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뇌혈류 단일광자방출단층촬영 영상 품질 향상에 대한 연구

        길상형,임영현,박광열,조성묵,Kil, Sang-Hyeong,Lim, Yung-Hyun,Park, Gwang-Yeol,Cho, Seong-Mook 대한핵의학기술학회 2019 핵의학 기술 Vol.23 No.2

        Purpose Tc-99m HMPAO is widely used radiopharmaceutical for brain perfusion SPECT. Tc-99m HMPAO is chemically unstable and is liable to show deterioration of labeling efficiency due to high incidence of secondary Tc-99m HMPAO complex, free pertechnetate and reduced-hydrolyzed Tc-99m.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whether sialogogues administration could reduce the impurities of Tc-99m HMPAO. Materials and Methods In thirty subjects(20 male and 10 female, age range 19~89 years, mean age $60.7{\pm}14.5years$), brain perfusion SPECT were performed at basal and citric acid stimulation states consecutively after injection of 555 MBq of Tc-99m HMPAO. In the salivary glands, the uptake coefficient was calculated using Siemens processing program. Statistical comparison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citric acid stimulation performed paired t-test. P value less than 0.05 was regarded as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Salivary glands uptake was $12900{\pm}3101$ counts in basal and $10677{\pm}2742$ counts in citric acid stimulation states. Unnecessary impurities in the body is much decreased after citric acid administration(t=10.78, P<0.05). The image quality was much improved after administration of citric acid and the regional cerebral perfusion was clearly from demarcated the background. Conclusion The impurity is distributed throughout the body particularly in the salivary glands and nasal mucosa when Tc-99m HMPAO brain perfusion SPECT is performed. If this impurities is not removed, the quality of the image may deteriorate, resulting in errors in visual evaluation. The use of sialogogues could be helpful for decreasing unnecessary impurities in the body.

      • KCI등재

        방사선 피폭선량에 대한 생체 조직의 임피던스 변화

        길상형,이무석,남지호,이영화,김군도,이종규,Kil, Sang Hyeong,Lee, Moo Seok,Nam, Ji Ho,Lee, Yeong Hwa,Kim, Gun Do,Lee, Jong Kyu 대한방사선방어학회 2013 방사선방어학회지 Vol.38 No.4

        생체 조직의 전기 신호는 살아 있는 조직과 관련된 많은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생체 조직에 생물학적 변화가 있으면 고유의 전기적 특성이 변화한다. Impedance/Gain-phase analyzer로 1 KHz에서 1 KHz까지 주파수 대역을 설정한 다음 교류 주파수를 인가하며 돼지안심 조직의 임피던스 특성을 방사선 피폭선량에 따라 변화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임피던스 크기는 주파수에 비례하여 감소하였으며, 상관계수(r)가 -0.96으로 높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위상차 변화는 거의 없었으며 조직은 저항성을 나타내었다. 측정값은 변동계수가 ${\pm}5$%이내로 재현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측정 시간 경과에 따른 임피던스 크기와 위상차 변화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방사선 피폭 시 임피던스 변화는 대조군과 비교했을 때 1 Gy, 2 Gy, 4 Gy 피폭 선량에서는 임피던스 크기는 감소하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p>0.05) 그러나 10 Gy 피폭 선량에서는 임피던스 크기 감소가 유의적으로 나타났다.(p<0.05) 방사선 피폭선량이 증가하여도 위상차 변화는 거의 없었으며, 대조군과 비교했을 때 1 Gy, 2 Gy, 4 Gy, 10 Gy 모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본 연구를 통해 생체 조직의 전기적 특성을 이해 할 수 있었고, 방사선 피폭선량에 따른 임피던스 변화를 측정하여 방사선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직접 평가 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방사성요오드 치료 시 완하제 투여 효과

        길상형,이효영,박광열,조경남,백승주,황교민,조성묵,최재혁,Kil, Sang-Hyeong,LEE, Hyo-Yeong,Park, Kwang-Yeol,Jo, Kyung-Nam,Baek, Seung-Jo,Hwang, Kyo-Min,Cho, Seong-Mook,Choi, Jae-Hyeok 대한핵의학기술학회 2014 핵의학 기술 Vol.18 No.1

        Purpose: Our goals were to evaluate the effect of high dose radioiodine treatment for thyroid cancer by taking in laxatives. Materials and Methods: Twenty patients(M:F=13:7, age $46.3{\pm}8.1\;yrs$) who underwent high dose radioiodine treatment were seperated into Group 1 taking $^{131}I$ 5,500 MBq and Group 2 with the use of laxatives after taking $^{131}I$ 5,500 MBq. The whole body was scanned 16 hours and 40 hours after taking radioactive iodines by using gamma camera, the ROIs were drawn on the gastro-intestinal tract and thigh for calculation of reduction ratio. At particular time during hospitalization, the radioactivity remaining in the body was measured in 1 meter from patient by using survey meter (RadEye-G10, Thermo Fisher Scientific, USA). Schematic presentation of an Origin 8.5.1 software was used for spatial dose rate. Statistical comparison between groups were done using independent samples t-test. P value less than 0.05 was regarded as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The reduction ratio in gastro-intestinal 16 hours and 40 hours after taking laxatives is $42.1{\pm}6.3%$ in Group 1 and $72.1{\pm}6.4%$ in Group 2. The spatial dose rate measured when discharging from hospital was $23.8{\pm}6.7{\mu}Sv/h$ in Group 1 and $8.2{\pm}2.4{\mu}Sv/h$ in Group 2. The radioactivity remaining in the body is much decreased at the patient with laxatives(P<0.05). Conclusion: The use in combination with laxatives is helpful for decreasing radioactivity remaining in the body. The radioactive contamination could be decreased at marginal individuals from patients.

