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하이브리드형 수소공급방식을 고려한 수소충전소 입지 선정 모형 개발

        김거중,박준식,고승렬 한국교통연구원 2019 交通硏究 Vol.26 No.2

        In order to activate the hydrogen vehicle market, it is urgent to construct hydrogen refueling infrastructure. And investment plans of the infrastructure should be established in consideration of various factors in terms of user and supplier. A number of studies have been carried out to select alternative-fuel station sites such as hydrogen stations. However, most of these studies have limitations in that they are models that optimize the location only on the user side or the supplier side. In this study, we propose a hybrid hydrogen supply method suitable for the early stage of hydrogen refueling infrastructure, and developed a model for optimal location of hydrogen refueling station that minimizes supply cost with maximizing user demand under the hybrid supply method. Using the developed model, the optimal location of the hydrogen refueling station was selected for the idle sites of the national expressway tollgates.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used as the basic data for the policy decision when the central government or Korea Expressway Corporation intend to pursue the policy project such as the hydrogen refueling infrastructure plan. 수소차 시장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수소충전 인프라 구축이 시급하다. 그리고 효율적인 수소충전 인프라 구축을 위해서는 이용자와 공급자 측면에서의 다양한 요소를 고려한 계획적인 투자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수소충전소와 같은 대체연료 충전소 입지 선정 연구들은 지금까지 많이 수행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들의 대부분은 이용자 측면, 혹은 공급자 측면에서 입지를 최적화 하는 모형이라는 점에서 한계를 지닌다. 본 연구에서는 수소충전 인프라 구축 초기단계에 적합한 하이브리드형 수소 공급방식을 제안하고, 그러한 공급방식 하에서 이용자 측면의 이용수요를 최대화하며 공급자 측면의 충전소/개질기 설치비용 및 수소운송비용을 최소화하는 수소 충전소 최적 입지 선정 모형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개발된 방법론을 활용하여 전국 고속도로 요금소 유휴부지를 대상으로 수소충전소의 최적 입지를 선정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중앙정부나 한국도로공사가 수소충전 인프라 구축계획과 같은 정책 사업을 추진하고자 할 때 정책적 판단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감염병 대응 대중교통수단의 적정 공급수준 설정」

        김거중,박준식 대한교통학회 2021 대한교통학회 학술대회지 Vol.85 No.-

        최근 발생된 감염병 확산은 대중교통 이용 감소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이따금 발생되는 변이바이러스 등장 및 집단 감염 발생 등을 고려한다면, 이러한 대중교통 이용 감소 현상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대중교통 이용 감소 현상이 발생되는 이유는 정부의 외출 자제 정책에도 일부 영향이 있겠지만, 한정된 공간 안에서 다수의 이용자들이 함께 사용하는 대중교통 특성에 기반한 전염병 감염에 대한 심리적 불안감 및 공포감에 기인한다. 따라서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서 막연한 불안감으로 인해 발생되는 대중교통 이용 기피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대중교통 이용자에게 대중교통 내 감염 위험과 관련한 명확한 정보를 제공함과 동시에 대중교통 내 감염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시의적절한 대중교통 공급관리 추진이 중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중교통내 감염 위험을 정량화할 수 있는 대중교통 내 감염 확률 추정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바탕으로 대중교통 내 감염 위험을 효율적으로 낮출 수 있는 대중교통 적정 공급수준을 검토하였다. 수도권 광역버스를 대상으로 적정 공급수준을 검토한 결과,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가 3~4단계일때 승차 정원 제한 및 그에 대한 공급 확대 정책 추진이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스마트카드를 활용한 경전철 노선계획 방법론

        김거중,이호영,이은학,김동규,고승영 대한교통학회 2017 대한교통학회 학술대회지 Vol.76 No.-

        노선계획시 노선설계자는 네트워크분석을 토대로 노선대안을 선정한다. 하지만 기존 연구에서는 노선 계획 시에는 네트워크 요소 이외에도 지형공간요소 및 경제적 요소 등 여러 가지 요인들을 복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현장에서는 해당지역의 실제 통행패턴을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에 인구수나 고용자수를 이용하여 통행패턴을 추정하고 있으며, 그 결과 통행패턴 추정 오차로 인해 최적의 노선계획을 수립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지형공간 및 경제적 요소뿐만 아니라 대중교통이용자의 자세한 통행패턴 정보가 담겨있는 스마트카드 데이터를 활용하여 도심의 실제 대중교통 통행패턴을 고려한 경전철 노선계획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방법론은 해당지역의 통행패턴을 분석하고 후보 정거장을 선정하는 ‘스마트카드와 GIS를 활용한 후보 정거장 선정 방법론’과 선택된 후보 정거장을 바탕으로 최소 비용 노선을 결정하는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한 노선결정 방법론’을 순차적으로 사용하는 Bi-level 모델을 사용함으로써 해당지역의 통행패턴 및 지형공간요소, 경제적인 요소들을 동시에 고려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닌다.

