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원로과학기술자의 증언 2-박동길박사편

        박동,Park, Dong-Gil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1979 과학과 기술 Vol.12 No.3

        과학자가 되려면 다른 학문에 비해 어렵고 특히 기초과학연구를 하는 과학자의 경우는 더욱 어려운 공부를 계속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것은 과학자 스스로 택한 고난의 길이기에 이들은 한결같이 과학자가 된 것을 만족하게 생각하고 있다. 과학자가 되기위해 험난한 인생의 가시밭길을 무수히 헤치고 살아온 박동길박사. 박동길박사는 약관 20세에 도일, 과학자가 되기 위해 살을 여의는 듯한 고생을 무릅쓰고 오직 학업에만 열중했다. 박동길박사가 과학기술에 관심을 갖고 지금까지 걸어온 배경과 지질학을 연구하게 된 동기를 알아보는데는 까마득한 박박사의 어린시절로 돌아가야 할 것 같다. 이래서 본지는 이번호부터 박동길박사를 모셨다. <편집자주>

      • 선교적 차원에서 본 교회의 역할 : 현대선교와 교회발전

        배상 연세대학교 신과대학·연합신학대학원 1986 연세대학교 연신원 목회자 하기 신학세미나 강의집 Vol.- No.6

        예루살렘에서 여리고로 가는 길에서 강도 만난 자의 이야기는 너무나 유명하다. 제사장이나 레위인은 지나쳐 버렸으니 더 말할 여지도 없지만 선한 사마리아인이라 불리우는 그 사람에 관하여 생각해 보아야 한다. 그는 정말 선한 사람이었다. 강도 만나 신음하는 나그네를 보고 "이 나쁜 강도들, 강도를 잡아야 해. 그래야 또 다른 사람이 피해를 입지 않지" 하고 흥분하여 강도가 숨어 있을만한 곳을 찾아 헤맸다면 나그네는 죽지 않았겠는가? 강도를 잡고, 길을 넓히고, 가로등을 달고, 보초를 세우고 하는 일도 근본적인 문제 해결을 위해 필요한 일이지만, 신음하고 있는 나그네를 보살피는 것이 우선이 아니겠는가? 지금 즉각적으로 돕는 방법을 강구하고 실천해야 한다. 그래서 예수님도 사마리아인을 진정한 이웃이라고 하시지 않았겠는가? 교회가 선교적 사명을 다하기 위해서는 두 가지 역할을 적절하게 해야 한다. 하나는 예언자적 역할이고 다른 하나는 제사장적 역할이다. 이들은 서로 대립 관계가 아니고 보완 관계다. 목적이 같아야 건강한 사회를 만드는 것이다. 다만 사회 형편에 따라 교회가 예언자가 되어야 할 때가 있고, 제사장이 되어야 할 때도 있다. 사회 건강상태에 따라 역할이 변하는 것이다. 또한 동시대에 이 사회는 예언자도 제사장도 필요하다.

