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위장관 ; 대장 톱니샘종에서 p53, Bcl-2, Ki-67 단백의 면역조직화학 발현

        정진환 ( Jin Hwan Jung ),권헌주 ( Heon Ju Kwon ),김태정 ( Tae Jung Kim ),조형준 ( Hyung Jun Cho ),김혜강 ( Hye Kang Kim ),정대영 ( Dae Young Cheung ),김진일 ( Jin Il Kim ),김재광 ( Jae Kwang Kim ) 대한소화기학회 2013 대한소화기학회지 Vol.62 No.6

        목적: 대장의 톱니샘종은 증식폴립과 샘종폴립의 특성을 동시에 가지는 샘종으로 기존의 샘종암종연쇄경로와는 다른 톱니 모양경로를 통해 암으로 진행한다. 전통 톱니샘종은 대롱샘종이나 증식폴립과 비교하여 어떤 분자유전학적인 특징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7년 1월부터 2012년 12월까지 가톨릭대학교 여의도성모병원에서 폴립절제술로 절제된 전통 톱니샘종, 증식폴립, 대롱샘종 각각 20예를 대상으로 나이, 성별, 위치, 크기 및 p53, Bcl-2, Ki-67단백의 면역조직화학적 발현을 비교하였다. 결과: 전통 톱니샘종과 증식폴립의 비교에서 p53, Bcl-2의 발현에 있어서 차이가 없었고, Ki-67의 발현은 전통 톱니샘종에서 더 높았다. 전통 톱니샘종과 대롱샘종의 비교에서는 p53과 Ki-67의 발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Bcl-2의 발현은 대롱샘종에서 더 높았다. 전통 톱니샘종에서 p53, Bcl-2, Ki-67 발현은 나이, 성별, 위치 및 크기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가 없었다. 결론: p53의 발현은 세 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어서, 전통 톱니샘종과 대롱샘종의 구분에 유용하지 않을 수도 있음을 시사했다. Ki-67의 발현은 전통 톱니샘종에서 증식폴립보다 높아서, Ki-67단백이 전통 톱니샘종과 증식폴립의 감별에 도움이 될 수도 있음을 보여주었다. 전통 톱니샘종은 대롱샘종보다 Bcl-2 발현이 낮아서 전통 톱니샘종의 종양 형성이 대롱샘종보다 낮을 것으로 나타났다. Background/Aims: Serrated adenomas of the colon show mixed characteristics of both hyperplastic and adenomatous polyps. Serrated adenomas are known to progress via the serrated pathway than the adenoma-carcinoma pathwa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serrated adenomas compared to hyperplastic polyps and tubular adenomas by using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for p53, Bcl-2, and Ki-67. Methods: Age, sex, location, size and the immunoexpression of p53, Bcl-2, and Ki-67 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in 20 traditional serrated adenomas, 20 hyperplastic polyps, and 20 tubular adenomas from January 2007 to December 2012 at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Yeouido St. Mary`s Hospital. Results: There was no difference in Bcl-2 and p53 expression between traditional serrated adenomas and hyperplastic polyps. Ki-67 Expression of traditional serrated adenomas was higher than that of hyperplastic polyps (p=0.001). Ki-67 and p53 expression was similar between traditional serrated and tubular adenomas. Bcl-2 expression of traditional serrated adenomas was lower than that of tubular adenomas (p=0.001). Regarding the expression of p53, Bcl-2, and Ki-67 in traditional serrated adenomas,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among age, sex, location, and size. Conclusions: Our study suggested that Ki-67 may be helpful in distinguishing traditional serrated adenomas from hyperplastic polyps, and p53 expression may be ineffective in distinguishing between traditional serrated and tubular adenomas. From Bcl-2 expression, it is suggested that the tumorigenesis of traditional serrated adenomas is lower than that of tubular adenomas. (Korean J Gastroenterol 2013;62:336-343)

      • 복수를 동반한 간경변 환자의 장관벽 두께, 탄성도, 장 투과성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변화

        이상혁 ( Sang Hyuk Lee ),권헌주 ( Heon-ju Kwon ),김남희 ( Nam Hee Kim ),김홍주 ( Hong Joo Kim ),조용균 ( Yong Kyun Cho ),전우규 ( Woo Kyu Jeon ),박은혜 ( Eun Hye Park ),김병익 ( Byung Ik Kim ) 대한내과학회 2019 대한내과학회지 Vol.94 No.6

