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 예비 교사의 대면 국어 수업 경험에 대한 근거이론적 접근

        기세령 한국국어교육학회 2022 새국어교육 Vol.- No.13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first Korean language class implementation experience in the elementary school field at a time when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who have only experienced online remote education practice due to COVID-19 are converted from online remote education practice to classroom face-to-door education practice. The research question is what preliminary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 experience in face-to-face Korean classes. Method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wice (24 times in total) for 60 to 70 minutes, respectively, before and after educational practice, as a method of evidence theory for 12 pre-primary teachers. The collected interview data and field notes were used as evidence and analyzed by open coding, axial coding, and selective coding. Results: As a result of data analysis, the central phenomenon of the execution of face-to-face Korean classes experienced by prospective teachers was ‘new perception of the existence and interaction of students’, and all categories derived from the paradigm model were summarized. Finally, the central category was derived as ‘becoming a teacher who practices student-centered classes’. Conclusion: The face-to-face Korean language class experience proces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was organized into first, excitement, worry, and fear in fog, second, new awareness of the existence and interaction of students, third, formation of understanding and reflection on students, and fourth, returning to college students with teacher experience.

      • KCI등재

        초등학생 독자의 인터넷 읽기 전략 연구

        기세령 ( Ki Se Ryeong ) 한국독서학회 2014 독서연구 Vol.0 No.31

        이 연구의 목적은 인쇄 글 읽기 능력이 우수한 초등학생 독자가 개방형 인터넷 환경에서 인터넷 독서 과제를 수행하면서 사용하는 인터넷 읽기 전략의 유형에 대해 고찰하고 기술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인쇄 글 읽기 능력이 우수한 초등학교 6학년 5명을 대상으로 개방형 인터넷 환경에서 ‘국토개발이 우선인가 환경보전이 우선인가’라는 문제에 관한 인터넷 읽기 과제를 해결하도록 하였다. 참여자들의 인터넷 읽기 전략을 분석하기 위해 실시간으로 사고구술 프로토콜과 독자와 컴퓨터 간의 상호작용 프로토콜을 녹화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근거이론(Grounded theory)을 바탕으로 구성적- 반응적 읽기 모형에 근거하여 자료 분석의 전 과정에서 지속적 비교방법 (Constant comparative method; Charmaz, 2014)으로 Afflerbach과 Pressley의 구성적-반응적 독서 전략, Afferbach과 Cho(2009:69~90)의 구성적-반응적 다문서 독서 전략, 구성적-반응적 인터넷 하이퍼텍스트 독서 전략, 그리고 Cho(2011:346)의 구성적-반응적 인터넷 독서 전략과 학생들의 비디오 녹화 자료를 끊임없이 참조하였다. 이를 통해 범주화(Categorizing) 작업을 하였다. 분석 결과, 능숙한 5명의 초등학생 독자들은 크게 구성적-반응적 인터넷 읽기 전략의 네 가지 대 범주인 (1) 잠재적 읽기 텍스트의 실현과 구축, (2) 텍스트의 이해와 학습, (3) 독서 과정의 점검과 조절, (4) 텍스트에 대한 평가 전략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의 참여자들이 주어진 인터넷 읽기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한 인터넷 읽기 전략의 빈도를 중심으로 초등학생 독자의 인터넷 읽기 전략의 특징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 연구 결과는 교육 내용의 선정과 교수-학습 방법 개선 및 평가에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qualitative study was to explore the types of reading strategies that proficient elementary readers use while reading on the Internet. Five highly proficient sixth grade readers met individually with a researcher and performed Internet reading tasks which involved reading and writing about the argumental topic for two hours within open-ended Internet environments. I used multiple sources to triangulate complementary data: participants’ think-aloud protocols were synchronized with their reader-computer interactions recorded in the computer, participants’ writing, and semistructured interviews to provide insights on their Internet reading strategy uses. I constantly referenced the model of Constructively Responsive Reading (Cho, 2011, 2013; Afflerbach & Cho, 2009; Pressley & Afflerbach, 1995). Findings suggested that successful Internet elementary readers use the four types of strategies named by Cho in Internet contexts: Realizing of constructing potential texts to read, Identifying and learning text content, Monitoring, and Evaluation(Cho, 2011, 2013). Secondly, the frequency of using Constructive Internet Reading Strategies used by the five proficient elementary school readers participating in the current study was presented. Implications are discussed in relation to New literacy theory and future reading comprehension education.

      • KCI등재

        한국판 인터넷 독서 성향 검사 도구의 타당도 검증

        기세령 ( Se Ryeong Ki ) 한국독서학회 2013 독서연구 Vol.0 No.30

        본 연구에서는 한국판 인터넷 독서 성향 검사 도구(Korean Survey of Online Reading Attitudes and Behaviors and Skills: KSORAB) 개발 연구를 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5·6학년 606명을 대상으로 인터넷 읽기에 대한 효능감, 인터넷 읽기 기능의 적용에 대한 효능감, 동기, 가치·흥미, 불안의 6가지 구인으로 구성된 검사도구를 실시하여 그 관계를 조사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한국에서 얻어진 요인구조는 원검사 도구에서의 5요인이 아니라 4요인으로 구분되는 것이 더 적합했다. 4개의 하위요인은 인터넷 읽기 효능감, 불안, 동기·가치·흥미, 자기조절로, 원검사도구와 비교하면 인터넷 읽기에 대한 효능감 척도와 인터넷 읽기 기능 적용에 대한 효능감 척도가 하나의 요인으로 산출되었고, 원척도의 동기 척도와 가치·흥미 척도가 하나의 요인으로 합해졌다. 비록 원검사도구의 구조와는 달랐지만 4가지 하위 요인 모두 SORAB의 이론적 구조를 충족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새로 수집한 자료(초등학생 5·6학년 452명)를 사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CFA)을 실시하고 요인로우 계수(factor rho coefficient)를 통해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인한 결과, 전반적으로 상당히 타당성이 있는 척도임이 입증되었다. 이를 통해 SORAB의 이론적 구조가 한국학생들에게도 적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나아가 한국 학생들의 인터넷 독서 상황 맥락과 학생들의 특성을 반영하여 정의적인 영역에서 학생들의 성향을 규정하여 이를 잘 설명해 줄 수 있는 신뢰롭고 타당한 새로운 측정도구를 개발하는 데 필요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This study tested the validity of the KSORAB (Korean Survey of Online Reading Attitudes and Behaviors and Skills) which measures the dispositions of Korean students towards online reading. The KSORAB is based on the SORAB, which was originally made in America and then translated into the Korean version. Six-hundred six elementary students answered a questionnaire which included the items for the KSORAB: Efficacy for reading online, Efficacy for online reading skill implementation, Motivation, Internet Value/Interest, Self-regulatory practices within Internet reading, and Anxiety.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of the KSORAB was conducted in order to assess the underlying structure of the instrument. This revealed four factors in Korea instead of the five factors in America. The factors were Efficacy for Online reading, Self-regulatory practices within Internet reading, Motivation/value/interest, Anxiety all of which fit the theoretical structure of the SORAB. Tests for validity of the KSORAB based o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with new data(N=452) showed reasonable validity levels for administration in Korea. Implications are discussed in relation to future development of a new survey in efforts to measure the dispositions towards online reading of Koreans in their cultural context as well as potential uses of the instrument in its current for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