      • KCI등재

        방사선조사가 금붕어 장관평활근 수축활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

        길상형,이종규,김동원,문경희,옥치일,이미란,이종오,조승일 한국물리학회 2008 새물리 Vol.56 No.2

        Irradiation, which acts directly on human tissue and produces reactive oxygen radicals by ionizing water molecules, causes significant morbidity and mortality. Muscle tissue is damaged by direct action of the radiation and by oxygen radicals produced by the radiation. The irradiation caused contractility changes in the smooth muscles in the intestine of goldfish, and those changes were measured by using a physiograph. A total of 36 healthy goldfish weighing from 50 to 70 g were divided into nine groups. The control group was without irradiation. The eight experimental groups were sacrificed at 2 hours, 1 day, 2 days, 3 days, 4 days, 6 days, 9 days, and 40 days after 10-Gy irradi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contractility of the control group was about a gravitational force of 1.15$\pm$0.15 g. 2. The contractility decreased to 0.76$\pm$0.10 g, 0.52$\pm$0.10 g, 0.53$\pm$0.17 g, 0.55$\pm$0.07 g, and 0.67$\pm$0.14 g (p $<$ 0.05) at 2 hour, 1 day, 2day, 3 day, and 4 day after irradiation, respectively. Although the contractilities on the 6th day, the 9th day, and the 40th day were also less than the control contractilities of 0.92$\pm$0.18 g 1.02$\pm$0.16 g, and 1.07$\pm$0.15 g, respectively,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 $>$ 0.05). 3. After irradiation, the contractility decreased with time until day 3. However, the contractility was observed to increase on day 4 and continued to increase through day 40. Ultimately, the contractility of the smooth intestinal muscles of goldfish recovered to normal at a time greater than 40 days following the irradiation. 방사선조사 시 방사선의 직접적인 작용, 자유산소기의 간접적인 작용에 의해 근육 손상이 일어난다. 방사선조사가 금붕어 장관평활근의 수축활성에 어떤 영향을 나타내는지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작하였다. 선형가속기를 이용하여 6 MV X-선 10 Gy를 금붕어에 전신조사 후 시간 경과에 따라 4마리씩 총 8개 실험군으로 분류하여, 장관평활근 수축활성 변화를 생리기록기로 각각 3번씩 측정하여 대조군 (Co)과 비교하였다. 방사선조사로 금붕어 장관평활근에 손상이 일어나 근육 미세구조의 변화가 나타났으며, 방사선조사 후 4일, 6일, 9일에는 출혈, 색변성 등 장관평활근의 변화가 관찰되었고 사망하는 개체도 있었다. 방사선조사 후 시간 경과에 따른 금붕어 장관평활근의 수축성 변화는 대조군 (Co)의 장관평활근 수축활성이 1.15$\pm$0.15 (g중)이었던 것이 방사선조사 후 2시간, 1일, 2일, 3일, 4일까지는 각각 0.76$\pm$0.10 (g중), 0.52$\pm$0.10 (g중), 0.53$\pm$0.17 (g중), 0.55$\pm$0.07 (g중), 0.67$\pm$0.14 (g중)으로 수축활성이 50 \% 정도 감소하였다. 방사선조사 후 6일, 9일, 40일에는 금붕어 장관평활근 수축활성이 0.93$\pm$0.18 (g중), 1.02$\pm$0.16 (g중), 1.07$\pm$0.15 (g중)으로 방사선조사 전 보다 수축활성은 감소하였으나 그 정도는 그리 크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방사선 조사후 4일 이후부터는 손상된 세포가 회복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핵의학 체내검사 업무 단계 별 피폭선량 측정 및 분석을 통한 피폭선량 감소 방안

        길상형,임영현,박광열,조경남,김정훈,오지은,이상엽,이수정,전지탁,정의호,Kil, Sang-Hyeong,Lim, Yeong-Hyeon,Park, Kwang-Youl,Jo, Kyung-Nam,Kim, Jung-Hun,Oh, Ji-Eun,Lee, Sang-Hyup,Lee, Su-Jung,Jun, Ji-Tak,Jung, Eui-Ho 대한핵의학기술학회 2010 핵의학 기술 Vol.14 No.2

