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로지스틱회귀분석기법과 인공신경망기법을 이용한 제주지역 산사태가능성분석

        권혁춘(Quan, He Chun),이병걸(Lee, Byung Gul),이창선(Lee, Chang Sun),고정우(Ko, Jung Woo) 대한공간정보학회 2011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19 No.3

        본 연구에서는 제주지역의 산사태가능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사람의 발길이 많은 사라봉, 별도봉 지역과 송악산 지역의 지형 및 토질공학적 사면 붕괴 유발 인자들을 이용하여 로지스틱회귀분석기법과 인공신경망기법을 GIS기법과 결합하여 예측지도를 작성하고 비교분석하였다. 산사태 예측지도를 작성하기 위해서 산사태 발생에 영향을 주는 사연경사, 고도, 건조밀도, 투수계수, 간극율을 선택하였으며 선정된 지역을 대상으로 실시한 야외조사와 토양물성시험 결과를 정리한 후 이를 토대로 GIS기법을 적용하여 각 레이어별 주제도를 작성하였다. 생성된 주제도를 각각 로지스틱회귀분석기법과 인공신경망기법으로 작성하여 비교분석한 결과 사면경사와 간극율의 경중률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예측지도는 로지스틱회귀분석기법이 더욱 정확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도로변과 산책로를 중심으로 산사태 발생가능성이 높게 분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paper presents the prediction and evaluation of landslide using LRA(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ANN (Artificial Neural Network) methods. In order to assess the landslide, we selected Sarabong, Byeoldobong area and Mt. Song-ak in Jeju Island. Five factors which affect the landslide were selected as: slope angle, elevation, porosity, dry density, permeability. So as to predict and evaluate the landslide, firstly the weight value of each factor was analyzed by LRA(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ANN(Artificial Neural Network) methods. Then we got two prediction maps using AcrView software through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method. The comparative analysis reveals that the slope angle and porosity play important roles in landslide. Prediction map generated by LRA method is more accurate than ANN method in Jeju. From the prediction map, we found that the most dangerous area is distributed around the road and path.

      • SCOPUSKCI등재
      • KCI등재

        Landsat TM 영상을 이용한 제주도 도심지역 지표면온도분포와 식생지수의 상관성 분석

        권혁춘(Quan He Chun),이병걸(Lee Byung Gul) 대한공간정보학회 2009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17 No.4

        지표면 온도분포특성을 분석함에 있어서 많은 방법이 이용되지만 그 중에서 위성영상을 이용한 원격탐사기법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의 도심지역인 제주시와 서귀포시를 연구대상으로 하였고 Landsat 영상에서 열적외선영상인 밴드 6 영상을 이용하여 NASA에서 제시한 방법으로 온도분포도를 작성하였다. 또한 밴드 3과 4를 이용하여 식생지수 분포도를 작성하고 식생지수와 온도분포사이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온도와 식생지수 사이의 상관계수는 제주시에서 -0.77, 서귀포시에서 -0.74의 매우 높은 반비례 상관계수 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토지피복도를 이용한 지표면 온도분포특성을 분석한 결과 도심지역과 경작지, 초지와 과수원, 삼림세 지역사이에는 뚜렷한 온도차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식생지수와 온도분포가 반비례관계에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To analysis the LST distribution of Jeju island, remote sensing techniques using Landsat TM band 6 data were used. In this study, we made the LST distribution map based on the NASA. The study areas are the Jeju and Seogwipo cities of the Jeju Island. And we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LST and NDVI which was calculated from the Landsat TM band 3 and ban 4. From the result, we found that the coefficients of the correlation were -0.77 and -0.74 on the Jeju and the Seogwipo cities, respectively. Finally, from the correlation between the land cover and LST, we also found that an inverse relationship between the LST and NDVI was exist.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제주도 풍력발전단지 설계를 위한 조도계수 산정에 대한 연구

        고정우(Ko, Jung-Woo),권혁춘(Quan, He Chun),이병걸(Lee, Byung-Gul) 대한공간정보학회 2012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20 No.2

        지면위의 풍속의 변화를 높이별 풍속변화(wind shear)아고 한다. 풍력자원 평가 분야에서 전통적으로 이런 높이별 풍속 변화특성을 수학적으로 두 가지 방법으로 분석한다. 이를 대수법칙(Lograthmic law)과 멱법칙(Power law)이라 한다. 대수법칙은 표면 거칠기를 파라미터로 멱법칙의 경우 멱지수를 파라미터로 사용한다. 높이별 풍속변화는 여러 가지 인자에 의하여 영항을 받는다. 대부분은 대기의 안정도와 주변의 지형에 의한 거칠기에 현저한 영향을 받는다. 대기안정도는 계절적, 하루의 시간 변화나 기상학적 변화에 의한 영항을 받는다. 표면의 거칠기와 멱지수 역시 시간의 변화에 따라 변화하는 경향을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제주 평대와 한동 지역의 풍황 관측데이터를 이용하여 메트랩과 windograper를 이용하여 조도 길이와 멱지수를 계산 하였다. 이 결과는 참조데이터들과 유사한 결과를 보이긴 했지만 범위는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선행 연구와 비교한 결과 해양의 경우 비슷한 결과를 보였지만 농작지의 경우 보다 높은 범위를 농촌마을이 경우 보다 낮은 범위를 보이고 있었다. The variation in the wind speed with height above ground is called the wind shear profile. In the field of wind resource assessment, analysts typically use one of two mathematical relations to characterize the measured wind shear profile: the logarithmic profile (log law) and the power law profile (power law). The logarithmic law uses the surface roughness as a parameter, and the power law uses the power law exponent as a parameter. The shape of the wind shear profile typically depends on several factors, most notably the roughness of the surrounding terrain and the stability of the atmosphere. Since the atmospheric stability changes with season, time of day, and meteorological conditions, the surface roughness and the power law exponent also tends to change in time. For this study, Using the observed data from Met-mast, located in Pyeongdae, Handong in Jeju. we used the matlab and windograper to calculate roughness length and the law exponents. These calculations are similar to reference the data, but they have different ranges. In the ocean case, each reference data and calculated data was the same, but the crop area is higher than the earlier studies. In addition, the agricultural village is lower than the earlier studies.

