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orrosion behaviors of SS316L, Ti-Gr.2, Alloy 22 and Cu in KURT groundwater solutions for geological deep disposal

        김가영,장준혁,이민수,공미혜,윤석 한국원자력학회 2022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Vol.54 No.12

        Deep geological disposal using a multibarrier system is a promising solution for treating high-level radioactive (HLRW) waste. The HLRW canister represents the first barrier for the migration of radionuclides into the biosphere, therefore, the corrosion behavior of canister materials is of significance. In this study, the electrochemical behaviors of SS316L, Ti-Gr.2, Alloy 22, and Cu in naturally aerated KAERI underground research tunnel (KURT) groundwater solutions were examined. The corrosion potential, current, and impedance spectra of the test materials were recorded using electrochemical methods. According to polarization and impedance measurements, Cu exhibits relatively higher corrosion rates and a lower corrosion resistance ability than those exhibited by the other materials in the given groundwater condition. In the anodic dissolution tests, SS316L exposed to the groundwater solution exhibited the most uniform corrosion, as indicated by its surface roughness. This phenomenon could be attributed to the extremely low concentration of chloride ions in KURT groundwater.

      • KCI등재

        제2차 세계대전에 관한 독일과 일본 역사교과서의 비교분석 - 전쟁에 대한 기억과 반성

        김가영 한국역사교육학회 2016 역사교육연구 Vol.- No.24

        In this paper, the external characteristics of 8 history textbooks recently published in Germany and Japan, and their descriptions of themes on the Second World War have been comparatively analyzed, and accordingly the orientation of the history education in each country was deduced. Through this, the historical consciousness and collective memory of people in the two countries were investigated, and how they have cleared the past affairs as war criminals was compared between Germany praised to have overcome its past successfully and Japan relatively under endless controversy over its dark past. Also, this paper was aimed at drawing out desired aspects of history education in East Asia that would promote reconciliation and peace beyond the history of a single country. After comparing the external characteristics of textbooks of both countries, the descriptions related to the Second World War was analyzed focusing on four themes including ‘progress of war’, ‘colonial & occupational policy and victims’, ‘resistance’ and ‘war guilt and overcoming the past’. As a result of such examination of the contents on the Second World War that the German and Japanese history textbooks described, 4 main characteristic differences could be found. First, the descriptions of everyday life and people in history were mainly made in the German textbooks while the political history and ruling class were mainly described in the Japanese textbooks. Second, the German textbooks have clearly specified the assailant and the scale in various types of war crimes. In contrast, the Japanese textbooks only described relatively specifically the atomic bomb, group evacuation of children, and air raids by the Allies, and thus highlighted the damage of its own people rather than its committed war crimes. Third, the most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the German history textbooks are the multiperspectivity that suggests various perspectives on controversial issues. Learning that enables students to think and judge historically on their own through historical records and questions invoking critical minds is always emphasized. On the other hand, the Japanese textbooks contain almost no activity requiring discussions, and the number of research activities that may help shaping personal views is drastically few. Fourth, in facing the past, while the Japanese history textbooks deny its negative pasts, the Germany textbooks accept its negative pasts also in its history. The description in the German history textbooks emphasized that all Germans were responsible for the past and war guilt while the Japanese textbooks lacked responsibility and reflection on the war. Various historic events having occurred in the Second World War are also the valuable subjects of history education in that the importance of universal values such as democracy and human rights can be presented to students. It can be stated that the educational environment in Germany where such aspects are faithfully taught through textbooks is the cradle that fosters mature democratic citizens. Just like the exemplary case of Germany that has made healthy civil society and international relationships through selfreflection, the history education and textbooks in Japan and Korea need to move forward in such direction. 본고에서는 독일과 일본에서 최근 출간된 역사교과서 8종의 외형적 특성 및 제2차 세계대전을 테마로 한 서술을 비교분석하여, 각 국가에서 역사교육이 지향하는 바를 추론하였다. 이를 통해 양국 국민이 갖고 있는 역사의식 및 집단기억을 알아보고, 전범국으로서 과거극복을 훌륭히했다고 평가되는 독일과 상대적으로 과거극복에 대한 논란이 끊이지 않는 일본의 과거사 청산 모습을 비교하였다. 그리고 자국사를 넘어선 화해와 평화를 도모하는 동아시아의 바람직한 역사교육의 모습을 그려보고자 하였다. 먼저 양국 교과서 형태의 특징에 대한 비교 후 ‘전쟁의 전개’, ‘식민지·점령지 정책과 피해자’, ‘저항’, ‘전쟁책임과 과거극복’이라는 네 가지 테마를 중심으로 제 2차 세계대전과 관련된 서술을분석하였다. 그 결과 독일과 일본 역사교과서의 제2차 세계대전 서술내용을 살펴보면 크게 네 가지 특성의 차이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첫째, 독일교과서는 생활사·민중사 위주의 서술을 보이고 있고, 일본교과서는 정치사와 지배층 위주의 서술을 주로 하고 있다. 둘째, 독일교과서의 서술은 여러 형태의 전쟁범죄에 대해 가해의 주체와 그 규모를 분명하게 명시하고 있다. 반면 일본교과서의 경우 그들이 자행한 전쟁범죄의 모습보다는 원자폭탄, 학동의 집단소개(疏開), 연합국의 공습 등에 대해서만 비교적 구체적으로 서술하여 자국민의 피해를 부각시키고 있는 모습이다. 셋째, 독일교과서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논쟁적인 부분에 있어 여러 가지 관점을 제시하는 다원적 관점의 활용이다. 학생들에게 문제의식을 제시하는 사료와 질문을 통하여 스스로가 역사적으로 사고하고 판단할 수 있는 학습이 항상 강조되고 있다. 반면 일본교과서의 경우 토론을 요구하는 활동은 거의 없고, 개인의 입장을 정리해보는 탐구학습의 개수도 현저하게 적다. 넷째, 일본의 역사교과서는 과거에 대한 대면에 있어서 부정적 과거를 거부하고 있는 반면, 독일은 부정적 과거 또한 자신들의 역사에 수용하고 있다. 독일의 역사교과서는 과거극복과 전쟁책임에 대해 독일인 전체의 책임임을 나타내는 서술이강조되는 반면 일본의 경우 전쟁에 대한 책임과 반성의 모습이 부족하다. 제2차 세계대전에서 벌어진 다양한 역사적 사건에 관한 역사교육은 민주와 인권과 같은 보편가치의 중요성을 학생들에게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소중한 역사교육의 소재이기도 하다. 교과서를 통해 이러한 점을 충실히 교육하는 독일의 교육환경은 성숙한 민주시민을 양성하는 산실이라고 할 수 있다. 스스로에 대한 반성을 통해 건강한 시민사회와 국제관계를 만든 독일의 모범적 사례처럼, 일본과 한국의 역사교육과 역사교과서도 이러한 지향점을 향해 나아가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웹툰의 유동적 페이지에 관한 연구- 웹툰 <악당의 미학>을 중심으로