      • KCI등재

        시외버스 노선의 공급수준 산정 방법론에 관한 연구

        김거중,박준식,문지혜,김동현 한국교통연구원 2017 交通硏究 Vol.24 No.3

        시외버스 노선을 관리하고 노선의 신설‧조정 등을 검토하기 위해서는 현 수준의 적정 공급수준의 평가가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전산화된 시외버스 노선의 운행계통정보를 활용하여 지역간 시외버스의 공급수준을 산출하기 위한 방법론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KTDB의 지역 간 여객 버스수요와 노선운행정보를 활용한 기종점 터미널 간 시외버스 수요 및 공급 산정 방법론을 검토하였다. 하지만 기종점 쌍 간 시외버스의 공급수준과 수요수준만으로 기종점 쌍의 공급수준을 평가할 경우 해당 기종점 쌍의 경로를 지나는 타 기종점 쌍 간 수요를 고려하지 못해 실제 노선의 운영수준을 제대로 평가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기종점 쌍 간 수요공급비 이외에 추가로 링크단위의 수요공급비를 검토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기종점 쌍의 수요공급비와 기종점 쌍의 대안 경로에 해당하는 링크 간 수요공급비를 동시에 검토함으로써 기종점 간 공급수준을 제대로 평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In order to manage intercity bus routes and to examine new routes, evaluation of supply level between departure and arrival terminal should be preceded.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methodology to calculate the supply level between terminals using computerized route information of intercity bus. For this purpose, we examined a method to estimate the supply level between departure and arrival terminal. And in order to overcome the difficulty in obtaining real demand, we examined a method of estimating the demand level between terminals using KTDB's inter-regional bus demand and route information of intercity bus. We also proposed a method to examine the link based supply-demand ratio in addition to the supply-demand ratio between departure and arrival terminal in order to address a problem that level of service for the actual operation can not be properly evaluated when evaluating the supply level based on only supply and demand levels between departure and arrival terminal. We can evaluate the supply level by examining the supply-demand ratio between two terminals and supply-demand ratios of the links corresponding to alternative routes at the same time.

      • 자전거도로의 포화교통류율에 관한 연구

        김거중(Kim, Geo-Jung),이영인(LEE, Young In) 대한교통학회 2013 대한교통학회 학술대회지 Vol.69 No.-

        포화교통류율은 이상적인 조건하에서 도로가 1시간 동안 처리할 수 있는 최대 교통량으로써 일반적으로 평균시간차두간격 측정 실험을 통해 포화교통류율을 산정한다. 하지만 지금까지 실행되어온 포화교통류율 관련연구들은 나라마다 혹은 실험마다 다른 결과 값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왜 이렇게 실험마다 다른 포화교통류율이 산정되었는지에 초점을 맞춰 평균시간차두간격을 관측값 이 아닌 돌발 상황에서의 최소정지거리와 자전거길이의 합으로 산정하는 해석적 접근 방법을 통해 규명해보았다. 그 결과 포화교통 류율 산정식은 속도의 함수로 정의되어 포화교통상태에서의 속도에 따라 포화교통류율이 다르게 산정됨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자 전거 교통류는 주변환경 혹은 자전거 이용자의 인적요소에 따라 통행속도가 좌우되어 이상적인 조건하에서의 포화상태 평균속도를 특정값으로 나타내는데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상황에 따라 달리적용할 수 있도록 포화상태 평균속도 시나리 오별 포화교통류율을 제시하였다. 포화상태의 평균속도가 20km/h일 경우에는 약 2900대/시로 도로용량편람에서 제시한 3000대/시 와 유사하게 산정되었으며 자동차도로에 본 방법론을 적용하였을 때에는 1920대/시로 일반적으로 알려진 2200대/시 보다 작게 산정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