustment to foreign environment, experiences of language barrier and loss of economic power, and confusion of self-identity caused by discrimination, this paper tries to examine their problems of physical and emotional well-beings, identities as transnational elderly migrants, and prospects for migrants’ lives in Korea. This study also provides insights into some of ways that the meaning of home may shift in a transnational context by focusing on some narratives of Koryein older people as transnational migrants moving back and forth between Korea and Uzbekistan in terms of kin-works, management of house and bank accounts in country of origin. This study on transnational Koryein elderly generation clearly shows that scenarios of later lives of older people have been largely affected by international migration and globalization. Furthermore, this paper argues that transnational aging must be viewed as both an important research perspective and agenda for further studies on international mig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