      • KCI등재

        동결융해시험에 의한 “CSG” 재료의 장기강도 및 내구 특성

        김광일(Guangri Jin),김기영(Kiyoung Kim),문홍득(Hongduk Moon),권혁춘(Hechun Quan) 한국지반환경공학회 2016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Vol.17 No.12

        시공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댐 · 제방 건설과 환경문제가 크게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여러 국가에서 댐 · 제방 건설시 골재, 시공성, 기초지반에 대한 요구가 상대적으로 높지 않은 CSG(Cemented Sand and Gravel)재료를 활발히 연구, 적용하고 있다. CSG 재료는 시공현장 하상골재, 현장에서 발생하는 암버럭 등을 인위적으로 입도조정하지 않고 최대골재 치수만을 선별하여 소량의 시멘트와 혼합하여 강도증가 및 급속시공이 가능하다. CSG 재료는 인위적인 석산개발 등에 의한 환경파괴를 최소화함으로써 환경부하저감 및 공사비 등의 측면에서 비교적 경제적이며 친환경적이다. CSG 재료의 외부환경은 일반콘크리트가 접하는 수화열환경과는 달리 건습반복, 동결융해 등의 환경에 노출되게 된다. 그러므로 댐 · 제방구조물의 중요성을 감안하여 CSG 재료의 내구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CSG 재료의 내구성에 대하여 고찰하고자 현장채취 CSG 코어재료에 대하여 동결융해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결과, CSG 재료의 내구성 지수는 시멘트함량 0.4∼0.6kN/㎥의 경우 30∼40, 0.8∼1.0kN/㎥의 경우 40 이상으로 나타났다. 일축압축강도는 0.4∼0.6kN/㎥에서 동결융해 전의 30∼50%, 0.8∼1.0kN/㎥에서 동결융해 전의 40∼70%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시멘트함량 0.8kN/㎥ 이상의 경우 강도 및 내구성 측면에서 비교적 타당한 것으로 판단된다. With the development of construction technology, constructions of dam and levee (dike) as well as the environmental problems are becoming issues. Recently, many countries have tried to develop and used CSG (Cemented Sand and Gravel), which needs fewer requirements than others in aggregates, constructability and ground condition during the dam construction. Mixing up with small amount of cement, CSG is able to increase the strength and proceed accelerated construction without artificial gradation adjustment of riverbed aggregate and crushed rock on construction site. Thus, CSG can minimize environmental damage resulted from quarries mining and reduce cost of construction. Unlike heat of hydration condition that regular concrete usually met, CSG exposes to repeated dry-wet and freezing and thawing environment. Thus, consider the importance of structure of dam or levee, intensive study on the durability of CSG is needed. In this study, freezing and thawing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durability of CSG. In results, the durability factor of CSG is 30∼40 or >40 when the amount of cement is 0.4∼0.6kN/㎥ or 0.8∼1.0kN/㎥, respectively. The unconfined compressive strength is reduced to 30∼50% or 40∼70% when the amount of cement is 0.4∼0.6kN/㎥ or 0.8∼1.0 kN/㎥, respectively. Taken together, the strength and durability of CSG is reliable when the amount of cement is over 0.8kN/㎥.

      • GIS와 통계분석기법을 활용한 제주지역 급경사지재해 예측 및 평가

        이창선(Lee Chang Sun),이병걸(Lee Byung Gul),권혁춘(Quan He Chun),고정우(Ko Jung Woo) 대한공간정보학회 2010 한국공간정보학회 학술대회 Vol.2010 No.1

        본 연구에서는 급경사지재해 발생구간에 따른 토질특성을 분석하고 통계적분석을 GIS 기법에 적용하여 급경사지재해를 예측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사람의 발길이 많은 사라봉, 별도봉 지역과 송악산 지역의 지형 및 토질공학적 사면 붕괴 유발 인자들을 이용하여 로지스틱회귀분석기법을 GIS에 적용한 예측지도를 작성하고 급경사지재해지역을 예측 및 평가해 보고자 하였다.

      • 일반 디지털카메라를 이용하여 표정점과 기선길이의 변화에 따른 수치사진측량의 정확도 연구

        고정우(Ko Jung Woo),이병걸(Lee Byung Gul),권혁춘(Quan He Chun),외후우르차이흐(Uurtsairakh Oikhuu) 대한공간정보학회 2010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학술대회 Vol.2010 No.1

        사진측량은 일반적으로 고가의 정밀측량기기를 이용하여 물체의 사진측량을 실시한다. 최근 일반디지털 카메라의 화질이 개선되면서 가격이 저렴하고 구입이 편리한 일반 디지털 카메라를 사용하여 측량을 실시하고 있다. 하지만 일반 디지털카메라는 3차원 모형생성 시 정확도는 떨어지는데 이 정확도의 향상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디지털카메라를 사용하여 석고상을 가지고 3차원 모형 생성 시 정확도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인 표정점 개수, 그리고 기선의 변화에 따른 중복도를 각각 변화시키면서 그에 따른 정확도 변화를 분석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