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PTR-TOF-MS를 활용한 비료제조시설의 악취 발생 특성 연구

        길한뉘,공부주,김기홍,윤상희,강대일 한국냄새환경학회 2023 실내환경 및 냄새 학회지 Vol.22 No.2

        This study investigated the odor emission characteristics of fertilizer manufacturing facilities. The characteristics were evaluated by measuring the odor concentration at the outlet and site boundary of the complex fertilizer and organic fertilizer manufacturing facilities. The evaluation process utilized the air dilution sensory method and PTR-TOF-MS. The complex odor dilution factor ranged from 100 to 120 times at the outlet of the compound fertilizer manufacturing facility. Specifically, the concentrations of Ammonia and Aldehydes were relatively high as designated odor substances. For the organic fertilizer facility, the dilution factor for complex odors was measured up to a maximum of 3,000. And, designated odorants such as Ammonia and Hydrogen sulfide were measured at levels up to parts per million (ppm). The odor contribution assessment of the fertilizer manufacturing facilities showed that the complex fertilizer facility exhibited similar contributions from Aldehydes and Sulfur compounds. On the other hand, the organic fertilizer facility had the highest contribution of over 62% from Sulfur compounds. As odor substances are easily changed and diffused according to weather conditions, it is difficult to obtain representative data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time. Therefore, if continuous monitoring of odorous substances is performed using equipment that can be measured in real time without pretreatment, it becomes feasible to identify odor emission sources and regional spatio-temporal distribution. This information would then serve as a basis for analyzing odorant contamination characteristics and establishing appropriate countermeasures.

      • 굴뚝 조건에서 나피온 드라이어의 HCl 회수율 연구

        길한뉘,Dinh Trieu Vuong,이지현,최인영,이상우,박병규,김인영,김조천 한국대기환경학회 2021 한국대기환경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10

        염화수소(HCl)는 대기 중에 존재하는 물질 중에 유독한 물질일 뿐만 아니라 상온, 상압에서 무색의 기체이다. 대기 중으로 배출된 염화수소는 염산 미스트를 형성하고, 상기도(上氣道)의 점막을 자극하며 기침과 호흡곤란을 일으키는 오염물질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염화수소는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Tele -monitoring system, TMS) 측정항목 중 하나로 배출시설에서 배출되는 대표적인 특정대기유해물질이다. 생활쓰레기 소각시설 및 발전소와 같은 사업장 굴뚝에서 배출되는 가스는 다량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어 TMS를 사용한 굴뚝배출가스 측정 시에 수분 제거 및 전처리 장치가 필수적이다. 수분 전처리 장치는 분석장치 도입부 전에 수분을 제거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며, 수분 제거 시 측정대상물질의 손실이 없어야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현재 굴뚝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Cooler의 경우 시료가스를 이슬점 이하로 냉각하여 시료가스 내의 수분을 단순 응축시켜 제거하는 원리로 작동한다. 이 과정에서 극성이 큰 염화수소는 수분과 같이 응축되어 제거되기 때문에 심각한 물질 손실률이 발생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나피온 드라이어(Nafion dryer)의 HCl 회수율을 평가하고 굴뚝에서 배출되는 염화수소의 측정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기초연구를 수행하였다.

