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동양육시설과 가정위탁 성장 환경에 따른 정서적 경험과 지원정책 비교에 관한 질적 연구

        주해란,길건혁,안태구,이예진 한국청소년학회 2022 청소년학연구 Vol.29 No.10

        This study conducted a qualitative study on 12 young people who grew up in child care facilities and home consignment to explore the physical environment, emotional experience, and physical support and emotional experience after the end of protec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 had a common experience in the growth environment, but in the home consignment environment, I used only the minimum cost while worrying about academy or hospital expenses. Second, they felt anxious that the main caregiver could be changed in common. Third, even though there were the same support benefits after the end of protection, participants in home consignment termination missed some things due to differences in information, and there were differences in support benefits. Fourth, I experienced all the feelings of freedom to become an adult after the end of protection, but there was a burden on self-reliance in child care facilities, but I felt stable because I could communicate after the end of prote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that they suggested a direction to provide a better parenting environment for children subject to protection. 본 연구는 아동양육시설과 가정위탁에서 성장한 자립준비청년을 대상으로 성장 환경에 따른 물리적 환경과 정서적 경험, 보호 종료 이후 물리적 지원과 정서적 경험을 탐색하기 위해 12명을 대상으로 질적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장 환경에서는 공통적인 경험을 하였지만, 가정위탁환경에서는 학원비나 병원비를 걱정하면서 최소한의 비용만을 사용하였다. 둘째, 공통적으로 주 양육자가 변경될 수 있음에 불안함을 느끼고 있었다. 셋째, 보호 종료 이후 동일한 지원 혜택이 있었음에도 정보의 차이로 가정위탁 종결 참여자는 놓친 것들이 있었고 지원혜택에도 차이가 있었다. 넷째, 보호 종료 이후 어른이 된다는 해방감은 모두 경험하였지만 아동양육시설에서는 자립에 부담감이 있었지만, 가정위탁은 보호종료 이후 소통하며 지낼 수 있어서 안정감을 느꼈다. 본 연구결과는 보호대상아동에게 보다 나은 양육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방향에 대해서 제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보호종료아동의 자립 지원 방향: 자립형 그룹홈에서 생활한 경험을 중심으로

        안태구,길건혁,마미나,김주하,주해란 한국청소년학회 2022 청소년학연구 Vol.29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background of the self-reliant group home residence, the experience in self-reliant group home, and the form of self-reliant group home to the self-reliant group home of the children who have been released from the child care facility at the age of 18 and who have been living in the self-reliant group home.,For this purpose, qualitative case study was conducted on 6 children who had experience living in self-reliant group home operated by Seoul city.,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fear and intimidation at the time of discharge became the background of entering the self-reliant group home.,Second, the self-reliant group home felt protected but free; third, the self-reliant group home helped to prepare for independence.,I felt that I was financially supported by being able to save the cost of being spent in an independent group home.,Fourth, the self-reliant group home allows the teachers to form and maintain a social support system with their teachers in the facility, and they are constantly provided with useful information while maintaining a natural relationship.,Therefore, the satisfaction of the children who have completed the protection of self-reliance in the self-supporting group home was high, an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s for the support plan for the self-reliance of the children who have completed the protection are presented. 본 연구는 만18세에 아동양육시설을 퇴소하고 자립형 그룹홈에서 생활하는 보호종료아동을 대상으로 자립형 그룹홈에서 거주하게 된 배경과 자립형 그룹홈에서의 경험, 자립형 그룹홈은 어떤 형태로 보호종료아동들에게 자립을 지원하고 있는지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에서 운영하는 자립형 그룹홈에서 생활한 경험이 있는 보호종료아동 6명을 대상으로 질적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4개의 주범주와 4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퇴소 시점에 겪는 두려움과 막막함은 자립형 그룹홈에 입소하게된 배경이 되었다. 둘째, 자립형 그룹홈은 보호받지만 자유롭다는 감정을 느꼈다. 셋째, 자립을 준비하기 위해서 목돈을 마련하는데 자립형 그룹홈이 도움이 된다고 한다. 자립형 그룹홈에서 생활하면서 필수적으로 지출되어야 하는 비용 또한 절감할 수 있어서 경제적인 지원을 받았다고 느꼈다. 넷째, 자립형 그룹홈은 시설 내 선생님과의 사회적 지지체계를 형성하고 유지할 수 있게 해준다. 자연스럽게 관계가 유지되면서 유익한 정보를 꾸준하게 제공받고 있었다. 따라서 자립형 그룹홈에서 자립 준비를 하는 보호종료아동의 만족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근거로 하여 보호종료아동의 자립 지원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한다.

      • KCI등재

        취업하는 과정에서의 경험: 보호종료아동을 중심으로

        안태구,길건혁,김충헌,조한나,주해란 한국청소년학회 2022 청소년학연구 Vol.29 No.4

        This study explored the experiences experienced in the process of preparing for employment as a child with termination of care. To this end, a qualitative study was conducted on 9 people who had experience in employment after the end of protec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8 main categories and 24 subcategories are derived,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support educational programs for practical job selection before and after discharge. Second, it is necessary to provide long-term support for employment-linked programs according to job selection, practice, and acquisition of qualifications. Third, in order to prepare for employment of children who are terminated from care,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facilities of self-reliant group homes that can be supported economically, psychologically and socially. Fourth, awareness improvement education is needed to raise awareness of children who are terminated from care in the workplace. Fifth, there is a need for education that must be observed in the workplace and manners used in daily life. Finally, active career education and career counseling on the career path of life instructors, which is a social and emotional support system for children who have completed protection, should be conducted even before they are discharged.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t is expected that it can be used as useful data to solve the difficulties that children with termination of care experience in the employment process. In addition, various policies and practical measures were proposed for the terminated child to grow into a healthy member of society. 본 연구는 보호종료아동이 취업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겪게 된 경험에 대해서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보호종료 이후 취업에 경험이 있는 9명을 대상으로 질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8개의 주범주, 하위범주 24개로 도출되었고,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퇴소 전과 퇴소 후에도 실질적인 직업 선택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의 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직업 선택에 따른 필수 자격증 취득, 실습 및 자격증 취득에 따른 취업 연계 프로그램에 대한 장기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셋째, 보호종료아동의 취업 준비를 위해서는 경제적 심리적정서적 사회적으로 지원 가능한 자립형 그룹홈 시설의 확충이 필요하다. 넷째, 직장 내에서 보호종료아동에 대한 이해외 인식을 높이기 위한 인식개선 교육이 필요하다. 다섯째, 일상생활 및 직장 내 예절 교육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보호종료아동에게 사회·정서적 지지체계가되는 생활지도원의 진로에 대한 적극적인 진로교육 및 진로상담이 퇴소 전부터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근거로 하여 보호종료아동이 취업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을 해소하는데 유용한 자료로 활용 될 수 있는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보호종료아동이 사회에 건강한 구성원으로 성장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실천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