      • 『法集別行錄節要?入私記』와 知訥 禪思想의 構圖

        희성 보조사상연구원 2002 보조사상 Vol.17 No.-

        거기에 필요에 따라 자신의 견해(私記)를 첨부한 것이지만, 지눌 사상의 전모를 가장 포괄적으로 담고 있다는 점에서 그 자신의 저술로 간주해도 무방하다. 나는 이 논문에서 『절요』가 지눌 사상 일반에서 차지하고 있는 위치를 지눌의 여타 저술들과의 관계를 살펴보면서 논하고 이를 통해서 지눌 선 사상의 전체 구도를 밝혀보고자 한다.禪의 생명은 그 생동성에 있으며 선은 본래 체계나 구조를 혐오하지만 지눌의 선사상은 비교적 체계성과 논리적 정합성이 강한 편이다. 그 이유를 정확히 밝히기는 쉽지 않지만, 아마도 그것은 지눌이 無師獨悟한 禪師였다는 사실과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고려 중기 무신집권의 사회적 혼란기에 禪敎의 대립과 도덕적 타락으로 혼탁해진 불교계에 입문하여 일정한 스승 없이(學無常師) 구도의 길을 걷는다는 것은 대단한 주체성을 요한 일이었을 것이며, 자기가 걷고 있는 길에 대한 부단한 반성과 체계적 숙고를 요구했을 것이다. 물론 우리는 지눌의 저술들이 전부 남아 있지 않은 상황에서 이 문제에 대해서 속단을 해서는 안 된다. 지눌에게는 『修心訣』, 『眞心直說』, 『圓頓成佛論』, 『看話決疑論』과 같이 선 수행에 관한 이론적 저술만 있었던 것은 아니고 『上堂錄』, 『法語』, 『歌頌』 같은 것도 있었음을 「비명」은 전하고 있다. 이들이 우리에게 전해졌더라면 아마도 우리는 지눌 선의 다른 면을 볼 수 있었을지도 모른다. 실제로 「비명」은 지눌이 임종 전에 문인들과 나눈 문답을 소개하고 있는데 활달한 선사로서의 그의 면모를 유감 없이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다른 한 편, 지눌이 선에 관하여 이론적 성격이 짙은 저술들을 다수 남겼다는 것은 선사로서의 그의 특성 가운데 하나라고 평할 수 있으며, 그의 저술들 속에 발견되는 사상의 명료성과 체계성은 그로 하여금 한국 불교사에 지속적 영향을 미칠 수 있게 만든 한 요인이 되었을 것이다.그의 저술들 가운데서도 『절요』는 그의 만년의 저술로서 선의 이론과 실천 양면에서 그의 사상을 가장 포괄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절요』는 지눌 사상을 구성하고 있는 다양한 주제들을 거의 총망라하여 다루고 있기 때문에 『수실결』이나『진심직설』과 같은 다른 저술에 비해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체계성이 다소 떨어지는 산만한 저술이라는 느낌을 주는 것도 부인하기 어려운 사실이다. 따라서 우리는 『절요』에서 지눌이 다루고 있는 다양한 주제들을 그의 다른 저술들과 대비해보면서 지눌 사상의 전체 구도와 체계를 밝힐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전후의 시작과 진보진영의 전쟁책임 문제 — ‘정치와 문학’ 논쟁을 중심으로 —

        최종 한국일본사상사학회 2020 일본사상 Vol.0 No.39

        문학은 혁명운동에 복무해야만 한다는 일본공산당의 정치우선주의적 문예정책에 반대한 좌익진영의 작가들은 작가동맹의 해체와 그로인한 전향의 내적 원인으로 일본공산당운동의 오류를 지적하고 있다. 따라서 ‘정치와 문학’ 논쟁은 전향의 문제 즉 공산당의 잘못된 문예정책 때문에 작가동맹이 해체되었고 그 결과 문학자들이 전쟁에 협력하게 되었다는 인식을 포함하게 되었다. 전후의 출발점에 선 『근대문학』 동인들은 전전의 운동체험에 기초하여 계급에 대한 충성과 당파성에 의거한 활동을 지양(aufheben)하고 실존적 주체로 전후 민주주의 혁명에 복무하는 문학자의 길을 열고자 하였다. 그리고 그들은 어두운 자기체험을 극복할 수 있는 길을 실존적 자기인식에 선 문학에서 찾았다. 그들은 이러한 문학이야말로 전후의 민주주의적 과제를 달성할 수 있는 길이며 이렇게 했을 때 또 다시 전향하지 않고, 패배하지 않고, 자신의 길을 마지막까지 갈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The writers of the left wing, who opposed the Japanese Communist Party’s political-first literary policy that says literature should serve in the revolutionary movement, point to the fallacy of the Japanese Communist movement as an internal cause of the dissolution of the NAPL and the consequent movement. Thus, the “political and literary” debate has come to include the perception that the writers’ alliance was dissolved because of the problems of the front, namely the wrong literary policy of the Communist Party, resulting in the writers’ cooperation in the war. Standing at the starting point of the postwar era, the “modern literature” drivers tried to avoid activities based on “loyalty and partisanship to the classes” and open the way for writers to serve in the post-war democratic revolution as existential subjects. And they found a way to overcome the dark self-experience in literature, which stood in existential self-awareness. They judged that literature was the only way to achieve post-war democratic challenges, and that it would lead their way to the end without turning again, without being defeated, without losing.