      • KCI등재

        인천시 악취민원 다발지역의 악취발생 특성 연구

        길한뉘,이유경,이경원,김기홍,박정민,공부주 한국냄새환경학회 2022 실내환경 및 냄새 학회지 Vol.21 No.4

        Incheon is an area where complaints about odors occur frequently and there are many sources of odor emission. In this study, we used a real-time monitoring device to measure the odorous concentration near the areas where there are complaints about odors. The measurements were carried out for the three areas (G, C, S) that are located around emissions sources. G is situated in an industrial complex that has a reputation for being one of the most foul smelling regions of Incheon. A petroleum refining plant and storage facility are located around C. S is a residential area nearby an industrial site. The concentration of major designated odor substances in the G and S areas satisfied the site boundary emission standards. With regard to the characteristics of odor substances by region, although the C area region had the highest odor intensity among the three regions due to the odor intensity near the oil storage facility areas G and S were similar in terms of odor intensity. In the region of the G area, the odor intensity was slightly higher at the northern side of the industrial complex. In terms of the odor intensity of the designated odor substances, trimethyl amine was the strongest, followed by hydrogen sulfide. The real time monitoring system was necessary to analyze the changing trends of odor substances and for the determination of major odor sourc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material causes of odors in areas of Incheon where there are frequent complaints about major odors. .

      • KCI등재

        PTR-TOF-MS를 이용한 농업잔재물 소각의 배출오염물질 연구

        이경원,김기홍,길한뉘,공부주,박정민 한국도시환경학회 2022 한국도시환경학회지 Vol.22 No.4

        Agricultural residues burning is mainly emission source of air pollutants because it is directly emitted to atmosphere without pollution control system. Also, it is difficult to measured the emissions of air pollutants. Therefore, the observation methods are needed for the on-inspection of biomass burning. In this study, mobile monitoring system equipped with proton transfer reaction time-of-flight mass spectrometric (PTR-TOF-MS) was used to measure the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The PM2.5 concentration of South-wsetern of Korea increased at wheat harvest season (June) due to the agricultural residues burning. The concentration of acetonitrile and benzene were highly increased at the harvest season compared to the growing season. 농업부산물 연소는 방지시설을 거치지 않고 대기오염물질이 배출되기 때문에 대기환경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 또한 , 소각물질이 일정하지 않고 불특정 장소에서 산발적으로 발생한다는 특징이 있다 . 따라서 이러한 생물성연소는 불특정 배 출원에 대한 배출현황을 파악하고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 실제 국내 보리재배지역에서는 수확시기 (6월) 농업부산물 연 소로 인해 타 지역보다 PM2.5 농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 본 연구에서는 PTR-TOF-MS를 이용하여 전남지역 에서 생물성연소로 인해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인 VOCs의 종류 및 농도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였다 . 연구결과 수확시기 에 농업잔재물 소각으로 인해 아세토니트릴 , 벤젠 등 대기오염물질 배출을 확인할 수 있었다 .

      • 실내 공기 감염 예방을 위한 오존 및 UVC-LED의 최적 통합 조건 연구

        이지현,Dinh Trieu Vuong,길한뉘,박병규,이상우,김인영,최인영,김조천 한국대기환경학회 2021 한국대기환경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10

        최근 실내 활동 거주 시간이 늘어남에 따라 화학적 및 생물학적 위해 물질로부터의 실내 공기 질 관리에 대한 국민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대부분의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환자는 실내 공기 중에 감염되었고, 이는 전체 감염 사례 중 약 80%로 나타나 바이러스로 인한 실내 공기 질 개선이 시급한 사안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기침, 재채기, 말하기 등 인간의 호흡기를 통해 배출되는 비말인 에어로졸을 통해 전염될 수 있다고 알려져 있어, 바이오 에어로졸(Bioaerosols)의 살균 또는 비활성화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세균을 비활성화하는 방법으로는 오존과 UVC가 널리 적용되어 왔다. 일반적으로 오존과 UVC는 각각 강한 산화성을 보이나 오존과 UVC간 상호 작용도 발생한다. 오존은 200 nm~300 nm 범위의 UV를 강하게 흡수할 수 있고, 240 nm~310 nm의 UV는 오존을 산소분자와 산소라디칼로 분해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오존과 UVC를 적용한 시스템을 이용하여 실제 오존과 UVC의 상호작용과 바이러스 비활성화에 적합한 통합 조건을 파악하기 위한 기초 실험을 진행하였다. 오존과 UVC 상호작용을 파악하기 위해서 제거 대상 화합물로 스타이렌이 사용되었으며, 다양한 반응시간과 오존 및 UVC의 반응 순서 조건을 달리하여 최적의 통합 조건을 고찰하였다. 스타이렌과 오존 또는 UVC의 반응시간은 1분, 10 분, 30 분으로 설정되었다. 오존 농도는 50 ppmv, 100 ppmv, 200 ppmv로 유지하였고, 이때 UVC는 파장 275 nm의 UVC-LED 모듈을 사용하였다.