        김가영,김이진 한국영상학회 2022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20 No.2

        웹툰은 인터넷의 보급과 함께 나타나 성장하여 지금은 우리나라의 만화를 대표하는 형태로 자리 잡았다. 웹툰의 지배적인 형식인 무한히 이어지는 세로 스크롤 캔버스는 출판만화와 확연히 다른 특성으로서 크게 주목받았고 그에 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진 데 반해 웹툰을 읽을 때 스크롤이 정지되는 순간 하나의 이미지로서 나타나는 ‘페이지’는 그다지 중요하지 않은 것으로 인식되거나 나아가 하나의 온전한 ‘페이지’는 아예 없는 것으로 간주되었다. 그러나 웹툰을 읽는 행위에는 스크롤을 내리는 것과 그림을 보고 글자를 읽기 위해 멈추는 것, 두 행위가 존재한다. 독자가 스크롤을 멈추는 순간에 드러나는 이미지가 출판만화의 페이지와 유사함을 근거로 하여 이를 ‘웹툰의 유동적 페이지’라고 부르고자 한다. 이 연구를 통해 하나의 유동적 페이지라 부를 수 있는 웹툰의 단위에 대해 정의하고, 페이지를 이루는 요소가 웹툰 페이지에 어떻게 프레이밍되는지 고찰하였다. 이어서 이흰이 쓴 웹소설 <악당의 미학>을 원작으로 하여 연구자가 연출한 웹툰 <악당의 미학>을 분석함으로써 유동적 페이지를 고려한 연출이 제작의 단계에서 어떻게 적용되었는지 설명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스크롤 시 발생하는 유동적 페이지라는 개념적 단위가 웹툰의 제작과 감상, 그리고 비평에 필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을 말하고자 한다. Currently, webtoons, which appeared and developed with the spread of the Internet, are a representative type of cartoon in our nation. As a dominant form of webtoons, the vertical scroll canvas, which continues infinitely, has attracted much attention due to its distinctly different characteristic from that of published cartoons, leading to much related research. Therefore, a ‘page’ shown as a single image when scrolling is stopped while reading a webtoon and is regarded as insignificant, and it is even assumed there is no complete ‘page’. However, when reading a webtoon, the two main activities are scrolling down and stopping to look at the pictures and read the text. This study found that the image shown when a reader stops scrolling is similar to a page of a published cartoon, referring to such imagery as a ‘flexible page of a webtoon’. The research thus defines the unit of a webtoon and investigates how the elements that make up the page are framed. Subsequently, a case study of the webtoon "A Most Virtuous Villain" directed by the researcher based on the web novel “A Most Virtuous Villain” written by Lee Huin is used, with an explanation of how the flexible page of a webtoon is applied at the stage of production. We discuss how this flexible page generated when scrolling and reading webtoons is the conceptual unit necessary for the production, appreciation, and criticism of webtoons.

