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ingular Spectrum Analysis를 이용한 수문 시계열 예측에 관한 연구

        권현한(Kwon Hyun-Han),문영일(Moon Young-Il) 대한토목학회 2006 대한토목학회논문집 B Vol.26 No.2B

        본 연구에서는 기존 매개변수적 수문시계열 예측모형을 보완하고자 Singular Spectrum Analysis(SSA)와 Linear Recurrent Formula를 결합한 모형을 제안하였다. SSA는 주로 시계열에 내재해 있는 구성성분을 추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엘니뇨 및 라니냐 등의 기상현상과 수문사상의 상관성 분석에 주로 적용되고 있는 SSA와 시계열 예측을 위해서 Linear Recurrence Formula를 결합한 예측 모형을 월단위의 수위와 유입량 시계열 자료를 대상으로 적용성 및 타당성을 검토해 보았다. 모형을 통해 수문시계열을 모의한 결과 전체적인 통계적인 특성 및 시각적인 검토에서 실측자료와 매우 유사한 모의가 가능하였으며 실측 자료를 바탕으로 Blind Forecasting을 실시한 결과 2가지 예에서 모두 1년 정도의 예측구간에서 합리적인 결과를 제시하여 주었다. 따라서 단기예측을 수문모형으로서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We have investigated the properties of the Singular Spectrum Analysis (SSA) coupled with the Linear Recurrent Formula which made it possible to complement the parametric time series model. The SSA has been applied to extract the underlying properties of the principal component of hydrologic time series, which can often be identified as trends, seasonalities and other oscillatory series, or noise components. Generally, the prediction by the SSA method can be applied to hydrologic time series governed (may be approximately) by the linear recurrent formulae. This study has examined the forecasting ability of the SSA-LRF model. These methods were applied to monthly discharge and water surface level data. These models indicated that two of the time series have good abilities of forecasting, particularly showing promising results during the period of one year. Thus, the method presented in this study suggests a competitive methodology for the forecast of hydrologic time series.

      • KCI등재

        장애인의 수영 참여동기가 참여만족과 운동지속에 미치는 영향

        권현 ( Hyun Kwon ),한민규 ( Min-kyu Han ) 한국체육대학교 체육과학연구소 2021 스포츠사이언스 Vol.3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의 수영 참여동기가 참여만족과 운동지속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있다. 이에 따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18년 대한장애인수영연맹이 주최하는 장애인수영 대회에 참여하는 선수부 및 동호인부 선수를 대상으로 연구에 대한 내용과 목적을 설명 후 자기평가기입법(Self-administration method)을 이용하여 총 80명의 자료를 수집·분석하였다. 자료처리는 IBM SPSS Statistics 21 프로그램을 통해 t-test와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그리고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장애인 수영 참여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참여동기, 참여만족, 운동지속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참여동기에서는 연령대, 장애유형, 참여유형, 참여빈도, 1회 운동시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참여만족에서는 연령대, 장애유형, 참여유형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운동지속은 연령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인 수영 참여자의 참여동기가 참여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한 결과, 참여만족의 하위요인인 심리만족, 신체만족, 교육만족, 사회만족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장애인 수영 참여자의 참여동기가 운동지속수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한 결과, 참여동기의 하위요인인 기술발달, 컨디셔닝 요인이 운동지속수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that the motivation of the disabled for participation in swimming would have on their satisfaction with participation and exercise adherence. To achieve such objective of this study,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 total of 87 athletes and swimming club athletes who participated in the disabled swimming competitions organized by the Korea Para Swimming Federation in 2018 through the self-administered survey after the details and purpose of the survey were explained to them. The collected data were processed with t-test,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IBM SPSS Statistics 21 Program. The results of the analyses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articipation motivation, depending on age group, disability type, participation type, participation frequency, and each exercise time. Moreover, the satisfaction with participation exhibited a significant difference by age group, disability type, and participation type, while the exercise adherenc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y age group. Second,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psychological satisfaction, physical satisfaction,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social satisfaction factors which were the sub-factors of satisfaction with participation. Third, the results of the analyses, which investigated the effect that the motivation of the disabled for participation in swimming would have on the exercise adherence, suggested that the exercise adherence was positively influenced by the skill development and conditioning factors which were the sub-factors of participation motivation.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불연속 Kernel-Pareto 분포를 이용한 일강수량 모의 기법 개발

