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애학생의 전환계획과 자기결정력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만족도 비교

        권택환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10 시각장애연구 Vol.26 No.3

        이 연구에서는 장애학생들의 전환계획과 자기결정력에 대한 교사와 부모간의 만족도 수준을 비교함으로써, 이들 양자 간의 보다 긍정적인 관계 구축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 장애학생들의 전환계획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만족도에 있어 IEP 구안 시 전환목표에 대한 기술, 목표진술 시 학생 선호도에 대한 고려, IEP 구안 시 부모와 학생 참여, 성인기 전환을 위한 기술 습득 등에 대해 교사들이 부모들보다 만족도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장애학생들의 자기결정력에 대한 부모와 교사간의 만족도에 있어 교육계획 수립 시 학생 의견의 반영, 학생 중심의 선택기회 제공, 교육계획 수립 시 학생 참여에 있어 부모보다는 교사들의 만족도 수준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seek satisfaction of parents and teachers about transition plan and self-determination for successful transition from school to home, from school to work place, from school to local community, and improvement in quality of life of disabilities student.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Firstly, in the case of comparison to satisfaction of teachers and parents about transition plan of disabilities student teachers were demonstrated higher satisfaction than parents that in description of the transitional goals and participation, student' interest about goal description, skill acquisition for adult transition. Secondly, in the case of comparison to satisfaction of teachers and parents about self-determination of disabilities student teachers were demonstrated higher satisfaction than parents that reflection of student' opinions, choice making, student' participation during educational goal establishment.