      • KCI등재

        가스센서를 이용한 파프리카 냄새 특성 평가

        홍성주,최일환,김용근,남우현,길한뉘,서정아,김선태 한국냄새환경학회 2017 실내환경 및 냄새 학회지 Vol.16 No.2

        This study was designed to assess the odor characteristics of paprika with metal oxide gas sensors. Non-decayed paprika and decayed paprika were assessed by sensor array system comprising 10 kinds of sensors. Three representative sensors were selected from among the 10. Selection was based on a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sensors from the results of the sensor array assessment on non-decayed paprika. It was found that the odor variation characteristics of paprika can be assessed by metal oxide gas sensors and that the odor variation characteristics of paprika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 of gas sensors. The odor characteristics of paprika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color, the presence or absence of decay, the location of decay, the type of sensor, and the passage of time. Regardless of decay, the sensor response value of orange paprika was the highest, with the 2611 sensor yielding the highest response value. The SB-AQ1 sensor could not identify the difference in odor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decay, while detection was possible by both SB-41 and 2611 sensors.

      • 적외선 광원 재질이 Multi NDIR 측정기 민감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박병규,딘브엉,이상우,이지현,길한뉘,김인영,최인영,김조천 한국대기환경학회 2021 한국대기환경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10

        비분산적외선흡수법(Non-Dispersive infrared, NDIR)의 구성요소로는 광원, 시료셀, 가스필터, 검출기 등이 있다. 이 중 적외선 광원은 NDIR 측정기 민감도에 영향을 끼치는 주요 부분 중 하나이다. 광원의 온도와 재질에 따라 적외선의 세기가 달라지며, 방출하는 스펙트럼에 따라 분자가 흡수하는 적외선의 양이 달라진다. 이러한 차이는 측정기 민감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 본 연구에서는 스펙트럼이 다른 적외선 광원 재질이 측정기 민감도에 끼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해서 사용된 NDIR은 NARA Controls사의 Multi-Gas Analyzer (NMA-N500)이다. 측정 가스는 CO, SO₂, NO이며, 0~200 ppm 범위를 측정하였다. 적외선 광원은 HAWKEYE사의 IR-Si207(재질: Silicon Carbide)과 HELIOWORKS사의 EK-3430 (재질: Kanthal Filament)을 이용하였으며, 각 광원을 설치한 측정기에 표준가스를 주입하여 분석 신호를 측정하였다. 분석 신호는 가스 주입시작과 동시에 변화 그래프를 확인하고 신호가 안정화되었다고 판단된 시점의 신호를 이용하였다. 측정된 신호값을 이용하여 검정 곡선을 작성한 후 각 광원에 대한 차이점을 살펴보았다. SO₂의 경우, 검정곡선 기울기비가 1.09로 광원의 차이에 따른 변화가 작게 나타났다. 이는 SO₂ 가스의 민감도가 상대적으로 높아 광원의 재질에 따른 영향이 거의 없기 때문이다. 반면 CO와 NO의 경우, 검정곡선 기울기비가 약 1.20으로 상대적으로 큰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 두 가스는 낮은 민감도를 가지기 때문에 1.2배 높은 기울기를 가지는 광원을 사용하는 것이 작은 차이임에도 민감도를 높이는 방안이 된다. 이를 통해 3가지 이상(CO, SO₂, NO등)의 가스를 측정하는 Multi-Gas Analyzer에는 Silicon Carbide로 이루어진 적외선 광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