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시각장애 학생과 일반학생의 영어 학습태도, 학습전략 및 학업성취도에 관한 연구

        권혁일 ( Hyug Il Kwon ),박순희 ( Sun Hi Bak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1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2 No.4

        학교에서의 영어 교육은 시각장애 학생이나 일반 학생 모두에게 중요하다. 본 연구는 시각장애 학생과 일반 학생의 학습태도, 학습전략과 학업성취도를 비교하고, 각 변인들 간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영어 학습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되었다. 연구 대상은 고등학교 2학년 학생으로 전국 시각장애 특수학교와 충북 청주시 일반 인문계 남녀공학 고등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총 122명(시각장애 학생 56명, 일반 학생 6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각장애 학생과 일반 학생의 영어 학습태도는 전체적인 측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하위 범주에서 영어 교과태도는 시각장애 학생이 일반 학생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둘째, 시각장애 학생과 일반 학생의 영어 학습전략은 전체적인 측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로 일반 학생이 높게 나타났다. 특히 하위 범주에서 초인지 전략과 인지 전략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시각장애 학생과 일반 학생의 학업성취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차이가 있었다. 즉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영어 결과는 일반 학생이 시각장애 학생보다 전체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넷째, 영어 학업성취도에 따른 영어 학습태도와 학습전략은 전체적으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학업성취도가 우수학력인 학생들이 다른 수준의 학생들보다 영어 학습태도의 모든 영역에서 높게 나타났고, 영어 학습전략에 있어서도 기억전략을 제외하고 나머지 영역에서 모두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영어 학업성취도 결과에 대한 장애유무, 영어 학습태도와 교과태도, 초인지 전략이 유의하게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가 있지 않는 경우가 장애가 있는 경우보다 우수학력과 보통학력에서 학업성취에 효과적인 영향을 주었고, 학습태도와 교과태도, 초인지 전략은 우수학력, 보통학력, 기초학력에서 학업성취에 효과적인 영향을 주었다. 다만 초인지 전략이 영어 학습태도보다 모든 학력 수준에서 학업성취에 효과적인 영향을 주어 학업성취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우수학력의 학생일수록 영어 학습태도가 높고 학습전략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고 있으므로 학력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학습태도와 학습전략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영어 교과의 구체적이고 개별화된 지도계획과 실천이 필요한 것이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영어에 대한 올바른 학습태도와 학습전략을 사용함으로써 시각장애 학생이나 일반학생 모두에게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킬 수 있음을 제시해 주고 있다. English education in school is important for both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and sighted student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ttitudes, strategies and scholastic achievements of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and sighted students, and analyzed relevant variables for both groups as a means of providing basic data that may contribute to greater effectiveness in English education.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122 high schoolers (56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66 sighted students) studying in their second year. Scholastic achievements in both groups were measured using the English language evaluation results contained in the “2009 National-Level Scholastic Achievement Evaluation” report. In addition, the researchers used both student attitude and learning strategy questionnair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no significant differences existed between overall student attitudes to English language learning between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and sighted students, but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rated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ub-category of “attitudes toward English language class”. Second, sighted students rated higher overall than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in their English learning strategies. Significant differences obtained in the sub-categories of meta-cognitive strategies and cognitive strategies.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cholastic achievement between the two groups. The results of the national-level scholastic achievement evaluation report showed that sighted students rated higher overall than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Fourth, student attitudes and strategies to scholastic achievement in English had overall significant impact only on those students possessing excellent scholastic abilities. Finally, there were significant effects in scholastic achievement among impairment status, learning attitudes and attitudes of curriculum, and meta- cognitive strategies. Learning attitudes, attitudes of curriculum, and meta-cognitive strategies affected their scholastic achievement. It is obvious that metacognitive strategies were the most effective factor. Therefore, in the English classroom, maximum educational support must be provided to raise academic achievement levels through producing effective attitudes and strategies in the learners. This study suggests that instructing learning strategies and attitudes, especially focusing on meta-cognitive strategies, will help both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and sighted student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