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비자가 SNS을 통한 플랫형 가구의 자아일치성 및 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김가우,이성원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22 한국디자인리서치 Vol.7 No.2

        In recent years, with the popularization of e-commerce and social networks, a culture of sharing content through the Internet has been established. At present, most young people show their ideas or lifestyle through social platforms. In view of this tendency, information search based on picture sharing can quickly and intuitively show the product information and effect. For example, xiaohongshu, INSTAGRAM and other social platforms bring consumers a more comfortable and trustworthy feeling through content and presentation in this form. In addition, consumers want to follow their lifestyle based on similar, aspirational images. Can bring consumers with their own style or I want to have the furniture inspiration, add a new romance and vitality. Today's young people share their lives through social platforms, including the selection, arrangement and type of flat furniture, to intuitively show the product information and effect. Compared with traditional online shopping, it will be greatly improved in terms of credibility and information. This study is mainly aimed at young renters, who are the main groups of social platforms, and flat furniture is the main type of furniture sharing. The convenience and use of renting house can not only meet my aesthetic needs but also meet the use needs. Participants (N=218) conducted an online survey and 218 samples were taken from young people who rented houses. Using SPSS26.0 for data analysis, it is concluded that information, reliability and comprehension have a positive effect on purchasing intent, and that self-consistency can act as a positive adjustment. This study reflects the current demand for furniture for young people who rent their homes, not only through online shopping and offline shopping, but also through sharing of furniture design on SNS, which can arouse consumers' sympathy and purchase intentions. 최근 전자상거래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가 보편화됨에 따라 인터넷을 통해 콘텐츠를 공유하는 문화가 형성되었으며 청년층의 대부분이 이러한 SNS플랫폼을 통해 자신의 생각이나 삶의 방식을 표현하고 있다. 이러한 경향과 관련하여 이미지 공유를 기반으로 하는 정보 검색 기능은 보다 신속하고 직관적으로 제품의 정보 및 그 효과를 전달한다. 예를 들어, 샤오홍슈(小红书), INSTAGRAM 등 SNS플랫폼이 바로 이러한 방식으로 콘텐츠를 공유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며 이는 소비자에게 더 많은 편의와 신뢰를 준다. 한편, 소비자는 자신과 비슷하거나 자신이 원하는 이미지를 토대로 한 삶의 방식과 그와 비슷하거나 혹은 자신이 소유하고 싶은 가구 스타일을 추구하고 영감을 찾음으로써 삶에 새로운 감성과 활력을 부여한다. 현재 청년층은 주로 SNS를 통해 자신의 삶과 일상을 공유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플랫형 가구의 선택, 배치, 유형 등 보다 직관적으로 제품의 정보와 효과를 노출하고, 이는 전통적인 온라인쇼핑에 비해 신뢰성, 정보성을 크게 향상시킨다. 본 연구는 SNS의 주요 사용집단인 청년 임차인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으며 가구 정보 공유에 있어서는 주로 플랫형 가구를 주요 공유 유형으로 설정하였다. 참여자(N=218)에 대해 온라인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으며 218부를 청년 임차인 샘플로 선정하였다. SPSS 26.0을 이용한 데이터 분석에 따르면, 이해성, 신뢰성 및 정보성은 구매 의도에 양의 영향을 미치고, 동시에 자아 일치성은 양의 조절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청년 입차인들의 플랫형 가구 수요를 반영하고 있으며, 온라인과 오프라인뿐만 아니라 SNS 플랫형 가구 디자인 공유를 통해 소비자의 공감을 이끌어 소비자의 구매 의도를 높일 수 있다.