        목적: 과거 연구들에서 내독소혈증이 간경변증의 병인과 합병증에 연관되어 있음이 보고되었다. 내독소는 염증성 사이토카인 분비를 촉진시키고, 이는 간경변증에서 합병증의 발생에 기여한다. 간경변증에서는 문맥 고혈압 장병증으로 인하여 장투과율이 증가하고, 내독소는 장벽 방어 시스템을 쉽게 침범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간경변증 환자에서 사이토카인 및 장투과율의 변화를 확인하고 초음파를 이용하여 장벽의 두께 그리고 탄성도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방법: 저자들은 Child-Pugh B와 C로 분류된 간경변증 환자 40명과 건강한 대조군 20명을 모집하였다. 복부 초음파검사를 통하여 상행결장 및 말단 회장에서 장벽 지표를 측정하였다. 장투과율은 락툴로오스와 만니톨을 이용한 이중 설탕 흡수 테스트를 이용하였다. TNF-α 및 IL-10을 측정하기 위하여 혈액 샘플을 수집하였다. 이 지표들에 대하여 간경변증 환자군와 대조군 간의 결과 및 Child-Pugh B와 C 환자군 간의 결과를 비교하였다. 또한 사이토카인, 장투과율과 장벽 지표의 상관관계를 확인해 보았다. 결과: 간경변 환자에서 상행결장의 장벽 탄성은 감소되었으며(20.4 vs. 10.9 kPa, p = 0.048), 말단 회장의 장벽 두께는 증가되었다(4.2 vs. 1.9 mm, p < 0.001). 장 투과율 및 사이토카인(TNF-α 및 IL-10)은 증가되었다(0.219 vs. 0.017, p < 0.001; 22.47 vs. 13.48 pg/mL, p < 0.001; 14.91 vs. 8.57 pg/mL, p = 0.019). 그러나 Child-Pugh B와 C군 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고, 장벽 지표와 장투과율 또는 사이토카인 간의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결론: 간경변증 환자에서 초음파 검사를 통하여 장벽이 두꺼워지고 탄성도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장투과율 및 사이토카인은 건강한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Background/Aims: Previous studies have reported that endotoxemia is associated with pathogenesis and complications in cirrhosis. Endotoxin stimulates the secretion of inflammatory cytokines, which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complications. In addition, endotoxin easily invades the gut barrier system because of the increased intestinal permeability due to portal hypertensive enteropathy. In this report, we explored changes in cytokine levels and intestinal permeability and measured the thickness and elas-ticity of the bowel wall using ultrasonography in cirrhotic patients. Methods: We enrolled 40 patients with cirrhosis classified as Child-Pugh B or C and 20 healthy volunteers. Abdominal ultra-sonography examinations were used to evaluate bowel wall parameters in the ascending colon and terminal ileum. Intestinal perme-ability was measured using dual sugar absorption tests with lactulose and mannitol. Levels of tumor necrosis factor (TNF)-α and IL-10 were determined from blood samples. We compared these outcomes between cirrhotic patients and healthy controls and be-tween Child-Pugh B and C patients. In addition, we explored the correlation between cytokine levels, intestinal permeability ratio, and bowel wall parameters in cirrhotic patients. Results: In cirrhotic patients, the ascending colon wall elasticity decreased (20.4 vs. 10.9 kPa, p = 0.048) and the terminal ileum wall thickness increased (4.2 vs. 1.9 mm, p < 0.001). The intestinal permeability ratio and levels of the cytokines TNF-α and IL-10 increased (0.219 vs. 0.017, p < 0.001; 22.47 vs. 13.48 pg/mL, p < 0.001; and 14.91 vs. 8.57 pg/mL, p = 0.019, respectively) in cir-rhotic patients.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Child-Pugh classes and no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bowel wall parameters and intestinal permeability or cytokine levels. Conclusions: Ultrasonography revealed bowel wall thickening and decreases in elasticity; in addition, intestinal permeability and cytokine levels increased in cirrhotic patients compared with healthy controls. (Korean J Med 2019;94:511-518)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