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플래그십 스토어 체험마케팅 구성요소가 소비자 브랜드 인지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중국 내 스포츠 브랜드 매장을 중심으로 -

        양정펑 ( Yang Zhengfeng ),김경숙 ( Ghim Ghyung Sook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8

        (연구 배경 및 목적) 코로나19 팬데믹 종식 이후, 건강 및 운동에 대한 대중들의 관심은 큰 폭으로 증가하였으며, 이에 따라 스포츠 브랜드 시장도 급속도로 성장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변화 속에서 많은 기업들이 브랜드 홍보의 전략적 목표를 오프라인 플래그십 스토어에 집중하기 시작하였다. 소비자들은 플래그십 스토어를 방문함으로써 브랜드에 대한 깊은 이해를 얻게 되고, 이를 통해 브랜드에 대한 관심을 더욱 높이게 되며, 이는 구매로 이어져 결국, 브랜드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형성하게 된다. 최근 스포츠 브랜드 플래그십 스토어는 체험 마케팅 전략의 활용을 통해 소비자들의 긍정적인 반응을 유도하고 있으며, 체험마케팅은 브랜드 인지도와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핵심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증 분석을 통해 중국 스포츠 브랜드 플래그십 스토어 내의 체험 마케팅 요소와 브랜드 인지도 간의 상관성 및 중요도를 파악한 후, 브랜드 인지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스포츠 브랜드 플래그십 스토어의 체험 마케팅 전략 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본 연구는 이론적 고찰과 선행연구를 통해 관련 변수를 정리하고 도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연구모델을 구성한 후, 연구모델 및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관련 변수 간의 영향 관계에 대한 가설을 설정하였다. 또한, ‘2022년 중국 시장의 스포츠 신발 및 의류 산업 주제 분석 보고서'를 기준으로 시장 점유율 상위 5개 브랜드에 해당하는 Nike, ANTA, Adidas, LiNing, X-tep을 연구 사례로 선정하였다. 연구 방법은 선정한 사례를 중심으로 스포츠 브랜드 플래그십 스토어의 메인 고객인 MZ 세대 소비자를 대상으로 체험 마케팅 요소와 브랜드 인지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는 신뢰도 및 타당도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검증을 실시하여 이를 통과한 데이터를 대상으로 구조방식 모델을 적용해 연구 가설을 검증하였다. (결과) 연구분석 결과, ‘감각 체험’ 변수, ‘인지 체험’ 변수, ‘활동 체험’ 변수, ‘관계 체험’ 변수는 브랜드 인지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감성체험’ 변수는 브랜드 인지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중에서도 ‘활동 체험’ 변수는 브랜드 인지도에 대한 영향이 상대적으로 더욱 현저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스포츠 브랜드의 체험 마케팅 요소가 브랜드 인지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가설은 부분적으로 채택되었다. 동시에 표준화된 경로계수의 크기에 따라 영향을 미치는 체험 마케팅 요소의 중요도는 활동 체험 > 인지 체험 > 감각 체험 > 관계 체험 > 감성 체험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시장의 빠른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스포츠 브랜드 플래그십 스토어의 체험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고자 한 것으로, 스포츠 브랜드 플래그십 스토어의 체험 마케팅 요소와 브랜드 인지도 간의 관련성을 파악하여, 스포츠 브랜드 플래그십 스토어 매장 내에서 적용 가능한 체험 마케팅 디자인 가이드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스포츠 브랜드의 플래그십 스토어가 차별화된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하고 브랜드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유용할 수 있음을 제시한다. 이러한 유의미한 발견은 향후 스포츠 브랜드 플래그십 스토어의 체험 마케팅 디자인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Since the end of the COVID-19 pandemic, public interest in health and exercise has increased significantly and the sports brand market has grown rapidly. Amid these changes, many companies have begun focusing on the strategic goals of brand promotion in offline flagship stores. Recently, sports brand flagship stores have elicited positive responses from consumers through experiential marketing strategies, which play a key role in improving brand awareness and competitiveness.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correlation between experiential marketing elements and brand awareness in Chinese sports brand flagship stores through an empirical analysis and then derive experiential marketing strategies for these stores to improve brand awareness. (Methods) Related variables were organized and derived based on theoretical considerations and prior research. Based on this, a research model was constructed and hypotheses about the relationships between related variables were established based on the research model and prior research. In addition, based on the “2022 Chinese market sports shoes and clothing industry theme analysis report,” Nike, ANTA, Adidas, LiNing. The research method involved conducting a survey on experiential marketing elements and brand awareness targeting the MZ generation, who are the main customers of sports brand flagship stores, focusing on selected cases. The collected data were used for reliability, validity, and confirmatory analyses. A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and a structural model was applied to the data that passed the test to verify the research hypotheses. (Results) The “sensory experience,” “cognitive experience,” “activity experience,” and “relationship experience” variables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brand awareness, but the “emotional experience” variable was found to have no positive effect. Among them, the “activity experience” variable had a relatively more pronounced impact on brand awareness. Therefore, the hypothesis regarding the impact of experiential marketing of sports brands on brand awareness was partially accepted. At the same time, the importance ranking of experiential marketing elements that influenced the size of the standardized path coefficient was as follows: activity experience > cognitive experience > sensory experience > relationship experience > emotional experience. (Conclusion) This study developed an experiential marketing strategy for sports brand flagship stores by adapting to market dynamics. It explored the link between experiential marketing and brand awareness in these stores and proposed a guide for experiential marketing design. The findings can enhance brand differentiation and competitiveness and offer insights for future experiential marketing strategies in sports brand flagship stores.