      • KCI등재

        중국 전통 문양 분석 및 현대가구의 응용에 관한 연구

        김가우,이성원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22 한국디자인리서치 Vol.7 No.2

        In this study, the most typical plant pattern among traditional patterns was used as a decorative element of modern furniture as a detailed expression el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interpret the artistic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plant patterns in a modern sense and to develop furniture designs in which plant patterns are reflected in a modern image. If you inherit the art culture of ancient traditional patterns and refer to them, you will be able to better express the spirit and traditional cultural features of your home country in modern furniture design. This provides a rationale for making good use of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plant patterns in modern furniture design. In this study, the application method of traditional plant patterns to the development of modern furniture design was studied through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various aspects such as pattern style, decorative parts, number of patterns, and processing technology according to the aesthetic demands of modern people. This study conducted an online survey targeting 200 participants. In terms of pattern style, decorative parts, number of patterns, and processing technology according to aesthetic demand, it was found that traditional plant patterns fit the trend and have a correct influence. Through this study, it will be possible to find out the problems faced by modern furniture using traditional plant patterns and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traditional plant patterns in modern furniture design. 본 연구는 전통 문양 중 가장 전형적인 식물 문양을 세부 표현 요소로 하여 현대 가구의 장식 요소로 활용하였다. 전통 식물 문양의 예술 특징을 현대적 감각으로 재해석하여 식물 문양이 현대적 이미지로 반영된 가구 디자인 개발을 연구 목적으로 한다. 고대 전통 문양의 예술 문화를 계승하고 그것을 참고로 하면 현대 가구 디자인에서 중국의 정신 및 전통문화 특징을 더 잘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현대 가구 디자인에서 전통 식물 문양의 특징을 잘 활용할 수 있도록 이론적 근거를 제공해 준다. 본 연구에서는 현대인의 심미적 수요에 따른 문양 양식, 장식 부위, 문양 개수, 가공 기술 등 여러 방면의 조사와 분석을 통해 현대 가구 디자인 개발에 전통 식물 문양의 응용 방식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200명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심미적 수요에 따른 문양 양식, 장식 부위, 문양 개수, 가공 기술 등은 전통 식물 문양은 트렌드에 맞고 올바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전통 식물 문양을 활용한 현대 가구들이 직면한 문제점 및 현대 가구 디자인에서의 전통 식물 문양의 발전 방향을 알아볼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국립공원의 수질조절 생태계서비스 가치평가 연구 - 오대산국립공원을 중심으로 -

        김가우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023 환경영향평가 Vol.3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trend of ecosystem water quality regulating services in Odaesan National park of the last five years and the corresponding economic values. Recently the climate change makes increased the value of the water, it is more important to protect the source of the riverthan to purify the contaminated water. To evaluate the water quality regulating services, we calculated the difference between purification and pollution from national park and estimated the quantitative value of the water quality regulating services. As a results, the amount of the value of the water quality regulating services from 2017 to 2021 was increased from approximately BOD 128.21 kg/Day, T-P 12.11 kg/Day to BOD 161.38 kg/Day, T-P 13.24 kg/Day and the economic value also increased from 2,304 million won to 2,817 million won.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보호지역인 국립공원이 제공하는 생태계서비스(ES, Ecosystem services) 중 수질조절서비스를 정량적으로 물리량을 측정하고 경제적 가치평가를 하는 방안을 마련하였다. 수질조절서비스 평가 지표는 ‘수질정화량’으로 국립공원 내 배출된 오염부하량과 출구측정부하량의 차이를 통해‘연간일평균수질조절량’을 구하고 총량초과부과금 처리 단가를 곱하여 경제적 가치평가를 추정하였다. 연구대상지는 생태계건강성지수 내 수질지수가 가장 높은 국립공원인 오대산을 대상으로 2017~2021년까지최근 5년간 수치를 기준으로 산출하였다. 그 결과 2017년 대비 2021년의 수질정화량은 BOD 128.21kg/ Day, T-P 12.11kg/Day에서 BOD 161.38kg/Day, T-P 13.24kg/Day으로 수질조절서비스를 제공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에 따른 경제적 가치는 5년 전 대비 513백만 원 더 높은 2,817백만 원의 가치를 제공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물의 가치가 높아짐에 따라 오염된 수질 회복이 아닌 본질적인 수원 관리가 더 효과적인 지금 주요 수계의 발원지인 국립공원 수원의 관리가 중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는 위와 같은 시점에서 연구 결과를 활용하여 보호지역 내 수질가치를 유지 및 향상시킬 수 있는 향후 연구방향성을 추가적으로 제공하였다.