      • KCI등재

        특집 1 : 심학(心學)과 실학(實學)의 재검토 ; 조선양명학의 실심실학(實心實學)과 조선 후기 실학(實學) -위당(爲堂) 정인보(鄭寅普)의 양명학관(陽明學觀)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중심으로-

        한정 ( Jeong Gil Han ) 한국실학학회 2014 한국실학연구 Vol.0 No.28

        이 글은 조선양명학의 특성을 ‘實心實學’에서 찾는 것이 어떤 의의와 문제점이 있는지를 규명하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근래의 많은 양명학 연구가들이 조선양명학을 실심심학으로 규정하는데, 그것은 위당 정인보의 양명학 연구로부터 영향을 받은 바 크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위당의 양명학관을 중심으로 조선양명학을 실심실학으로 규정하는 것이 지니는 의의와 문제점을 검토하고, 그것을 보완할 수 있는 방안을 살펴보았다. 위당은 조선후기 실학과 구분되는 조선양명학의 특성을 실심실학에서 찾는다. 위당이 양명학을 실심실학으로 이해한 데에는 크게 세 가지 점에서 그 의의를 지닌다. 첫째는 양명학을 실심실학으로 규정함으로써 實心과 무관하게 학문을 해온 조선의 주자학자들을 비판할 수 있는 논리적 기반을 제공했다는 점이다. 둘째는 양명학의 근본정신을 누구라도 쉽게 자기 안에서 확인할 수 있는 ‘一眞無假’한 實心에서 찾음으로써 민중들을 보다 쉽게 각성시킬 수 있는 길을 마련했다는 점이다. 셋째는 일체의 판단 준거를 자기 내면의 實心에 둠으로써 사태의 시비선악과 학술의 옮고 그름을 주체적으로 이해하고 판단하고 실천할 수 있는 길을 열어주었다는 점이다. 그런데 위당의 이러한 양명학관은 적지 않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그것은 ‘실심실학’이라는 용어가 양명학만의 전유물은 아니라는 점이다. ‘실심실학’은 주자학자들이나, 양명학에 대해서 비판적인 조선 후기 실학자들도 자주 사용하는 말이다. 따라서 누군가가 실심에 근거한 실학을 주장한다고 해서 그를 곧바로 양명학자로 평가해서는 안 된다. 그럼에도 위당은 ‘조선양명학파’를 서술하면서 실심에 근거한 실학을 한다는 이유로 양명학을 이단으로 비판하는 사람들까지 양명학자로 평가하고 있다. 이것은 결국 양명학자가 아님에도 ‘조선양명학파’로 분류하는 결과를 가지고 오게 했다. 양명학을 실심실학으로 규정한 것은 그 근원을 거슬러 올라가면 하곡의 제자들이 자기 선생의 학문을 실심실학으로 규정한 데에 가 닿는다. 하곡에게서 실심은 ‘心卽理’의 心이요, 良知이다. 따라서 하곡의 실심실학은 양명학적 실심실학으로서 양지실학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하곡의 제자들이 하곡학을 ‘실심실학’이라고 규정하면서 그 이유를 설명한 것에 따르면 그들이 말하는 實心은 良知가 아니다. 이것은 실심을 양지로 보는 하곡의 견해에서 크게 벗어난 것이다. 하곡의 실심실학은 양명학적 실심실학이지만, 그의 제자들이 말하는 실심실학은 이미 양명학의 범주를 벗어나고 있다. 이 점은 소위 ‘강화학파’, 혹은 ‘하곡학파’로 불리는 이들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이들의 학문 특성을 실심실학으로 묶을 수는 있을지라도 그들 모두를 양명학적 실심실학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양명학적 실심실학으로 평가받기 위해서는 실심을 ‘심즉리’의 심이나 양지로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 앞으로 우리는 이런 기준에 입각하여 실심실학을 주장하는 이들 가운데서 양명학적 실심실학자들을 분류하는 작업을 더 진행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investigate the meaning and problem in finding the characteristics of Yang-ming Studies in the Joseon Dynasty from the ‘Practical Learning based on the Sincere Mind’. Currently many researchers of the Yang-ming studies has stated Yang-ming Studies in the Joseon Dynasty as Practical Learning based on the Sincere Mind and that has been influenced mostly from the studies of Yang-ming of Widang Jeong in-bo. Therefore, in this thesis, it will review the meaning and problem of stating Yang-ming Studies in the Joseon Dynasty as Practical Learning based on the Sincere Mind based on the Yang-ming study approach of Widang and to look into the plans to supplement it. Widang finds the characteristics of Yang-ming Studies in the Joseon Dynasty that differentiates from Practical Learning in the late Joseon Dynasty from Practical Learning based on the Sincere Mind. In terms of Widang understanding the Yang-ming studies as Practical Learning based on the Sincere Mind, there are three meanings. First, by stating Yang-ming studies as Practical Learning based on the Sincere Mind, it has provided the logical grounding that can criticize the scholars