      • KCI등재

        자동차 브랜드 플래그쉽 스토어의 아이덴티티 형성에 관한 연구 - 중국 상하이 지역을 중심으로 -

        등서산 ( Deng Shushan ),김영진 ( Kim Young Jin ),김경숙 ( Ghim Ghyung Sook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2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7 No.7

        (연구배경 및 목적) 21세기 이래로 중국은 전 세계에서 가장 큰 신차 시장이 되었다. 그 중에서도 자동차 구매 수량이 73.6782만 대를 기록한 상하이는 중국 자동차 판매 1위 시장이 되었다. 이에 따라 자동차 브랜드 수는 증가하고 있으며 브랜드 간의 경쟁도 점점 치열해지고 있다. 이러한 시장 경향을 살펴보면 브랜드 아이덴티티 강화는 특히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중국 소비자들의 세계 대표 자동차 브랜드에 대한 인지를 통해 소비자의 인지에 영향을 주는 자동차 플래그쉽스토어 공간 구성 요소와 브랜드 속성 간의 상관성을 연구했다. 연구의 목적은 자동차 플래그쉽 스토어의 공간 구성 요소가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자동차 브랜드 플래그쉽 스토어의 공간 구성 요소와 브랜드 아이덴티티 간의 상관성을 연구하고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형성하는 공간 구성 요소를 찾아내 브랜드 지명도를 높이고 더욱 차별화된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하는 활용방법을 제시함에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2020년 발표된 중국 자동차 순위에 따라 연구 대상을 선정하였다. 자동차 브랜드 플래그쉽 스토어의 공간 구성 요소와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대표적인 어휘를 통해 두 차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대상은 25~35세 중국 소비층이다. 빈도 분석을 통해 두 차례의 설문지의 종합 평가를 비교한 결과 공간 구성이 브랜드 아이덴티티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 다음에 상관 분석과 회귀 분석을 통해 브랜드 아이덴티티와 공간 구성 요소의 상관성을 검증하고 브랜드 아이덴티티 형성에 영향을 주는 주요 공간 구성 요소를 확정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메르세데스 벤츠, 도요타, 폭스바겐, 비엠더블유 4개 브랜드의 플래그쉽 스토어 공간 요소가 브랜드 아이덴티티에 모두 긍정적인 경향을 보였다. 그중에서도 메르세데스 벤츠가 가장 뚜렷했으며, 포르쉐는 다소 약했다. 상관 분석 결과 메르세데스 벤츠 브랜드의 공간 구성 요소와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강한 상관성이 확인되었다. 또한 회귀 분석을 통해 브랜드 아이덴티티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공간 구성 요소는 파사드 공간, 로고 표지판, 상담 공간, 그리고 서비스 공간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자동차 플래그쉽 스토어 공간은 기업과 소비자의 접촉점으로서,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전달하는 중요한 매개체이다. 본 연구에서 자동차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형성하는 플래그쉽 스토어 공간 구성 요소가 파사드 공간, 로고 표지판, 상담 공간, 서비스 공간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공간 디자인을 향상시켜, 소비자들이 보다 차별화된 체험을 할 수 있도록 하고, 더욱 특색 있는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구축해야 한다. 이에 자동차 브랜드 플래그쉽 스토어의 아이덴티티 형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미래 자동차 플래그쉽 스토어의 브랜드 공간 디자인에 시사적인 역할을 하기 바란다. (Background and Purpose) Since the 21st century, China has become the world's largest new car market. Shanghai, which the number of car purchases reached 736,782, became the largest auto sales market in China. As the number of car brands increases, so does the competition among brands. By observing these market trends, it is particularly important to strengthen the brand identity. Therefore, this study show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patial components of the automobile flag stores and the brand attributes through the Chinese consumers 'cognition of the world's representative automobile bran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impact of the spatial components of the automobile flagship stores on the brand image formation, to find the spatial components to improve the brand awareness, and to build a more distinctive brand image. (Metho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the flag store space components and brand logo representative vocabulary of the top five automobile brands in China released in 2020. Chinese consumer groups aged 25-35 years was the questionnaire object and they completed the questionnaire in two times. Through the results of the two batches of questionnaires, the positive influence of the components of automobile space on the formation of brand image is confirmed. Subsequently, the correlation between brand identity and spatial components was verified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and the specific main spatial components affecting the formation of brand identity were identified. (Results)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flagship store space elements of Mercedes-Benz, Toyota, Volkswagen and BMW all show a positive tendency to the brand logo. Mercedes-Benz was the most obvious, with Porsche slightly weaker. The relevant analysis results confirm that the spatial components of the Mercedes-Benz brand are strongly correlated with the brand identity. In addition, through the regression analysis, the spatial components that have a great impact on the formation of the brand image are the facade space, signs, consultation space and service space. (Conclusions) As a connection between enterprises and consumers, the automobile flagship store is an important carrier to convey the brand identity. This study confirms that the space components that form the automobile brand identity are facade space, sign space, consulting space, and service space. It’s necessary to improve the design of these spaces, so that consumers can have a more differentiated experience, and build a more distinctive brand identity. Based on this background,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identity formation of automobile brand flagship stores, hoping to inspire the brand space design of automobile flagship stores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