      • KCI등재

        환경DNA 기술을 이용한 국내 담수어류종 탐지 가능성 - 경기도 민물고기생태학습관 중심으로 -

        김가우 ( Gawoo Kim ),송영근 ( Youngkeun Song )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021 환경영향평가 Vol.30 No.1

        본 연구는 환경DNA 기술을 이용한 국내 담수어류종 탐지방법 도입 및 적용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환경DNA를 이용한 모니터링 기술은 기존의 현장조사 모니터링 방식에 비하여 교란이 적고 편의성이 높으며 조사에 대한 감도가 높아 급변하는 하천 생태계 모니터링을 위한 효율적인 방법으로 주목 받고 있다. 본 연구의 대상지는 경기도 민물고기 생태학습관으로 수족관 내 수조, 생태연못, 양식장에 서식하는 국내 대표적 담수어류종에 대해 7월부터 10월까지 3차례의 물 환경시료를 수집하여 환경DNA 분석을 실시하였다. 국내 담수생태계의 다양한 서식환경을 고려하여 선정된 종에 대해 기 구축된 유전자생물종 DNA 염기서열 특성을 검토하고, 종 검출 여부 확인을 위해 채수된 16개의 환경시료를 Miya et al(2015)에서 제시된 환경DNA 분석 프로토콜에 준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대상 어종 총 7목 11과 50종 중 7목 11과 45종(90%)이 검출되었다. 이는 환경DNA 기술과 기 구축된 어류종 DNA DB를 활용하여 다양한 환경 조건에서도 단순한 채수 샘플링으로부터 국내 서식하고 있는 주요 민물고기 어종이 검출되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나아가 실험 중 발생된 수족관 내 시료 오염, 불균질한 DNA 채집, 생물종 유전자정보 누락 등의 오차요인들을 분석하여 자연환경에서 적용 시 앞으로의 보완 방향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This study focused on verifying the identification of freshwater fish species in Korea using Environmental DNA (eDNA) technique. The research of DNA is increasing in the field of ecology, since this is more sensitive of identify rather than traditional investigation method. Which is difficult to detect species hidden in water and be easily influenced by diverse factors (sites, bad weather, researchers and so on). We applied the pilot test in aquarium (Freshwater Fish Ecological Learning Center in Yangpyeong, Gyeonggi Do), where freshwater fish species are inhabits. We conducted to sampling and analyzing the sixteen water samples (50 species from 7 orders and 13 families) using MiFish primer set. The results showed that 45 species (90%) was investigated by eDNA. It highlight that eDNA with universal primer is possible to detect freshwater fish species of Korean. However, the errors on species identification seems to be caused by the primer that be not suited perfectly and the pollution such as aquarium, sampling collectors.

      • 국립공원 생태계서비스 가치평가를 위한 지표선정 연구

        반수홍 ( Suhong Ban ),김가우 ( Gawoo Kim ),김태근 ( Tae-geun Kim ),오충현 ( Choong-hyeon Oh ) 한국환경생태학회 2022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22 No.1