of Chu-tzu that has studied regardless of the sincere mind. Second, by finding the basic spirit of the Yang-ming studies from the sincere mind that can be confirmed easily from oneself, it has provided the way to enlighten the masses. Third, by putting the whole judgement standard in one`s own sincere mind, it has open a way to understand and judge and act on the right/wrong/ /good/evil of the state of affairs and the right/wrong of studies in a subjective way. However, such Yang-ming study approach of Widang has problem. That is, the term of ‘Practical Learning based on the Sincere Mind’ is not the exclusive property of Yang-ming studies. ‘Practical Learning based on the Sincere Mind’ has been used frequently by Chu-tzu scholars or scholars of the Practical Learning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at were critical to Yang-ming studies. Therefore, even if someone claims practical learning based on sincere mind, you cannot evaluate him as a scholar of Yang-ming studies. Regardless, by stating the ``the school of Yang-ming Studies in the Joseon Dynasty``, Widang has evaluated the people who criticized the Yang-ming studies as cult just because they pursued practical learning based on sincere mind as scholars of Yang-ming studies. This eventually resulted in categorizing them who are not Yang-ming study scholars as ‘Yang-ming study school of Joseon``. In terms of stating Yang-ming studies as Practical Learning based on the Sincere Mind, the origin goes way back to the pupils of Hagok(霞谷) Jeong, je-du(鄭齊斗) as they stated the study of their teacher as Practical Learning based on the Sincere Mind. For Hagok, the sincere mind is mind of ‘the mind is principle’ and is Innate knowledge. Therefore, Practical Learning based on the Sincere Mind of Hagok is Practical Learning based on the Innate knowledge as a Practical Learning based on the Sincere Mind of Yang-ming studies. However, as the pupils of Hagok has stated the Ha-gok Studies as ‘Practical Learning based on the Sincere Mind’, when you look into the reason, the sincere mind is not innate knowledge. This goes beyond the approach of Hagok that sees sincere mind as innate knowledge. Although the Practical Learning based on the Sincere Mind of Hagok is Practical Learning based on the Sincere Mind of Yang-ming approach, the Practical Learning based on the Sincere Mind that are stated by his pupils has already gone beyond the scope of Yang-ming studies. This goes the same to the so-called ‘Kanghwa school’, or ‘Hagok school’. Although we can group their scholar characteristics into the Practical Learning based on the Sincere Mind, we cannot take all of them as Yang-ming study of the Practical Learning based on the Sincere Mind. In order to be evaluated as a Yang-ming study of the Practical Learning based on the Sincere Mind, the sincere mind should be understood as mind or innate knowledge of ‘the mind is principle’. From now on, based on this standard, we could work more on categorizing the Yang-ming study approach of Practical Learning based on the Sincere Mind among the ones who claims Practical Learning based on the Sincere Mind.