      • 유·초등학교 교과용도서 장애관련 내용 분석 : Focusing on the Views of Disability

        권택환,김수연,박은영,이유훈 국립특수교육원 2003 연구보고서 Vol.- No.2

        장애학생 통합교육의 성공적 실행은 특수교육뿐 만 아니라 교육 전반의 당면과제이자 목표이다. 장애학생이 일반학교에서 일반아동들과 물리적, 사회적, 그리고 교육과정적으로 통합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학교 교육과정이 모든 학생에게 반응적이어야 하며, 궁극적으로 일반교육의 재구조화가 촉진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에 일반교사와 아동들의 장애에 대한 태도 및 인식의 개선은 필수 전제조건으로 지적되고 있다. 장애인에 대한 태도 및 인식 개선은 다양한 방법으로 접근할 수 있겠으나, 학생들이 매일의 학교 수업에서 접하는 교과서에 장애관련 내용이 어떠한 수준과 내용으로 수록되어 있는지 살펴보는 것은 간과되어서는 안 될 중요한 문제이다. 시대적으로 교과서의 역할과 기능은 변화되어 왔으나 학교 현장에서 교과서는 변함없이 교사와 학생에게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장애학생의 통합교육을 강조하는 현 교육정책 속에서 7차 교육과정의 교과서에는 특히 일반학생들의 장애인식 개선을 위하여 학년별, 교과별로 다양한 장애관련 내용을 담으려는 노력이 역력하므로 적합한 내용이 제시되어 있는지 분석하는 것은 꼭 필요한 일이나, 아직까지 교과서에 수록된 장애관련 내용을 분석한 연구는 없다. 이에 본 연구는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자료와 초등학교 교과서에 수록된 장애관련 내용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 방법은 문헌 연구와 내용 분석으로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자료 12권 과 초등학교 10개 교과(생활의 길잡이, 사회과 탐구, 실험 관찰 포함)의 교과서, 16개 시ㆍ도 우리들은 1학년 16권, 통합교과(바른생활, 슬기로운 생활, 즐거운 생활)에서 장애와 관련된 내용(장애관련 용어, 삽화, 인물, 시설, 소계 등)을 학년별, 교과별로 분류하였다. 분류한 내 용을 분석하기 위하여 공통주제어를 추출하였다. 먼저 2명의 연구자가 독립적으로 내용을 읽으면서 관련 주제어를 기록하였다. 각자 주제어를 기록한 뒤 연구자 협의를 통해 공통으로 기록한 주제어를 추출하고, 다르게 기록한 주제어는 합의를 거쳐 최종 분석 주제어를 도출하였다. 주제어는 다음 6가지이다 (1) 보조도구 및 편의시설, (2) 장애 체험 활동, (3) 장애인 묘사, (4) 직접적 정보 제공 및 접촉, (5) 개인의 차이 수용 및 인권 존중, (6) 장애 관련 인물.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자료와 초등학교 교과서에 나타난 장애관련 용어와 삽화, 그리고 6가지 주제로 분석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관련 용어는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자료에 가장 많이 수록되어 있었으며, 그 중에는 몇 가지 수정되어야 할 용어도 있었다(예, 장애 인형, 장애 그림, 정상인, 지체부자유자). 이에 반해 초등학교 1학년 교과서에는 직접적인 장애를 지칭하는 용어는 제시되어 있지 않고, 2학년부터 장애인이라는 용어가 명시되어 있다. 체육교과의 '장애물'과 실험관찰의 '앉은뱅이 저울'과 같이 교과교육 전문가와 함께 장애 인식 개선을 위해 용어 수정을 협의해야 할 필요성도 지적되었다. 둘째, 장애관련 삽화는 지체부자유와 시각장애인이 가장 많이 묘사되어 있었으며, 이들을 도와주는 방식은 주로 휠체어 밀기, 가방 들어 주기였다. 장애아동이 또래들과 수업 및 다양한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상호작용하는 모습의 삽화가 증가되는 것이 요구된다. 셋째, 주제별로 분석한 결과 교과서에 수록된 장애인들은 주로 장애로 인해 불편한 '처지'에 놓인 것으로 묘사되었으며, 일반인들은 이들의 어려움을 이해하여 도움을 제공해야 하는 것이 올바른 것으로 제시되어 있다. 장애인의 불편함을 이해하기 위하여 제시된 주요한 방법은 장애체험 활동이었다. 그리고 보조도구 및 편의시설의 확충을 사회복지 측면에서, 그러고 공정성의 확보 측면에서 장애인에게 제공되어야 할 중요한 지원의 하나인 것으로 명시되어 있었다. 장애를 직접적으로 제시하지는 않았지만 개인의 외모, 국적, 능력, 성별에 따른 차이를 수용하고 존중해야 함을 담고 있는 내용도 제시되어 있었다.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현재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자료와 제 7차 교육과정의 교과서에는 장애관련 내용이 적지 않게 수록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통합교육이 확산되어 가는 현 시점에서 매우 고무적인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앞으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올바르지 않은 용어와 삽화, 그리고 지문의 내용은 교과서 개정 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실제 초등학교 교실 안에서 이루어지는 수업에서 장애이해 교육이 보다 효과적이며, 적합한 내용과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세한 지도 방법이 '교사용 지도서' 에 안내되어야 할 것이다.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inclusive education is an urgent task not only for special education but also education in general. As is often suggested, teachers' and students' positive attitude and perception toward students with disabilities are crucial for this task. Particularly it is very important to analyze the way the textbooks depict disabilities. However, there is no research yet to be done about this subj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extbook contents concerning disabilities. We employ literature review and content analysis as our research method. 12 instructional materials for the educational activities of kindergarten, 10 different subject textbooks of elementary school, the 16 first-grade textbooks of 16 cities and states (they have the same title, 'We are first-graders," but their contents differ), and the contents of subject-integrated texts concerning disabilitie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grades and subjects. We devise six frameworks of analysis and analysis indicators are as follows: (1) assistive technology and convinience facilities (2) the simulation of disabilities (3) the description of disabilities (4) providing direct information on disabilities and direct contact with disabilities (5) the acceptance of individual differences and the respect for human rights (6) people with disabilities. The summary of our findings is as follows. First, contents concerning disabilities appear most frequently in instructional materials of kindergarten, and there are some words that need to be changed (e.g. a normal person and a physically handicapped person). It is also pointed out that word change would be considered in consultation with specific textbook specialists to foster positive perceptions about disabilities (e.g. "hindrance" in the textbook of physical education and "a crippled scale" in the textbook of experiment and observation). Second, person with visual impairment and person with physical disability appear predominantly in the illustrations depicting disabilities, and the major activities to aid these children are wheelchair-pulling and backpack-carrying. To increase illustrations that portray children with disabilities to participate actively in classroom activities as well as various non-classroom activities interacting with their peer children is required. Third, in the textbooks people with disability are mainly depicted as being put in an uncomfortable "situation," and as those who need help from others. In addition, they suggest the simulative experience of disability as the major way to understand the uncomfortable situation of disability. They also propose that the expansion of assistive technology and convinience facilities is considered one of the most important main support for disabilities. We can find in these textbooks that although they do not refer to disability directly, there are many contents that encourage the acceptance of individual differences (the difference of countenance, nationality, ability, and gender). In conclusion, we find out that current instructional materials for the educational activities of kindergarten and the elementary textbooks of 7th national curriculum contain a considerable amount of contents concerning disability. We regard this as very encouraging. When the textbook is revised, our study will help to choose more proper words, illustrations, and contents. We suggest that more detailed guidelines for understanding disability which help teachers to teach appropriate contents in a more effective and perceptive way in the classrooms of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should be provided.