        「생물다양성 보전 및 이용에 관한 법률」이 2019년 개정되면서 생태계서비스(ES; Ecosystem Services) 및 생태계 서비스지불제(PES; Payment for Ecosystem Services) 관련 조항을 신설하였다. 이를 기점으로 국내 대학과 연구기관에서 전후 집중적으로 생태계서비스 연구를 진행하였다.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현 한국환경연구원)은 2011년부터 환경가치 DB(EVIS)를 운영하고 있으며 지속적으로 확장하고 있어 추후 생태계서비스를 경제적 가치로 추정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전반적인 생태계서비스 평가항목을 화폐화하기에 한계가 있으나 일부 항목에 대해서는 현재 적용할 수 있다. 한국환경연구원은 2013년부터 생태계서비스지불제 연구를 시작으로 국내 생태계서비스 연구에 선구적인 역할을 하였다. 최근 ‘2019 생태계서비스 정책포럼’을 구성하여 그룹 숙의접근법을 연구방법론으로 생태계서비스 연계구도, 국가 생태계 평가체계, 측정범위 및 핵심지표 등을 정립하였다. 국립산림과학원은 1987년부터 산림공익기능(수원함양, 산림재해방지, 생활환경보전, 산림휴양, 자연환경보전, 산림경관)의 가치를 화폐 단위로 평가하여 정기적으로 발표하였으며, 최근 산림생태계서비스 평가로 전환하고자 한다. 국립생태원은 생태계서비스 관련 정책지원을 위한 법·제도 개선, 가이드라인, 지도구축 등을 수행하고 있다. 2018년 부터 핵심 생태자산으로 보호지역 중 습지와 핵심 생태축(DMZ)을 대상으로 생태계서비스 가치평가를 수행하였으며, 국가/지역/보호지역 수준에서의 측정 지표안을 선정하였다. 국립공원연구원은 ‘국립공원 생태계서비스 가치평가 연구’를 2017년부터 진행해 왔다. 매년 2개 ~ 4개 공원을 대상으로 시범 평가를 수행하였다. 생태계서비스 평가를 위한 항목 및 지표를 선정하기 위해 선행연구 검토, 델파이 설문, 타당성 검토, 인식 설문조사, 생태계서비스 간편 평가 도구 적용, PSR 모델 검토 등을 적용하였다. 또한 지표별 가치 산정 방법론을 개발해왔다. 국가 연구기관에서 생태계서비스 분류체계, 측정목표, 측정항목, 지표선정, 가치추정 방법론을 정립하고 있다. 국립공원연구원은 다양한 생태계를 포함하고 있는 국립공원을 대상으로 공원업무의 운영관리, 환경보전, 대외협력과 연계한 가치평가를 통해 국립공원 가치 인식증진 및 실무적으로 활용 가능한 지표를 선정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는 국립공원 생태계서비스 가치평가를 위한 합리적인 지표선정을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국립공원연구원에서 진행된 5년간 연구를 중심으로 문헌 고찰을 통해 지표를 선정하였다. 지표선정을 위해 평가 원칙, 지표선정 기준, 지표별 측정목표를 마련하였다. 평가 원칙은 ①단위가치(원단위)를 우선적으로 도출, ②모든 국립공원을 대상으로 평가 가능, ③중복 산정 방지, ④변화 예측이 가능케 하였다. 지표선정 기준은 ①대표성, ②정책활용성, ③자료안정성, ④측정 가능성을 적용하였다. 그동안 제시된 대부분의 생태계서비스 평가지표는 정량적 지표로 측정 측면에서 저량(stock), 유량(flow)을 고려해야 한다. 시간적 단위에서 기준선(시간)의 해당 생태계가 제공하는 생태계서비스를 측정하고자 한다면 유량을 측정하는 것이 타당하므로 유량을 측정하는 것을 지향점으로 두었다. 국립공원의 생태계서비스는 국립공원공단 내 통계·연구 자료를 기반으로 평가하였다. 활용가능한 자료로는 매년 수행하는 국립공원 기본통계, 국립공원연구원에서 수행하는 국립공원 여가·휴양 실태조사, 공원자원조사 등이 있으며 국립공원 전체를 대상으로 공간정보로 구축되고 있는 정밀 식생도, 서식지 분류지도 등이 있다. 그러므로 생태계서비스로 가치평가에 적용 가능한 모든 자료를 검토하여 평가지표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국립공원 생태계서비스 평가지표는 다음과 같다. Table 1. 국립공원 생태계서비스 평가지표(안)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