      • KCI등재후보

        일본 지방자치단체 아웃소싱(Outsourcing)과 주민참여

        종백(吉鍾伯),하정봉(河正鳳) 경인행정학회 2012 한국정책연구 Vol.12 No.4

        1990년대 이후 일본은 지속되는 경기침체와 재정적자의 상황에서 시민사회 또는 민간과의 협력을 강조하고 있다. 특히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삼위일체개혁의 여파로 재정수입은 감소하고 있는 가운데 고령화, 경기 침체, 복지 수요 증가 등으로 담당업무는 증가하고 있다. 재정제약하에서 보다 효율적인 공공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안으로 일본의 지자체는 업무위탁, 지정관리자제도, PFI제도 등 다양한 형태의 아웃소싱제도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본 논문은 일본 지자체 아웃소싱 유형의 변화양상을 검토하는 한편 주요 아웃소싱제도의 현황 및 쟁점을 분석하였다. 특히 일본 지자체 아웃소싱에서 주민참여의 활용에 주목하여 공공서비스 민영화 제안제도를 중심으로 그 의의와 함께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예레미야서의 담론 속에서 히브리어 명사 체다카와 미쉬파트 그리고 토라와 후카의 의미

        장성 ( Jang Sung Gil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17 성경과신학 Vol.83 No.-

        본 연구는 예레미야서에 나타난 의(체다카)와 공의(미쉬파트)를 주제로 삼고 있다. 선지서에 나타나는 의와 공의의 개념을 이해하려면 그 근간이 되는 신명기서를 살펴야 한다. 필자의 견해로는 체다카와 미쉬파트는 그것을 포괄하는 더 큰 범주라 할 수 있는 토라의 개념에 포함된다. 한편, 예레미야 본문 속에 법, 규정 또는 규례 등을 나타내는 다양한 어휘들(토라, 체다카, 미쉬파트, 후카, 호크)이 쓰이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어휘들 간의 상호 연관성과 본문 상에서 어떠한 의미를 나타내는가를 살피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문 [표 1]에서 확인하게 되는 바, 체다카는 상대적으로 그 빈도수가 적고 미쉬파트가 많이 쓰였다. 한편, 체다카와 미쉬파트가 하나의 병행구로 쓰인 경우가 있는데, 총 5번 사용되었으며 화자가 미쉬파트를 말한 이유는 하나님께만 감추어진 신적 속성을 드러내기 위함이 아니라 하나님의 백성들을 통해서 이 땅 위에 실현되어야 할 하나님의 통치 원리를 나타내기 위함이다. 한편, 미쉬파트가 단독으로 쓰인 경우, 9회를 제외한 나머지 용례들에서는 하나님의 징계나 심판의 이미지가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먼저 하나님의 통치를 뜻하는 말로 쓰이거나, 사람과 사람 사이에 발생하는 문제에도 쓰고 있다. 한편, 나머지 9번의 경우에는 쉬쿠츠와 토에바에 마음을 두지 말고 돌이켜 미쉬파트의 삶을 살 것을 촉구하는 내용에 쓰였다. 성전 설교를 통해서 예레미야는 유다 백성들을 향해 길과 행위를 바르게 하라고 촉구한다. 여기서 길과 행위는 미쉬파트와 밀접한 연관성을 지닌다. 한편, 30:11에서처럼 하나님의 징계를 의미하기도 한다. 또 다른 한편, 토라와 후카의 용례도 의미하는 바가 크다. 선지자 예레미야가 이 책에서 토라를 언급한 목적은 과거로부터 현재까지 유다 백성들이 토라를 따라 삶을 걷지 않았음을 질책하기 위함이었다. 예외적으로 31:33의 경우 나의 토라라는 말을 쓰고 있는데, 하나님께서 미래에 회복의 때에 나의 토라를 그들 속에 둘 것이라고 약속하는 본문이다. 넷째, 후카와 호크는 용례는 많지는 않지만 매우 다양한 의미로 쓰인 것이 특징이다. 후카와 토라가 병행구로 쓰인 경우도 있으나 후카와 호크는 인간이 접근할 수 없는 천체의 운행 질서나 열방의 관습 또는 법적 규례를 가리키는 말로 쓰였다. 정리하면, 예레미야서에서 체다카와 미쉬파트의 의미는 토라와 호크 및 토에바와 쉬쿠츠의 의미론적 어휘결속을 통해 파악할 수 있다. 하나님의 뜻은 그의 백성들이 가증한 것들(토에바와 쉬쿠츠)에 마음을 빼앗기지 말고, 하나님의 법(토라, 체다카, 미쉬파트, 후카/호크)를 따라 의와 공의의 삶을 살아가는 것이다. This study is based on the theme of the Biblical Hebrew words sedaqa and mispat in the book of Jeremiah. To understand the notion of righteousness and justice in the prophets, we have to look at the book of Deuteronomy, which is the basis for our understanding. In my view, sedaqa and mispat are included in the concept of tora, which is a larger category. In the book of Jeremiah, there are various terms to describe the meaning of law and statutes, such as, tora, sedaqa, mispat, huqa and hoq.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relationship between the terms and what they mean in the text. As can be seen in [Table 1], the frequency of sedaqa is relatively low rather them the term mispat. In the case where sedaqa and mispat are used in a parallel structure which is a rhetorical device of hendiadys, in total five times. The reason the speaker uses the term mispat is not to reveal the divine attributes hidden only by God but to show through the people of God. It is the principle of God's sovereign rule, which is realized in the world. When mispat is used alone, the image of God's punishment and judgment is prominent in other examples except its nine occurrences. It is first used (1) to mean the reign of God, or (2) to the problems that arise between the person and person. Second, in the cases of the remaining nine occurrences, mispat is used to urge the people of Judah not to set their minds on siquts and toeba but to repent and live a life of mispat. Through the prophetic temple sermon, the prophet Jeremiah urges the people of Judah to correct their ways and actions. My focus is that the way and action are closely related to the term mispat. Third, the usages of tora and huqa also means a lot. In the book of Jeremiah, the prophet uses the term tora for the purpose of reproaching that the lives of the people of Judah did not walk along the tora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Exceptionally, the term ‘my tora’ in Jer 31:33 means the law of God. Fourth, the usages of huqa and hoq are characterized by a wide variety of meanings, though not many examples are used. There is a case that the huqa and hoq are used as a parallel structure, but they are mainly used to refer to the order of operations of the celestial bodies that humans can not control, the customs of the nations, or legal regulations. In summary, the meaning of sedaqa and mispat in Jeremiah is revealed through the lexical semantic cohesion of tora, hoq, siquts and toeba. God's will is that the people of God do not lose their hearts to abominations (siquts and to eba), but live in the life of righteousness and justice according to the law of God.

