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KCI등재

        비대면 융합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사례 연구

        권현우(Hyunwoo Kwon) 한국문화융합학회 2022 문화와 융합 Vol.44 No.6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 19 시대의 비대면 온라인 문화예술교육에서 테크놀로지와 예술이 융합한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운영에 대해 사례를 들어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비대면 문화예술교육의 한계점을극복하고, 기술 융합 문화예술교육을 실천해 나가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목적을 위해 2021년 7 월부터 11월까지 거쳐 온라인으로 진행된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주말예술캠퍼스 “또 다른 i”의 사례를 중점적으로살펴보았다. 당초 대면 교육으로 기획된 프로그램이었으나, 펜데믹으로 인해 비대면으로 전환되어 비대면 온라인교육으로 기획, 설계, 시행, 평가의 4단계를 거쳐 운영되었다. “또 다른 i”는 VR과 스토리텔링이 결합된 융합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으로 현실 세계의 나를 바탕으로 가상현실에서의 나와 만나보며 또 다른 새로운 나를 찾아가는여정을 담은 프로그램이다. 본 사례를 통해 온라인 플랫폼 활용한 소통으로 라포 형성의 가능성을 확인 하였으며 기술과 예술이 융합한문화예술교육의 새로운 개발 및 운영 사례를 제시하였다. 하지만 운영결과에서 나타나는 한계점으로는 온라인 플랫폼의 한계, 참여자 간의 소통 문제, 기술 융합 문화예술교육에서의 적정 기술 수준 문제 등이 나타 났으며,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프로그램 준비과정에서 더욱 세밀한 준비와 시큘레이션이 요구된다. 본 연구를 통한시사점으로 비대면 온라인교육에 대한 시각의 변화 요구, 비대면 상황에 맞는 라포 형성 활동, 다양한 플랫폼과소프트웨어에 적응할 수 있는 지속적인 노력, 기술과 결합한 문화예술교육의 프로그램 마련 등을 제시하였다. 비대면 온라인 융합교육이 대면 수업의 대안이 아닌 새로운 형태의 문화예술교육의 한 축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향후 연구가 지속되어야 한다. In this study, we tried to examine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a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 that combines technology and art in non-face-to-face online culture and arts education in the era of COVID-1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non-face-to-face culture and arts education and to seek ways to practice technology convergence culture and arts education. For this purpose, we focused on the case of “Another i”, the weekend art campus of Dream Darak Saturday Culture School, which was conducted online from July to November 2021. The program was originally planned as face-to-face education, but due to the pandemic, it was switched to non-face-toface and non-face-to-face online education was operated through four stages: planning, design,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Another i” is a convergence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 that combines VR and storytelling. The possibility of forming a rapport was confirmed through communication using an online platform, and a new development and operation case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that converges technology and art was presented. However, the limitations of the operation results include the limitations of the online platform, communication problems between participants, and problems with the appropriate skill level in technology convergence culture and arts education. ration is required A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it suggested a change in perspective on non-face-to-face online education, rapport formation activities suitable for non-face-to-face situations, continuous efforts to adapt to various platforms and software, and preparation of programs for culture and arts education combined with technology. Future research should be continued so that non-face-to-face online convergence education can move forward as a new form of cultural arts education rather than an alternative to face-to-face classes.

      • KCI등재

        앰비언트 음악(Ambient Music) 형식 분석 - 에이펙스 트윈(Aphex Twind)의 ‘루바브(Rhubarb)’를 중심으로

        권현우(Hyunwoo Kwon) 한국대중음악학회 2024 대중음악 Vol.33 No.-

        앰비언트 음악은 전통적인 음악 형식을 가지지 않고 지속적인 패드, 드론 사운드의 반복을 통한 공간감을 중요시 하는 음악이다. 본 논문은 앰비언트 음악 형식의 특징을 밝히고자 하였다. 에이펙스 트윈(Aphex Twin)의 곡 ‘루바브(Rhubarb)’를 분석함으로써 반복과 변형으로 발생하는 앰비언트 음악의 다이나믹 변화 양상을 알아보았다. 반복되는 음악적 프레이즈 위에 텍스처의 중첩을 통해 이루어지는 다이나믹의 변화가 곡의 형식를 이루고 있으며, 이를 통해 공간감의 확장과 축소를 이루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루바브’ 분석을 통해 앰비언트 음악 형식의 특징을 반복적 형식, 텍스처 중첩을 통한 다이나믹의 변화, 동적 변화를 통한 공간감 창출로 정리하였다. 이러한 형식 특징 분석은 브라이언 이노가 만든 초기 앰비언트 음악뿐만 아니라 이후 타 장르와의 결합을 통한 앰비언트 음악과 앰비언트 사운드를 결합한 전자음악 장르에 적용할 수 있다. 전자음악의 한 갈래로서 앰비언트 음악 분석 뿐만 아니라 사운드의 한 종류로서 앰비언트 사운드에 대한 연구는 앰비언트 음악이 가진 가능성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할 것이다. Ambient music does not have a traditional music forms but emphasizes a sense of space through continuous repetition of pad and drone sounds. This study sought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ambient music format. By analyzing Aphex Twin’s song “Rhubarb,”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ynamic changes in ambient music that occur through repetition and transformation. The analysis confirmed that the dynamic change achieved through the overlapping of textures on repeated musical phrases forms the form of the song, thereby expanding and contracting the sense of space. The characteristics of the ambient music format were summarized as repetitive forms, dynamic changes through texture overlap, and creation of a sense of space through dynamic changes. This analysis of formal characteristics can be applied not only to the early ambient music created by Brian Eno, but also to the electronic music genre that later combined ambient music and ambient sound through combination with other genres. Analysis of ambient music as a branch of electronic music as well as research on ambient sound will provide a new direction to the possibilities of such music.

      • 고온 노출 콘크리트의 깊이별 수열온도 검토

        권현우 ( Kwon¸ Hyun-woo ),김영민 ( Kim¸ Young-min ),이건철 ( Lee¸ Gun-cheol ),허영선 ( Heo¸ Young-sun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1 한국건축시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1 No.2

        In this study, a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rmal diffusion according to the depth of concrete exposed to high temperatures. For thermal diffusion analysis, a test specimen in which K-type sheath thermocouples were poured in 0, 10, 20, 30, and 40 mm sections was manufactured, and thermal diffusion measurement was performed through one-sided heating for 180 minutes under heating conditions. As a result of the review, it was shown that as the temperature condition increased, the heat diffusion increased as the depth increa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