      • KCI등재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자살사고의 관계에서 시간조망의 매개효과

        김가영,박경 한국심리치료학회 2011 한국심리치료학회지 Vol.3 No.1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생활 스트레스와 자살사고의 관계에서 시간조망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매개효과 검증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시간조망의 하위변인을 단일 요인으로 보고, 각각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 소재고등학교의 학생 537명이며, 연구 도구는 자살사고 척도, 스트레스척도, 시간조망 척도 등이다. 매개효과 검증을 하기에 앞서 이들 변인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1) 스트레스와 자살사고간의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고, 2) 스트레스와 시간조망의 하위 유형 중, 과거부정, 과거긍정, 현재숙명, 미래지향 시간조망간의 유의미한 상관, 3) 시간조망의 하위 유형 중, 과거부정, 과거긍정, 현재숙명 시간조망이 자살사고와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다. 상관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매개효과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과거부정 시간조망은 스트레스와 자살사고의 관계를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과거부정시간조망을 주로 사용하는 청소년들은 스트레스가 증가하였을 때, 과거를 부정적으로 조망하는 경향이 더 높아지고, 이는 자살사고를 증가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스트레스와 자살사고와의 관계에서 현재숙명 시간조망의 완전매개 효과가 입증되었다. 이는, 현재숙명 시간조망을 주로 사용하는 청소년들은 스트레스가 증가하였을 때, 현실의 상황을 스스로 조절할 수 없는 것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높아져, 자살사고를 증가시키도록 만든다는 것을 나타낸다. 한편, 과거긍정시간조망은 스트레스와 자살사고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충북의 집중호우 피해 현황 및 대응 방향

        김가영,변성수,장서윤,배민기 충북연구원 2020 충북 FOCUS Vol.- No.184

        □ 문제의 제기 • 2000년대 이후, 충북에는 꾸준히 집중호우(태풍 동반 포함)가 발생하고 있지만, 집중호우 기간 중 발생되었던 일부 문제점들이 반복하여 발생되고 있음 • 기후가 변함에 따라, 장마전선의 유무와 상관없이 비가 오랫동안 내리거나 스콜성 폭우와 같은 양상이 나타나고 있어, 집중호우에 대한 피해 대비를 적극적으로 추진해야 할 시점임 • 2020년 집중호우를 대상으로 발생 원인, 피해 양상, 대응 시 문제점들을 되짚어 보고, 향후 언제든, 어디서든 발생할 수 있는 집중호우에 대한 지자체 및 주민의 피해 최소화 방향을 제안하고자 함 □ 대응방향 • 예방 시설 확대 및 시설물 관리체계 개선 추진 - 지역특성을 고려한 철도 시설물 관리 체계 개선 - 시대 뒤처진 홍수 관련 댐 규정 개선 - 사방댐 시설 확대 가속화 - 도로용 하수관 관련 체계 및 규정 개선 - 빗물받이 사전 관리 및 처벌 기준 확대 - 지방하천 지속 정비 및 국가하천 승격 추진 • 중앙정부와 지자체, 민간의 유기적인 협력체계 구축 - 댐 운영자와 지역주민 간 상생 협의체 마련 - 지자체의 신속한 공공안전경보 알람 활용 • 주민 대응역량 강화, 이재민 심리회복 지원 등 - ‘호우 국민행동요령’ 홍보 강화 - 재해 발생 목격 시 안전을 기반으로 적극적인 대응 유도 - 이재민 구호 및 재난심리회복 지원체계 구축 등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