      • 지금 여기 인간으로서 "살아있음"의 의미: 화이트헤드의 생명 이해와 몸학의 관점에서

        정강 ( Kang Gil Jeong ) 한국화이트헤드학회 2016 화이트헤드 연구 Vol.32 No.-

        이 글은 화이트헤드 철학의 생명 이해와 몸학의 관점에서 현재 몸삶의 층위를 진단하고, 지금 여기의 인간으로서 살아있음의 의미에 대해 고찰해본 글이다. 21세기에서 보는 진단은 화이트헤드 이후에 새롭게 제기된 시대의 흐름들도 함께 반영해야 할 것이고, 또한 몸학에서 말하는 몸삶의 층위에 대해선 물리적인 신체형성, 생활관계, 세계사회, 형이상학 그리고 신과의 관계라는 순서로 현재에 대한 진단을 시도하고 있다. 이 현재에 대한 진단을 통해 피로로 떨어지는 쇠퇴의 길과 활력을 주는 진보의 길을 모색해 보고자 한 것이다. 그리고서 살아있음을 저해하는 피로한 쇠퇴의 길을 극복하기 위하여 필자가 구상한 몇 가지 대안적인 제안들도 함께 시도하고 있다. 무의식과 의식간의 상호 관계 제시, 기본사회 개념, 현재에 대한 관찰로서의 몸 수행 정도가 바로 그것이다. 그리고 최종적으로는 화이트헤드 형이상학이 진화하는 문명사회에 활력을 줄 수 있는 건설적인 철학이 될 수 있다고 보면서도 이에 대한 창조적 응용으로서의 다양한 모험이 우리의 몸삶 속에 실현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In the articles, I would like to discusses the levels of human-life with Whitehead’s Metaphysics and Mommics`` view. [Mommics is the study of Momm, which is the nexus of all the relations existing in the universe. ‘Momm’ is a Korean word, which can best be translated as ‘a human body’ in English. However, the two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at Momm includes both the physical and the mental aspects of human being, directly denying the dualistic understanding of existence.] And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hink about the meaning of ‘aliveness’ as human being of here and now. Consideration of 21th century’s perspective ought to apply after Whitehead happens new issues. Also I try to diagnose about the levels of Momm-life; it is sequentially body-making, daily-life relationship, world-society, metaphysics, and relations with God. I will suggest from the way of fatigue to the way of vigorous progress through Whitehead’s philosophy and Mommics’s view. I propose several alternatives ; the advisable relationship between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notion of basic society, Momm-meditation through present observing. Consequently, I think so that Whitehead’s metaphysics made important statements on the social progress of ‘aliveness.’ In the sense of I think that Whitehead’s philosophy is alternative thought. And this paper emphasize art and adventure of creative applications for the our Momm-life. In this case, we feel al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