      • 기본교육과정과 과학과의 내용체계 및 탐구과정요소 탐색

        권택환 국립특수교육원 2000 특수교육 교육과정 연구 Vol.1 No.-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현장의 특수교사들이 기본교육과정 과학과 내용을 영역별로 쉽게 파악하고, 과학과의 지도 과정에 요구되는 기초 탐구과정을 이해하도록 도와주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둘째는 특수아동의 통합교육에 있어서 과학과의 교수적 수정에 도움을 주고자하는 것이다. 장애학생의 통합이 보다 본질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장애학생의 물리적 통합뿐만 아니라 장애학생의 수준에 적합한 교수적 지원도 함께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현재 몇몇 일반학교에서 장애학생의 통합교육을 위해 교수적 수정을 실시하고 있지만 일반교사는 장애학생 수준에 맞는 교수적 수정 처치를 위한 기본교육과정의 성격, 내용, 수준에 대한 이해가 낮고, 특수교사도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에 대한 이해가 낮아서 통합교육의 교수적 수정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본교육과정의 내용을 영역별(소리와 빛, 물체와 물질, 생활 용구, 동물과 식물, 우리의 몸, 자연 환경), 단계별로 분석하고, 기본교육과정 과학과 학습지도시 가장 많이 적용되는 기초 탐구과정 요소인 관찰과 분류의 지도 방법을 기술하여 발달장애학생 과학과 지도에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 help the special teachers in the field easily grasp the contents of basic curriculum science subject by sections, understand the basic inquiry process necessary for teaching science subject, and (b) adapt the instructional methods in the inclusive education at general schools as well as specials schools. The essential inclusion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requires instructional support matched with their level as well as the physical inclusion. Now, several schools carry out the instructional adaptation for the inclusive education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general schools, however, teachers generally have trouble in instructional adaptation, as they have poor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content and level of the basic curriculum in order for instructional adaptation and practice matched with the level of the studetns with disabilities. In this study, the contents of basic curriculum were analyzed by sections(sound and light, matter and materials, daily tools, animal and plant, human body, natural environment) and by stage. The instructional methods of observation and classification, the basic inquiry process skills, applied to the basic curriculum for science subject and instructional guide mostly were described to help the teaching of science subject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 KCI등재후보