        권현한(Kwon Hyun-Han),소병진(So Byung Jin) 대한토목학회 2011 대한토목학회논문집 B Vol.31 No.3B

        기존 Markov Chain 모형을 통한 일강수량 모의에서 가장 큰 문제점은 극치강수량을 재현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수자원계획을 수립하는데 있어서 불확실성을 가중시키고 있다. 특히 일강수량 모의기법을 통해서 추정되는 빈도강수량의 과소추정으로 인해 수공구조물 설계 시에 신뢰성을 확보하는데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Markov Chain 모형에서 일강수량에 평균적인 특성과 극치특성을 동시에 재현할 수 있도록 불연속 Kernel-Pareto Distribution 기반에 일강수량모의기법을 개발하였다. 한강유역의 3개 강수지점에 대해서 기존 Markov Chain 모형과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을 적용한 결과 여름의 일강수량 모의 시 1차모멘트인 평균과 2-3차 모멘트 모두 효과적으로 재현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나타났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제안한 불연속 Kernel-Pareto 분포형 기반 Markov Chain 모형은 여름의 일강수량 모의 시 강수계열의 평균적인 특성뿐만 아니라 표준편차 및 왜곡도의 경우에도 관측치의 통계특성을 매우 효과적으로 재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방법론은 전체적으로 기존 Markov Chain 모형에 비해 극치강수량을 재현하는데 유리한 기법으로 판단된다. 또한 극치강수량을 일반강수량으로부터 분리하여 모의함으로서 평균 및 중간값 등 낮은 치수에 모멘트 등 일강수량에 전체적인 분포특성을 더욱 효과적으로 모의할 수 장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limitations of existing Markov chain model for reproducing extreme rainfalls are a known problem, and the problems have increased the uncertainties in establishing water resources plans. Especially, it is very difficult to secure reliability of water resources structures because the design rainfall through the existing Markov chain model are significantly underestimated. In this regard, aim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a new daily rainfall simulation model which is able to reproduce both mean and high order moments such as variance and skewness using a piecewise Kernel-Pareto distribution. The proposed methods were applied to summer and fall season rainfall at three stations in Han river watershed in Korea. The proposed Kernel-Pareto distribution based Markov chain model has been shown to perform well at reproducing most of statistics such as mean, standard deviation and skewness while the existing Gamma distribution based Markov chain model generally fails to reproduce high order moments.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proposed model can more effectively reproduce low order moments such as mean and median as well as underlying distribution of daily rainfall series by modeling extreme rainfall separately.

      • KCI등재

        레이더 자료에 기반한 한강유역의 면적강수량 연구

        권현한(Hyun-Han Kwon),소병진(Byung-Jin So),조봉연(Bong-Yeon Cho),김석우(Seok-Woo Kim),김태웅(Tae-Woong Kim) 한국방재학회 2023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23 No.5

        면적강우량은 유역 단위 수문량 분석에 사용되는 필수적 인자로 정확한 면적강우량이 산출되어야 연계된 수문량의 신뢰성이 확보될 수 있다. 면적강우량은 유역내 발생된 강우량의 평균값을 의미한다. 지점 관측망에 기반한 면적강우량 산출 방법은 지점 강우량이 해당유역전체를 대표할 수 있다는 가정하에 적용된다. 레이더는 공간적으로 연속된 강우자료를 제공하여 실질적 의미의 면적강우량을 취득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레이더 강우자료를 이용하여 기존 방식의 면적강우량과 실제 면적강우량 간의 관계성을 평가했다. 결과적으로 기존 면적강우량은 유역내 강우의 분포 특성과 양적 특성의 변동성을 반영하지 못해 실제 면적강우량과 유의미한 차이가 존재했다. 따라서, 유역 단위의 수문량 분석시 유역내 강우분포를 반영할 수 있는 레이더 강우량의 이용 방안을 고려할 필요성이 있으며, 기존 면적강우량 이용시 본 연구의 결과를 기반으로 적절한 보정 방안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Areal rainfall is an essential factor used in the basin-scale hydrological analyses, and accurate areal rainfall is required to ensure the reliability of the associated hydrologic output. Areal rainfall is the average of the rainfall that occurs in a watershed. Areal rainfall calculation methods based on point observation networks are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point rainfall is representative of the entire basin. Radar can provide spatially continuous rainfall data to obtain realistic areal rainfall. In this study, radar rainfall data was use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onventional and actual areal rainfall. Consequently,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ed between the conventional area rainfall and the actual area rainfall because the conventional area rainfall did not reflect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rainfall in the basin and the variability of quantitative characteristics. Therefore, radar rainfall that can reflect the distribution of rainfall in the basin must be considered when analyzing the hydrological volume at the basin level, and an appropriate correction plan must be prepar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hen using the conventional area rainfall.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