        핵의학 체내검사 업무 단계 별 작업종사자의 피폭선량을 측정 및 분석하여 환자 검사 및 업무효율 저하를 발생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종사자의 피폭선량을 최소로 감소할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사성동위원소를 이용한 핵의학 체내검사 업무는 방사성 동위원소 분배, 방사성동위원소 주사($^{99m}Tc$, $^{18}F$-FDG), 환자 안내 및 검사로 이루어진다. RadEye-G10 측정기기(Thermo SCIENTIFIC)를 이용하여 각 업무 단계 별 피폭선량을 측정 및 분석 하였다. 방사성동위원소를 환자에게 주사하는 과정에서 많은 피폭이 발생하므로 작업종사자의 피폭선량을 최소로 줄일 수 있도록 외부피폭 방어에 대한 교육과 방사성동위원소 주사 시 보호구를 착용하도록 하였으며 주사 전 검사에 대한 설명 및 주의사항을 교육하여 주사 후 환자와의 대면시간을 단축하여 피폭선량을 줄이도록 하였다. 방사성동위원소 주사 시 보호구 착용 유무에 따른 피폭선량과 주사 전 검사에 대한 설명 및 주의사항 교육 유무에 따른 피폭선량을 측정하였다. 총 피폭선량은 icrosoft office Excel 2007을 이용하여 그래프로 나타내었으며 피폭선량의 차이는 SPSS program 12.0을 이용하여 wilcoxon signed ranks test로 분석 하였다. 이 때 p값이 0.01 이하인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 하다고 판단하였다. $^{99m}Tc$-DPD 20 mCi를 보호구를 착용하고 주사 시 피폭되는 선량은 보호구를 착용하지 않고 주사 시 피폭되는 선량보다 88% 감소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0.01). $^{18}F$-FDG 10 mCi를 보호구를 착용하고 주사 시 피폭되는 선량은 보호구를 착용하지 않고 주사 시 피폭되는 선량보다 26% 감소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1). $^{99m}Tc$-DPD 20 mCi를 주사 전 검사에 대한 설명 및 주의사항 교육 시 피폭되는 선량은 주사 후 검사에 대한 설명 및 주의사항 교육 시 피폭되는 선량보다 63% 감소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18}F$-FDG 10 mCi를 주사 전 검사에 대한 설명 및 주의사항 교육 시 피폭 되는 선량은 주사 후 검사에 대한 설명 및 주의사항 교육 시 피폭되는 선량보다 52% 감소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방사성동위원소 $^{99m}Tc$을 이용하는 검사에서는 보호구 착용이 피폭선량을 줄이는데 더 효과적이고 $^{18}F$-FDG를 이용하는 검사에서는 주사 후 환자와의 대면시간을 단축하는 것이 피폭선량을 줄이는데 더 효과적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방사성동위원소의 특성에 따라 차폐 방안을 모색한다면 더욱 더 효과적이고 적극적인 방사선 차폐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자동제어 측정 시스템을 이용한 생체 조직의 임피던스 평가

        길상형(Sang-Hyeong Kil),이무석(Moo-Seok Lee),김상식(Sang-Sik Kim),신동훈(Dong-Hoon Shin),이성모(Seong-Mo Lee),김군도(Gun-do Kim),이종규(Jong-Kyu Lee) 한국비파괴검사학회 2015 한국비파괴검사학회지 Vol.35 No.4

        생체 조직은 세포 배열이나 조직 형태 등 다양한 차이에 의해 각각 고유의 전기적 특성을 가지며, 생물학적 변화가 일어나면 고유의 전기적 특성이 변한다. 본 연구는 방사선 피폭에 따른 생체 조직의 전기적 특성 변화를 측정하기 위한 선행연구로 측정 과정에서 방사선 피폭 우려가 있으므로, 실험자의 방사선 장애를 방지하기 위해 LabVIEW를 이용하여 자동제어 측정 시스템을 개발한 후 생체 조직의 특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생체 조직의 전기적 특성 측정전·후 형태학적 변화를 관찰한 결과 조직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으며, 유사한 양상이었다. Impedance/Gain-phase analyzer로 생체 조직의 임피던스를 반복 측정한 결과 변동계수가 10% 미만으로 측정값은 재현성이 있었다. 주파수 변화에 따른 생체 조직의 전기적 특성 중에서 위상차 변화는 거의 없었으며, 조직은 저항성을 나타내었고, 임피던스 크기는 주파수에 비례하여 일정하게 감소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생체 조직의 전기적 특성 변화를 측정할 수 있는 자동제어 시스템을 개발하였으며, 생체 조직의 전기적 특성을 이해할 수 있었다. Each biological tissue has endemic electrical characteristics owing to various differences such as those in cellular arrangement or organization form. The endemic electrical characteristics change when any biological change occurs. This work is a preliminary study surveying the changes in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biological tissue caused by radiation exposure. For protection aganinst radiation hazards, therefore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living tissue were evaluated after development of the automatic control measurement system using LabVIEW. No alteration of biological tissues was observed before and after measurement of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and the biblogical tissues exhibited similar patterns. Through repeated measurements using the impedance/gain-phase analyzer,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was determined as within 10%. The reproducibility impedance phase difference in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biological tissue did not change, and the tissue had resistance. The absolute value of impedance decreased constantly in proportion to the frequency. It has become possible to understand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biological tissues through the measurements made possible by the use of the developed. automatic control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