        국내 통합학급 운영에 대한 학부모들의 인식 및 지원요구

        권택환,박현옥,김은주 국립특수교육원 2008 특수교육연구 Vol.15 No.1

        본 연구는 국내 통합학급 운영 실태에 대한 학부모들의 인식과 지원요구를 살펴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그 결과 부모들은 일반학급 입급 시 장애학생들의 사회성에 대한 기대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필요한 정보들은 주로 다른 장애학생의 부모나 특수교육관련 전문가 및 특수학급 교사에게 의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학생을 위한 개별화교육 프로그램의 작성에 부모 참여 수준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녀의 학교생활에 관련하여서는 교과활동의 어려움, 문제행동, 친구들로부터의 따돌림 등으로 인해서 학교생활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보았다. 또한 사회성에 대한 기대가 높음에도 불구하고 자녀가 일반 친구들로부터 언어적 놀림이나 따돌림을 받고 있는 것이 교우관계의 어려움인 것으로 보고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따라 추후 통합 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논의와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parent's perception and demand on the inclusive classroom. We surveyed nationwide parents who have student with disabilities enrolled in inclusive classroom. The survey showed that, for the most, the parents wanted their children to be socialized, And, they depended mostly on other parents, special classroom teacher and other experts in special education field for information on school adjustment, school work of their children. Also, the parents' participation on IEP meeting were very low. For their children's difficulty in school, the parents were quite aware of problem behavior, low achievement on general curriculum, and maliciously alienating fellow classmates. The verbal ridicule or alienation from classmate worked as an obstruction in making friends within the classroom. Taking the results of the study, we discussed and suggested to improve the quality of inclusive classroom.

      • KCI등재

        원격연수 수강의 방해 요인 탐색과 교원 특성별 원격연수 요구의 차이 분석

        권택환,신재훈,신재한 국립특수교육원 2010 특수교육연구 Vol.17 No.2

        본 연구에서는 원격연수를 수강하는 교원의 특성에 따른 원격연수를 수강하는 방해 요인과 원격연수에 대한 요구의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교원의 특성에 따른 원격연수의 개선 방안을 탐색하는데 그 연구의 목적이 있었다. 본 연구의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원격 연수의 수강을 방해하는 요인은 무엇인가? 둘째, 교원의 특성에 따라 원격연수에 대한 요구는 차이가 나는가?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원격연수를 수강하는 교원의 특성,즉 교직경력, 연령, 근무지 규모 등에 따라 교원들의 수요에 부합되는 원격연수 를 운영해야 한다. 둘째, 원격연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집합연수와 원격연수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블렌디드 연수를 강화시킬 필요가 있다 셋째, 교원들이 가장 많이 요구하는 원격연수 교육내용은 교수·학습 방법이기 때문에, 학교 현장에서 활용도가 높은 다양한 유형의 교수·학습 방법 을 소개하는 원격연수 과정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ways to improve the current on -line training service by identifying the factors that might hinder teachers’participation in the on- line training program and to analyze the different training needs by teacher characteristics. To achieve this aim, two main questions were pursued in this study: First, what are the factors that interfere with active participation in the on - line training? Second, are there differences in training needs by teacher characteristic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the following: First, on -line training that meet the participants’demands should vary according to different trainee characteristics such as teaching years, age, and size of their workplace. Second, a way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the on -line training is to implement a blended type, a mixture of group training and on -line training. Third, teachers wanted contents related to teaching learning methodologies the most, Therefore, on -line training should introduce diverse teaching-learning methods that can be applied directly in the school setting.

      • KCI등재후보

        교과용도서의 장애 관련 내용선정 및 개발절차 요구 분석

        권택환 국립특수교육원 2007 특수교육연구 Vol.14 No.2

        현 교과용도서에는 장애 및 장애인과 관련하여 적합하지 않은 소재, 용어, 삽화 등이 다수 수록되어 있고 이를 활용하여 교수-학습 활동을 하는 일반교사나 일반학생에게 교과용도서가 오히려 장애인에 대하여 잘못된 인식을 심어줄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교과용도서 개발에 직접 참여하고 있는 교육과정 연구자, 행정가 및 특수교육교사, 장애학생 학부모 등 관련 전문가를 대상으로 조사 연구를 실시하여, 현재의 교과용도서의 장애 관련 내용 개발 및 수록 절차에 대한 문제점을 분석하고, 향후 교과용도서의 장애 관련 개발과 편수절차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rimary purpose of this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disability-related content of the textbooks.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disability-related content included in current textbooks, which were developed in accordance with the 7th education curriculum and conducted a needs assessment on the development procedures of the disability-related content of the textbooks of the future. The analysis of the disability-related content included in current textbooks indicated the following: First, the textbook introduced more characters with disabilities from other countries than those of our own country, and the overall disability-related content was written with an emphasis on 'pity and charity.' it was suggested that the disability-related content should focus on individual differences and human rights, and literary works containing degrading terms to describe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should be used as negative examples for the improvement of disability awareness. Second, curriculum developers, special education policy makers, general education teachers, and special educators indicated that the disability-related content of the textbooks should be written to depict people with disabilities as members of the peer group and local community who actively engage in social interaction with others. On the other hand,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dicated that disability etiquette should be included in the textbook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area. Third, the committee on special education professionals should examine the appropriateness of the disability-related content(terms and illustrations) during the ist textbook review process. In this review, the hierarchical presentation of the disability-related content should also be examined.

      • KCI등재

        맨발활동이 초등학생의 체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권택환 인문사회 21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6

        This study examined how barefoot activity affects physical strength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t was conducted in 3rd grade class A of D elementary school in D metropolitan city from March to October to find out how this activity affects physical strength of students (flexibility, alacrity, cardiopulmonary endurance, muscular strength, and muscular endurance). After barefoot activity, students' physical strength was measured by the items presented in PAPS,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The results were compared and analyzed with the results of the PAPS measurement of the fifth grade of the same schoo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physical strength of 3rd grade students who performed barefoot activitiy, they showed that their physical strength improved in the order of flexibility, cardiopulmonary endurance, alacrity, muscular strength, and muscular endurance. Second, barefoot activity was found to be very helpful for improving flexibility and cardiopulmonary endurance among PAPS evaluation items. Third, barefoot activity helps to improve alacrity, muscular strength, and muscular endurance, but does not show the effect as much as flexibility and cardiopulmonary endurance. Based on the above conclusions, th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is study, which examines which part of the physical strength of elementary school student is mainly affected by barefoot activity, suggests that a specific study will be conducted to analyze the degree of improvement of physical strength by area according to the time of barefoot activity, since the overall trend is analyzed without controlling all student's time. 본 연구에서는 맨발활동이 초등학생의 체력 향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살펴보았다. D광역시의 D초등학교 3학년 A반을 대상으로 3월부터 10월까지 맨발활동을 실시하고 이 활동이 학생들의 체력(유연성, 순발력, 심폐지구력, 근력・근지구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아보기 위해 진행되었다. 맨발활동 후 학생들의 체력을 PAPS에 제시되어 있는 종목으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고, 동일학교 5학년의 PAPS 측정결과와도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맨발활동을 실시한 3학년 학생들의 체력을 측정한 결과 학생들은 유연성, 지구력, 순발력, 근력・지구력 순으로 체력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맨발활동은 PAPS의 평가항목 중 특히 유연성과 심폐지구력 향상에 많은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맨발활동이 순발력과 근력・근지구력 향상에 도움이 되지만 유연성과 심폐지구력이 향상되는 만큼의 효과는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론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맨발활동이 초등학생의 체력 중 어떠한 부분에 영향을 주로 미치는가를 알아보는 연구로써 학생 개개인의 시간을 모두 통제하지 못하고 전반적인 경향을 분석한 것이므로 후속연구에서는 맨발활동 시간에 따른 영역별 체력향상 정도를 분석하는 구체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길 제언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